Skip to content

 

                                                                                     갈등과 대결과 증오의 분단시대, 평화와 작은 실천을 위한 연찬 
  
     (사)평화교류협의회는 이번 주 토요일(오후 3~5시)에 '평화 만들기, 시대의 소망에 대한 연찬 ' 모임을 갖습니다.
     매주 운영하는 이 모임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요청드립니다. 이 모임의 목적은 작은 실천을 통하여 시대가 요구하는 평화 만들기 위한 우리 자신의 역량을 기르기 위한 것입니다. 이 모임은 갈등과 대립과 증오의 분단시대가 갈망하는 평화를, 작은 실천을 통하여 구현하려는 귀한 통로(channel)입니다.

     남과 북을 화평하게 해야 할, 1%의 주인 노릇은 하기 싫어도 해야 할, 믿는 우리가 마땅히 짊어져야할, 거역할 수 없이 짊어져야할 시대의 짐입니다.
이 시간은 우리 모두가 평화 만들기를 위해 순례 길 떠나는 첫 출발시간입니다. ^^ 감사합니다. shalom! 
  

 

스무 번째 모임(제20회) 
  
발표 순례자 : 김한영 장로(성남중앙교회)
전화 010-4208-3004, 이메일 seventhda@hanmail.net

 

- 주 제 : 간디의 생애가 보여주는 평화의 메시지

- 부 제 : 진리를 나의 실험 대상으로

- 교 재 :  마하트마 K. 간디(2007)  | 『간디 자서전(An Autobiography: The Story of My Experiments with Truth)』  |  박선경, 박현석 역  |  동해출판사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70801553

- 연 찬 : 누구나
- 시 간 : 2012년 7월 28일(토) 오후 3시 30분~5시 30
- 장 소 : 여성행복센터(삼육대학교 정문 삼육LPG주유소 옆)
- 대 상 : 누구나 환영합니다^^ 오셔서 듣고 느끼시면 됩니다
- 주 최 : 평화교육실천학교, 평화예배소
- 주 관 : (사)평화교류협의회- 연락처 : 최창규 010-3358-3508, ius358@hanmail.net ,  명지원 010-6327-3935, jwmyung@syu.ac.kr

(사)평화교류협의회(Council for Peace Cooperation) 홈페이지: www.cpckorea.org

(사)평화교류협의회 홈페이지 내용을 http://cafe.naver.com/cpckorea 로 옮기는 중입니다. 방문하셔서 다양한 자료들을 만나보세요.
카페 회원들과의 더 원활한 소통(communication)을 위한 채팅, 메뉴의 실시간 반영, 더 많은 게시물의 탑재(upload)를 통한 (사)평화교류협의회 활동에 대한 원활한 정보의 제공 등 기타의 이유로 홈페이지를 이전하오니 많은 관심과 지원을 요청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회 발표 순례자 김한영 장로의

 

마하트마 간디가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는 간결하다. 진리를 찾는 삶은 겸허함 속에서 나타나며 실천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비폭력은 각자 자아내면에 존재하는 가장 고귀한 것의 발현을 요구한다는 것과 그런 경허의 소수 사람들이 결국 사회를 변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20회 연찬 순례자 명지원 교수의 변

 

'위대한 영혼'이라는 뜻의 마하트마. 마하트마 간디는 인간 영혼의 위대성을 확인시켜 준 위대한 영혼입니다. 간디의 '비폭력 저항운동'을 당시 식민지 정부인 영국 정부에 저항하는 불온한 인물로 보는 인도인들도 다수였고, 그를 비난하는 이들도 여러 이유로 다수였습니다. 영국 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먹고 살게 됐다고 하는 이들도 있었습니다. 독립보다는 '지금 이대로'를 외치는 이들이 적지 않았습니다. 간디의 삶의 이야기(life story)를 인도에서나 있었던 이야기로 치부한다면, 역사는 오늘 우리에게 아무런 교훈도 주지 못할 것입니다. '인간 영혼'을 말살하는 국가라는 조직, '인간의 존엄성'을 파괴하는 탐욕의 제국주의, 인간을 '종(僕)의 문화'에 익숙하게 하는 식민주의 정책, 이 모두는 인간의 자율성과 존엄성을 헤치는 사탄의 전략입니다.

 

오늘 우리는 '위대한 영혼' 간디의 호소를 인간 김한영 장로님을 통해 듣습니다. 현 남북관계에 대하여 평소 '깊이 성찰'을 해오신 김 장로님은 누구보다도 간디의 메시지를 오늘 지금 여기 우리의 삶의 언어로 재해석하여 적용하는 방법을 논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분이라고 봅니다. 누구나 알고 있지만, 아무나 알지 못하는 마하트마 간디의 이야기는 우리의 갈 길을 밝히는 등대의 역할을 할 것입니다. 

 

열아홉 번째 모임(제19회) 
  
발표 순례자 : 김선만 목사
전화 010-4208-3004, 이메일 smkim@nsdadventist.org
홈페이지 http://www.nsdadventist.org/

 

- 주 제 : 분단의 아픔

- 부 제 : 객관적 시각에서 본 남한과 북한

- 교 재:  John Feffer(2005)   | 『남한 북한(North Korea South Korea)』  |  정세채 역  |  모색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86128713

- 연찬 : 누구나
- 시 간 : 2012년 7월 15일(토) 오후 3시 30분~5시 30
- 장 소 : 여성행복센터(삼육대학교 정문 삼육LPG주유소 옆)
- 대 상 : 누구나 환영합니다^^ 오셔서 듣고 느끼시면 됩니다
- 주 최 : 평화교육실천학교, 평화예배소
- 주 관 : 평화교류협의회- 연락처 : 최창규 010-3358-3508, ius358@hanmail.net , 명지원 010-6327-3935, jwmyung@syu.ac.kr

평화교류협의회(Council for Peace Cooperation) 홈페이지: www.cpckorea.org

(평화교류협의회 홈페이지 내용을 http://cafe.naver.com/cpckorea 로 옮기는 중입니다. 가입을 위해서는 간단한 5개의 질문에 답하시면 됩니다.
카페 회원들과의 더 원활한 소통(communication)을 위한 채팅, 메뉴의 실시간 반영, 더 많은 게시물의 탑재(upload)를 통한 평화교류협의회 활동에 대한 원활한 정보의 제공 등 기타의 이유로 홈페이지를 이전하오니 많은 관심과 지원을 요청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9 : 발표 순례자 김선만 목사의 변

과연 북한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한국전쟁 이전에 북한에서 중학교 1학년까지 다니며 북한과 전쟁을 경험했던 부친은 철저한 반공주의자였다. 아버지의 영향으로 나에게 북한은 막연한 적개심과 분노 그리고 절대 상종할 수 없는 이물질에 불과한 존재였지만 2000년부터 시작된 북한농장에서의 특별한 경험은 북한은 우리와 매우 가까이에 있는 위협적이면서도 많은 문제들을 함께 지고가야 하는 이웃임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의 저자는 남한과 북한의 과거와 현재에 대해 객관적이면서도 깊은 애정을 보이며, 한반도 위기의 당사자이면서 주제적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남한에게 어떤 기회가 남아 있는지 묻고 있다 

 

19 : 연찬 순례자 최창규 장로의 변

 

한국의 지정학적 환경은 가장 정교한 미국의 외교정책을 혼란시킬수 있고 주한미군은 한반도라는 몸통 깊숙이 박혀 있는 칼에 비유되어 왔다.

비록 칼이 엄청난 고통을 불러와지만  칼을 함부로 제거하다간 자칫 칼이 박힌 피해자가 죽음에 이를 수 있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오랫동안 한반도의 정치적 그물에 걸려 있었다. 한국을 30번 가까이, 북한을 여러차레 방문한 미국의 한국 전문가 존 페퍼 저자의 말입니다.

미국이 갖고 있는 여러 자료와 객관적 3자 입장에서 남북을 바라보는 눈은 우리가 경청할만 가치가 있습니다. 

 요즘 시중에 저녁이 있는 삶이라는 말이 화제가 된 적이 있습니다. 지친 생활에 쫒기며 저녁조차 사라진 삶을 살아가는 오늘을 살아가는 이들에게 공감을 얻은것 같습니다.

 매일 수많은 선택을 강요당하는 복잡한 세상살이를  단순화 시켜 살아가는 비법들을 한 가지씩 갖고 오셔서 소개 하는 재미있는 시간도 갖겠습니다.

                                                                                                                                                                                                                            

열여덟 번째 모임(제18회)

  
발표 순례자 : 김선만 목사
전화 010-4208-3004, 이메일 smkim@nsdadventist.org
홈페이지 http://www.nsdadventist.org/

 

- 주 제 : 하나님의 종

- 부 제 : 가장 행복한 사람의 겸손

- 교 재:  짐 호온버거(2006)   | 『하나님께 피하라』 |  열린책들

- 연찬 : 누구나
- 시 간 : 2012년 7월 15일(토) 오후 3시 30분~5시 30
- 장 소 : 여성행복센터(삼육대학교 정문 삼육LPG주유소 옆)
- 대 상 : 누구나 환영합니다^^ 오셔서 듣고 느끼시면 됩니다
- 주 최 : 평화교육실천학교, 평화예배소
- 주 관 : 평화교류협의회- 연락처 : 최창규 010-3358-3508, ius358@hanmail.net , 명지원 010-6327-3935, jwmyung@syu.ac.kr

평화교류협의회(Council for Peace Cooperation) 홈페이지: www.cpckorea.org

(평화교류협의회 홈페이지 내용을 http://cafe.naver.com/cpckorea 로 옮기는 중입니다. 가입을 위해서는 간단한 5개의 질문에 답하시면 됩니다.
카페 회원들과의 더 원활한 소통(communication)을 위한 채팅, 메뉴의 실시간 반영, 더 많은 게시물의 탑재(upload)를 통한 평화교류협의회 활동에 대한 원활한 정보의 제공 등 기타의 이유로 홈페이지를 이전하오니 많은 관심과 지원을 요청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8 : 발표 순례자 김선만 목사의 변

어느 날부터 우리는 바쁘다. 무엇에 쫓기는 듯 나름의 목적과 목표를 좇아 열심히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삶을 배우고 따르고 살아가고 있다. 우리의 열심과 최선을 다한 노력의 궁극적 목적은 무엇인가? 우리는 어느새 하나님의 종이기 보다는 우리가 세운 목표와 야망의 종이 되어가고 있다. 여기 한 사람 하나님의 종이 있다. 그의 잔잔한 고백은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곁에서 하나님의 사람이 될 때 이루어지는 위대한 일을 우리에게 보여 준다. 쉼과 평화와 참된 성공을 위해서는 오직 한길만이 존재한다. – 하나님께 피하라!

 

 

18 : 연찬 순례자 명지원 교수 변

'개척자의 신앙'. 이 단어에 딱 어울리는 이가 김선만 목사이다. 하늘 도성을 향해 걷는 재림신자들은 개척자들 아닌가? 여기 큰 가슴으로 북한선교라는 시대정신을 실천하는 젊은 목사의 간증에 많은 분들이 동참해주시기를 요청드립니다. shalom!

 

 

 열일곱 번째 모임(제17회)

  
발표 순례자 : 김선만 목사
전화 010-4208-3004, 이메일 smkim@nsdadventist.org
홈페이지 http://www.nsdadventist.org/

 

8932910278_1.jpg


- 주 제 : 문명세계에서의 신앙

- 부 제 : 천연계로부터 멀어진 생활과 타성

- 교 재:  투이아비 지금. 에리히쇼이어만 엮음(2009)   | 『빠빠라기』 |  강무성 역  |  열린책들

- 교 재 :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32910278

- 연찬 : 누구나
- 시 간 : 2012년 7월 7일(토) 오후 3시 30분~5시 30
- 장 소 : 여성행복센터(삼육대학교 정문 삼육LPG주유소 옆)
- 대 상 : 누구나 환영합니다^^ 오셔서 듣고 느끼시면 됩니다
- 주 최 : 평화교육실천학교, 평화예배소
- 주 관 : 평화교류협의회- 연락처 : 최창규 010-3358-3508, ius358@hanmail.net , 명지원 010-6327-3935, jwmyung@syu.ac.kr

평화교류협의회(Council for Peace Cooperation) 홈페이지: www.cpckorea.org

(평화교류협의회 홈페이지 내용을 http://cafe.naver.com/cpckorea 로 옮기는 중입니다. 가입을 위해서는 간단한 5개의 질문에 답하시면 됩니다.
카페 회원들과의 더 원활한 소통(communication)을 위한 채팅, 메뉴의 실시간 반영, 더 많은 게시물의 탑재(upload)를 통한 평화교류협의회 활동에 대한 원활한 정보의 제공 등 기타의 이유로 홈페이지를 이전하오니 많은 관심과 지원을 요청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제17회 : 발표 순례자 김선만 목사의 변

북한농장에서의 생활을 떠난 지 10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시골에서 농사를 지으며 농작물들과 주변 천연계들을 큰 가치를 느끼지 못하고 대하며 살았는데 도시생활 몇 년이 지나고 나니 주변의 풀 한포기 나무 한그루도 너무 귀하고 소중해 집니다. 아무 생각없이 문명과 발전을 맹신하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하나님을 온 가슴으로 믿고 느끼고 감사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게 해준 남태평양 티아베아 섬마을 추장 투이아비의 연설은 지금 우리 현실의 허무함과 무가치한 우상이 무엇인지를 느끼게 해 주고 있습니다.

 

 

○제17회 : 연찬 순례자  최창규 장로의 변

발표자 김 목사님과의 만남은 전적으로 북한 내 동족에 대한 관심, 서로 한 가지 공동목표 때문에 만나 수시로 38선을 오르내리며 같이 일 한지도 10년 가까운 세월이 되어갑니다.

그를 바라보면 생각나는 것은 이 세태, 모두가 무섭게 성공을 추구하고 있는 가치, spec(Spec: Specification(제품명세서)의 준말, 학력, 자격, 지위 등 총칭)을 허물고 뛰어넘는 일은,

두 동강난 이 땅에서 서로 증오 속에 헤어나지 못하는 백성들을 위해 화평을 만들어 하나님께 드리는 일은, 그만이 할 수 있는 땅 파며 씨 뿌리고 물주는 농사일을 엮여 나가는 것을 지켜보면서 이 과정에서 만들어 내는 story는 이 시대가 간절히 바라는, “하나님께서도 지극히 바라시는 긴급제안 사업이기 때문일 것이라는 믿음이 점점 가깝고 무겁게 느껴집니다.

 

연합회에서도 1% 북한선교준비자금 발표를 했습니다. 이 보다 더 중요한 것은  “1%를 준비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1만 명의 기드온용사를 주십시오하고 기도합니다. 북한 148개 군에 먹거리, 고기 잡는 방법을 서로 합력하여 찾으며 이루어 가면, 그리하여 때가 되면, 온 세상을 평화롭게 할 800만 명을 하나님께 인도하시리라 믿으며 기도드리고 있습니다. 굳이 선교, 재림준비, 표현을 안 해도 그 일속에 함축된 의미는 이 땅에서 해야할 진정한 재림맞이 준비를 말하고 있습니다.

 

춤을 출 수 밖에 없는 신명나는 일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민족에게는 5000년 만이요

우리에게는 100년 만에 찾아온 축복의 기회가 우리 앞에 이미 와 있습니다.

바위에 달걀 치는 것 같은 작은 걸음이지만 하나님의 인도하심이 함께 하십니다.

하나님 스스로 이 영광을 원하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는 화평이 무엇인지를

이 고난에 찬 백성들을 통해 온 세상에 보여 주시고 싶은 마음을 갖고 계십니다.

 

세상이 다양화, 복잡,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교단뿐만 아니라 정부라 할지라도 할 수 있는 일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공동목표를 이루기 위해 정부, 기업, 시민단체, 기관 등 모든 주체들이 함께 모여 발표, 토론, 의사결정, 참여하고 연찬하며 이루어가는

 거버넌스(governance), 협치를 합니다. 지금 우리 모두 함께 1%로 이 땅에 뿌리박힌 증오를 이기는 화평을 위하여 우주를 잉태한 보이지도 않는

표준모델 히스(Higgs) 입자와 같은 역할을 할 때입니다. 보이지도 않는 작은 발걸음이 걷기 시작하였습니다.

 
열여섯 번째 모임(제16회)

  
발표 순례자 : 홍순명 교수
전화 010-6701-8004
, 이메일 soonhong@syu.ac.kr,
홈페이지 http://www.syu.ac.kr/web/kor/uni_a_05_02_c

- 주 제 : 아이들 교육에서 고전독서교육의 가치
- 부 제 : 내가 꿈꾸는 가정교육
- 교 재 : 하비 & 로리 블루던(2008) | 『기독교적 고전교육』 김선화 역 | 꿈을이루는사람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93169101
- 연찬 : 누구나
- 시 간 : 2012년 6월 30일(토) 오후 3시 30분~5시 30
- 장 소 : 여성행복센터(삼육대학교 정문 삼육LPG주유소 옆)
- 대 상 : 누구나 환영합니다^^ 오셔서 듣고 느끼시면 됩니다
- 주 최 : 평화교육실천학교, 평화예배소
- 주 관 : 평화교류협의회- 연락처 : 최창규 010-3358-3508

, ius358@hanmail.net , 명지원 010-6327-3935

, jwmyung@syu.ac.kr

평화교류협의회(Council for Peace Cooperation) 홈페이지: www.cpckorea.org

(평화교류협의회 홈페이지 내용을 http://cafe.naver.com/cpckorea 로 옮기는 중입니다. 가입을 위해서는 간단한 5개의 질문에 답하시면 됩니다.
카페 회원들과의 더 원활한 소통(communication)을 위한 채팅, 메뉴의 실시간 반영, 더 많은 게시물의 탑재(upload)를 통한 평화교류협의회 활동에 대한 원활한 정보의 제공 등 기타의 이유로 홈페이지를 이전하오니 많은 관심과 지원을 요청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제16회 : 발표 순례자 홍순명 교수[목사]의 변
하나님은 우리 자녀들의 교육을 교사나 목사가아닌 부모에게 위임하였다는 성경적 기초 위에 어떻게 크리스찬 고전교육 할것인가를 심도있게 다룬 서적입니다.

○제16회 : 연찬 순례자 명지원 교수의 변
발표자께서는 두 자녀를 두시고 그 자녀들이 장성하여 첫째는 목사로, 둘째는 목사의 사모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뜻한 바가 있어 네 자녀를 입양하여 자녀들에게 성경절 암송, 한문, 붓글씨, 히브리어와 헬라어, 악기 연주 등을 가르치면서 그 아이들이 날로날로 자라나는 것을 삶의 기쁨으로 여기는 삶을 지켜보는 지인들은 또한 즐겁습니다. 서울 성북구 월곡동의 노인들을 위한 무료급식을 십여 년 동안 해오고 있고, 건축학과 학생들과 함께 무료로 집을 수리해주기도 하였습니다. 한 때 발표자로부터 우리 대학이 자원봉사와 사회봉사를 통해 우리 대학 학생들과 지역사회를 어떻게 바꿔어 나가고 교육이념을 구현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는데, 숲과 나무를 동시에 바라볼 수 있는 안목과 실천 능력을 갖춘 분이라는 생각을 했더랬습니다.
삼육대학교의 교수로서 누구보다 교육의 이론과 실천에 있어서 조화로운 삶을 살고 있는 발표자의 교육 비전과 교육 실천의 이야기를 나누며 오늘날 우리에게 주어진 가정교육, 교회교육, 학교교육의 나아갈 길을 모색해보면 좋겠습니다.  




 

 

갈등과 대결과 증오의 분단시대, 평화와 작은 실천을 위한 연찬 (사단법인 평화교류협의회)
  
(사)평화교류협의회는 이번 주 토요일(오후 3~5시)에 '평화 만들기, 시대의 소망에 대한 연찬 ' 모임을 갖습니다.
매주 운영하는 이 모임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요청드립니다. 이 모임의 목적은 작은 실천을 통하여 시대가 요구하는 평화 만들기 위한 우리 자신의 역량을 기르기 위한 것입니다. 이 모임은 갈등과 대립과 증오의 분단시대가 갈망하는 평화를, 작은 실천을 통하여 구현하려는 귀한 통로(channel)입니다.

남과 북을 화평하게 해야 할, 1%의 주인 노릇은 하기 싫어도 해야 할, 믿는 우리가 마땅히 짊어져야할, 거역할 수 없이 짊어져야할 시대의 짐입니다.
이 시간은 우리 모두가 평화 만들기를 위해 순례 길 떠나는 첫 출발시간입니다. ^^ 감사합니다. shalom! 
 

 

 

열아홉 번째 모임(제19회) 
  
발표 순례자 : 김선만 목사
전화 010-4208-3004, 이메일 smkim@nsdadventist.org
홈페이지 http://www.nsdadventist.org/

 

- 주 제 : 분단의 아픔

- 부 제 : 객관적 시각에서 본 남한과 북한

- 교 재:  John Feffer(2005)   | 『남한 북한(North Korea South Korea)』  |  정세채 역  |  모색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86128713

- 연찬 : 누구나
- 시 간 : 2012년 7월 15일(토) 오후 3시 30분~5시 30
- 장 소 : 여성행복센터(삼육대학교 정문 삼육LPG주유소 옆)
- 대 상 : 누구나 환영합니다^^ 오셔서 듣고 느끼시면 됩니다
- 주 최 : 평화교육실천학교, 평화예배소
- 주 관 : 평화교류협의회- 연락처 : 최창규 010-3358-3508, ius358@hanmail.net , 명지원 010-6327-3935, jwmyung@syu.ac.kr

평화교류협의회(Council for Peace Cooperation) 홈페이지: www.cpckorea.org

(평화교류협의회 홈페이지 내용을 http://cafe.naver.com/cpckorea 로 옮기는 중입니다. 가입을 위해서는 간단한 5개의 질문에 답하시면 됩니다.
카페 회원들과의 더 원활한 소통(communication)을 위한 채팅, 메뉴의 실시간 반영, 더 많은 게시물의 탑재(upload)를 통한 평화교류협의회 활동에 대한 원활한 정보의 제공 등 기타의 이유로 홈페이지를 이전하오니 많은 관심과 지원을 요청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9 : 발표 순례자 김선만 목사의 변

과연 북한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한국전쟁 이전에 북한에서 중학교 1학년까지 다니며 북한과 전쟁을 경험했던 부친은 철저한 반공주의자였다. 아버지의 영향으로 나에게 북한은 막연한 적개심과 분노 그리고 절대 상종할 수 없는 이물질에 불과한 존재였지만 2000년부터 시작된 북한농장에서의 특별한 경험은 북한은 우리와 매우 가까이에 있는 위협적이면서도 많은 문제들을 함께 지고가야 하는 이웃임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의 저자는 남한과 북한의 과거와 현재에 대해 객관적이면서도 깊은 애정을 보이며, 한반도 위기의 당사자이면서 주제적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남한에게 어떤 기회가 남아 있는지 묻고 있다 

 

19 : 연찬 순례자 최창규 장로의 변

 

한국의 지정학적 환경은 가장 정교한 미국의 외교정책을 혼란시킬수 있고 주한미군은 한반도라는 몸통 깊숙이 박혀 있는 칼에 비유되어 왔다.

비록 칼이 엄청난 고통을 불러와지만  칼을 함부로 제거하다간 자칫 칼이 박힌 피해자가 죽음에 이를 수 있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오랫동안 한반도의 정치적 그물에 걸려 있었다. 한국을 30번 가까이, 북한을 여러차레 방문한 미국의 한국 전문가 존 페퍼 저자의 말입니다.

미국이 갖고 있는 여러 자료와 객관적 3자 입장에서 남북을 바라보는 눈은 우리가 경청할만 가치가 있습니다. 

 

요즘 시중에 저녁이 있는 삶이라는 말이 화제가 된 적이 있습니다. 지친 생활에 쫒기며 저녁조차 사라진 삶을 살아가는 오늘을 살아가는 이들에게 공감을 얻은것 같습니다.

매일 수많은 선택을 강요당하는 복잡한 세상살이를  단순화 시켜 살아가는 비법들을 한 가지씩 갖고 오셔서 소개 하는 재미있는 시간도 갖겠습니다.

                                                                                                                                                                                                                                                       

열여덟 번째 모임(제18회)

  
발표 순례자 : 김선만 목사
전화 010-4208-3004, 이메일 smkim@nsdadventist.org
홈페이지 http://www.nsdadventist.org/

 

- 주 제 : 하나님의 종

- 부 제 : 가장 행복한 사람의 겸손

- 교 재:  짐 호온버거(2006)   | 『하나님께 피하라』 |  열린책들

- 연찬 : 누구나
- 시 간 : 2012년 7월 15일(토) 오후 3시 30분~5시 30
- 장 소 : 여성행복센터(삼육대학교 정문 삼육LPG주유소 옆)
- 대 상 : 누구나 환영합니다^^ 오셔서 듣고 느끼시면 됩니다
- 주 최 : 평화교육실천학교, 평화예배소
- 주 관 : 평화교류협의회- 연락처 : 최창규 010-3358-3508, ius358@hanmail.net , 명지원 010-6327-3935, jwmyung@syu.ac.kr

평화교류협의회(Council for Peace Cooperation) 홈페이지: www.cpckorea.org

(평화교류협의회 홈페이지 내용을 http://cafe.naver.com/cpckorea 로 옮기는 중입니다. 가입을 위해서는 간단한 5개의 질문에 답하시면 됩니다.
카페 회원들과의 더 원활한 소통(communication)을 위한 채팅, 메뉴의 실시간 반영, 더 많은 게시물의 탑재(upload)를 통한 평화교류협의회 활동에 대한 원활한 정보의 제공 등 기타의 이유로 홈페이지를 이전하오니 많은 관심과 지원을 요청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8 : 발표 순례자 김선만 목사의 변

어느 날부터 우리는 바쁘다. 무엇에 쫓기는 듯 나름의 목적과 목표를 좇아 열심히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삶을 배우고 따르고 살아가고 있다. 우리의 열심과 최선을 다한 노력의 궁극적 목적은 무엇인가? 우리는 어느새 하나님의 종이기 보다는 우리가 세운 목표와 야망의 종이 되어가고 있다. 여기 한 사람 하나님의 종이 있다. 그의 잔잔한 고백은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곁에서 하나님의 사람이 될 때 이루어지는 위대한 일을 우리에게 보여 준다. 쉼과 평화와 참된 성공을 위해서는 오직 한길만이 존재한다. – 하나님께 피하라!

 

 

18 : 연찬 순례자 명지원 교수 변

'개척자의 신앙'. 이 단어에 딱 어울리는 이가 김선만 목사이다. 하늘 도성을 향해 걷는 재림신자들은 개척자들 아닌가? 여기 큰 가슴으로 북한선교라는 시대정신을 실천하는 젊은 목사의 간증에 많은 분들이 동참해주시기를 요청드립니다. shalom!

 

 

 

 

 

열일곱 번째 모임(제17회)

  
발표 순례자 : 김선만 목사
전화 010-4208-3004, 이메일 smkim@nsdadventist.org
홈페이지 http://www.nsdadventist.org/

 

8932910278_1.jpg


- 주 제 : 문명세계에서의 신앙

- 부 제 : 천연계로부터 멀어진 생활과 타성

- 교 재:  투이아비 지금. 에리히쇼이어만 엮음(2009)   | 『빠빠라기』 |  강무성 역  |  열린책들

- 교 재 :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32910278

- 연찬 : 누구나
- 시 간 : 2012년 7월 7일(토) 오후 3시 30분~5시 30
- 장 소 : 여성행복센터(삼육대학교 정문 삼육LPG주유소 옆)
- 대 상 : 누구나 환영합니다^^ 오셔서 듣고 느끼시면 됩니다
- 주 최 : 평화교육실천학교, 평화예배소
- 주 관 : 평화교류협의회- 연락처 : 최창규 010-3358-3508, ius358@hanmail.net , 명지원 010-6327-3935, jwmyung@syu.ac.kr

평화교류협의회(Council for Peace Cooperation) 홈페이지: www.cpckorea.org

(평화교류협의회 홈페이지 내용을 http://cafe.naver.com/cpckorea 로 옮기는 중입니다. 가입을 위해서는 간단한 5개의 질문에 답하시면 됩니다.
카페 회원들과의 더 원활한 소통(communication)을 위한 채팅, 메뉴의 실시간 반영, 더 많은 게시물의 탑재(upload)를 통한 평화교류협의회 활동에 대한 원활한 정보의 제공 등 기타의 이유로 홈페이지를 이전하오니 많은 관심과 지원을 요청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제17회 : 발표 순례자 김선만 목사의 변

북한농장에서의 생활을 떠난 지 10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시골에서 농사를 지으며 농작물들과 주변 천연계들을 큰 가치를 느끼지 못하고 대하며 살았는데 도시생활 몇 년이 지나고 나니 주변의 풀 한포기 나무 한그루도 너무 귀하고 소중해 집니다. 아무 생각없이 문명과 발전을 맹신하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하나님을 온 가슴으로 믿고 느끼고 감사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게 해준 남태평양 티아베아 섬마을 추장 투이아비의 연설은 지금 우리 현실의 허무함과 무가치한 우상이 무엇인지를 느끼게 해 주고 있습니다.

 

 

○제17회 : 연찬 순례자  최창규 장로의 변

발표자 김 목사님과의 만남은 전적으로 북한 내 동족에 대한 관심, 서로 한 가지 공동목표 때문에 만나 수시로 38선을 오르내리며 같이 일 한지도 10년 가까운 세월이 되어갑니다.

그를 바라보면 생각나는 것은 이 세태, 모두가 무섭게 성공을 추구하고 있는 가치, spec(Spec: Specification(제품명세서)의 준말, 학력, 자격, 지위 등 총칭)을 허물고 뛰어넘는 일은,

두 동강난 이 땅에서 서로 증오 속에 헤어나지 못하는 백성들을 위해 화평을 만들어 하나님께 드리는 일은, 그만이 할 수 있는 땅 파며 씨 뿌리고 물주는 농사일을 엮여 나가는 것을 지켜보면서 이 과정에서 만들어 내는 story는 이 시대가 간절히 바라는, “하나님께서도 지극히 바라시는 긴급제안 사업이기 때문일 것이라는 믿음이 점점 가깝고 무겁게 느껴집니다.

 

연합회에서도 1% 북한선교준비자금 발표를 했습니다. 이 보다 더 중요한 것은  “1%를 준비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1만 명의 기드온용사를 주십시오하고 기도합니다. 북한 148개 군에 먹거리, 고기 잡는 방법을 서로 합력하여 찾으며 이루어 가면, 그리하여 때가 되면, 온 세상을 평화롭게 할 800만 명을 하나님께 인도하시리라 믿으며 기도드리고 있습니다. 굳이 선교, 재림준비, 표현을 안 해도 그 일속에 함축된 의미는 이 땅에서 해야할 진정한 재림맞이 준비를 말하고 있습니다.

 

춤을 출 수 밖에 없는 신명나는 일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민족에게는 5000년 만이요

우리에게는 100년 만에 찾아온 축복의 기회가 우리 앞에 이미 와 있습니다.

바위에 달걀 치는 것 같은 작은 걸음이지만 하나님의 인도하심이 함께 하십니다.

하나님 스스로 이 영광을 원하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는 화평이 무엇인지를

이 고난에 찬 백성들을 통해 온 세상에 보여 주시고 싶은 마음을 갖고 계십니다.

 

세상이 다양화, 복잡,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교단뿐만 아니라 정부라 할지라도 할 수 있는 일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공동목표를 이루기 위해 정부, 기업, 시민단체, 기관 등 모든 주체들이 함께 모여 발표, 토론, 의사결정, 참여하고 연찬하며 이루어가는

 거버넌스(governance), 협치를 합니다. 지금 우리 모두 함께 1%로 이 땅에 뿌리박힌 증오를 이기는 화평을 위하여 우주를 잉태한 보이지도 않는

표준모델 히스(Higgs) 입자와 같은 역할을 할 때입니다. 보이지도 않는 작은 발걸음이 걷기 시작하였습니다.

 
열여섯 번째 모임(제16회)

  
발표 순례자 : 홍순명 교수
전화 010-6701-8004
, 이메일 soonhong@syu.ac.kr,
홈페이지 http://www.syu.ac.kr/web/kor/uni_a_05_02_c

- 주 제 : 아이들 교육에서 고전독서교육의 가치
- 부 제 : 내가 꿈꾸는 가정교육
- 교 재 : 하비 & 로리 블루던(2008) | 『기독교적 고전교육』 김선화 역 | 꿈을이루는사람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93169101
- 연찬 : 누구나
- 시 간 : 2012년 6월 30일(토) 오후 3시 30분~5시 30
- 장 소 : 여성행복센터(삼육대학교 정문 삼육LPG주유소 옆)
- 대 상 : 누구나 환영합니다^^ 오셔서 듣고 느끼시면 됩니다
- 주 최 : 평화교육실천학교, 평화예배소
- 주 관 : 평화교류협의회- 연락처 : 최창규 010-3358-3508

, ius358@hanmail.net , 명지원 010-6327-3935

, jwmyung@syu.ac.kr

평화교류협의회(Council for Peace Cooperation) 홈페이지: www.cpckorea.org

(평화교류협의회 홈페이지 내용을 http://cafe.naver.com/cpckorea 로 옮기는 중입니다. 가입을 위해서는 간단한 5개의 질문에 답하시면 됩니다.
카페 회원들과의 더 원활한 소통(communication)을 위한 채팅, 메뉴의 실시간 반영, 더 많은 게시물의 탑재(upload)를 통한 평화교류협의회 활동에 대한 원활한 정보의 제공 등 기타의 이유로 홈페이지를 이전하오니 많은 관심과 지원을 요청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제16회 : 발표 순례자 홍순명 교수[목사]의 변
하나님은 우리 자녀들의 교육을 교사나 목사가아닌 부모에게 위임하였다는 성경적 기초 위에 어떻게 크리스찬 고전교육 할것인가를 심도있게 다룬 서적입니다.

○제16회 : 연찬 순례자 명지원 교수의 변
발표자께서는 두 자녀를 두시고 그 자녀들이 장성하여 첫째는 목사로, 둘째는 목사의 사모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뜻한 바가 있어 네 자녀를 입양하여 자녀들에게 성경절 암송, 한문, 붓글씨, 히브리어와 헬라어, 악기 연주 등을 가르치면서 그 아이들이 날로날로 자라나는 것을 삶의 기쁨으로 여기는 삶을 지켜보는 지인들은 또한 즐겁습니다. 서울 성북구 월곡동의 노인들을 위한 무료급식을 십여 년 동안 해오고 있고, 건축학과 학생들과 함께 무료로 집을 수리해주기도 하였습니다. 한 때 발표자로부터 우리 대학이 자원봉사와 사회봉사를 통해 우리 대학 학생들과 지역사회를 어떻게 바꿔어 나가고 교육이념을 구현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는데, 숲과 나무를 동시에 바라볼 수 있는 안목과 실천 능력을 갖춘 분이라는 생각을 했더랬습니다.
삼육대학교의 교수로서 누구보다 교육의 이론과 실천에 있어서 조화로운 삶을 살고 있는 발표자의 교육 비전과 교육 실천의 이야기를 나누며 오늘날 우리에게 주어진 가정교육, 교회교육, 학교교육의 나아갈 길을 모색해보면 좋겠습니다.  


   평화를 위한 연찬의 대장정


1. 2012년 3월 3일(토) 오후 3~5시   □   최창규 장로(평화교류협의회 공동대표)

    시대정신의 구현과 1% 정신 - 누가 역사를 이끄는가?    

    메리 와인 애슈포드, 기 도운시(2006) |『 평화만들기 101- 우리가 꿈꾸는 전쟁 없는 세상(Enough Blood Shed :101 Solutions to Violence, Terror and War)』| 추미란 역| 서울: 동녘(2011)     http://www.yes24.com/24/Goods/5126376?Acode=101 

2. 2012년 3월 10일(토) 오후 3~5시  ㅁ  김행선 장로(전 중국 연길 연평병원장)

    북한, 그리고 중국 청년들과 화평을 위한 교류 10년

    오성훈(2011) | 하나님의 눈으로 북한 바라보기 | 서울포앤북스    http://www.yes24.com/24/Goods/5122631?Acode=101

3. 2012년 3월 17일(토) 오후 3~5시   □   명지원 교수(삼육대학교 교양교직과 교수)

    제2차 세계대전의 영웅 데스몬드 도스와 르완다 내전의 영웅 루제사바게나의 삶 - 재림교회의 미래를 비추다.

    데스몬드 도스(2008) |2차 세계대전의 영웅 데스몬드 도스』| 서울: 시조사

                     루제사바게나의 삶을 영화화 한 '호텔 르완다'     http://movie.daum.net/moviedetail/moviedetailMain.do?movieId=40888
 

      #  2012년 3월 24일(토) 오후 3~5시   ◆   평화교류협의회 총회

4. 2012년 3월 31일(토) 오후 3~5시   □   김동원 목사(동중한합회 동문교회)

    성경의 평화 개념과 평화공동체 만들기

    장성민(2009) |『전쟁과 평화 - 김정일 이후, 북한은 어디로 가는가』| 김영사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34933003

5. 2012년 4월 7일(토) 오후 3~5시   □   곽상욱(ABN 컨텐츠 디렉터)

    2012년 한국 재림교회와 우리

   에릭 홉스봄(1998) | 혁명의 시대 : 시민혁명과 산업혁명 | 정도영, 차명수 공역 | 한길사    http://www.yes24.com/24/Goods/103?Acode=101   

    에릭 홉스봄(1998)  | 자본의 시대 | 정도영 역 | 한길그레이트북스    http://www.yes24.com/24/Goods/782?Acode=101

   에릭 홉스봄(1998) | 제국의 시대| 김동택 역| 한길그레이트북스    http://www.yes24.com/24/Goods/782?Acode=101

   에릭 홉스봄(1999) | 극단의 시대 : 20세기의 역사(상) | 이용우 역 | 까치글방   http://www.yes24.com/24/Goods/3353164?Acode=101

   에릭 홉스봄(1999) | 극단의 시대 : 20세기의 역사(하) | 이용우 역 | 까치글방   http://www.yes24.com/24/Goods/3353166?Acode=101

6. 2012년 4월 14일(토) 오후 3~5시   □   최창규 장로(평화예배소)

   우리 공동체가 나아갈 길

   M. 스캇펙(2006)  스캇펙 박사의 평화만들기(The Different Drum) | 김민예숙, 김예자 공역 | 열음사   http://www.yes24.com/24/goods/2295061?scode=029 


7. 2012년 4월 21일(토) 오후 3~5시   □   김원곤 목사(삼육대학교 교양성경과 교수)

   북한교회의 정치 참여에 대하여

   김원곤(2011) | 북한교회와 선교 알아보기 | 삼육대학교출판부  

8. 2012년 4월 28일(토) 오후 3~5시   □   최창규 장로(평화예배소)

   참으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프란시스 쉐퍼(Francis  A. Schaeffer)(1983) | 위기에 처한 복음주의(The Great Evangelical Disaster) | 윤두역 역 | 서울: 생명의 말씀사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04040353&start=slayer

 

     #  2012년 5월 5일 오전 10시   ◆   춘천삼육외국어학원교회에서 합동예배. 조선족교회 형제자매들과 함께 떠나는 역사의 현장 탐방 (강원도 양구 6.25 격전지 펀치볼 Punch Bowl)

9. 2012년 5월 12일(토) 오후 3~5시   □  김한영 장로(성남중앙교회 )

   “너희가 평화에 관한 일을 알았더라면”

   김기수(2012) |『21세기 대한민국 대외전략 : 낭만적 평화란 없다』: 대한민국 리스크 - 외교편 | 살림출판사   http://www.yes24.com/24/Goods/6263902?Acode=101

    
10. 2012년 5월 19일(토) 오후 3~5시   □   조문산 목사(조선족교회)

      너와 나에게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역사

    존 파이퍼(2011) |하나님의 섭리』| 서경의 역 | 엔크리스토     http://www.yes24.com/24/Goods/6078743?Acode=101

 

11. 2012년 5월 26일(토) 오후 3~5시   □   최창규 장로(평화예배소)

     북한 성경[세기의 력사]과 성경 언어 비교를 통한 호세아서 이해 

     세기의 력사(북한성경은 '성경'을 '세기의 력사'라는 제목으로 되어 있습니다.) 

   
12. 2012년 6월 2일(토) 오후 3~5시   □   박문수 목사(은퇴 후 더 멋진 삶을 사시는 분)

     불평 없이 살아가기/ 감사와 상대에 대한 배려로 평화 공동체 만들어 가기

     윌 보웬 (2007)   | 『불평없이 살아보기(A Complaint Free World)  |  김루시아  역(2009)   |   세종서적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84073008 

13. 2012년 6월 9일(토) 오후 3~5시   □   박준일 장로(공릉동교회). 010-8901-4612, junilp@naver.com 

     춘원 이광수 소설의 이야기와 담론 - 이광수의 『사랑』에 등장하는 주인공 재림신자 석순옥과 그의 가족에 대한 묘사로 본 이광수의 재림교회에 대한 인식

     이광수(1937)   | 『사랑』 |   한국남북문학 100선 48   |   일신서적(1995)       http://www.aladin.co.kr/search/wsearchresult.aspx    

14. 2012년 6월 16일(토) 오후 3~5시   □   명지원 교수(삼육대학교 교양교직과 교수)

     김은국이 『순교자(殉敎者)』를 통해 재림교회 공동체에 보내는 기별

     김은국(1964) |『순교자(The Martyred)』| 도정일 역 | 문학동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54611478

     

15. 2012년 6월 23일(토) 오후 3:30~5:30시   □   홍순명 교수(삼육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내가 꿈꾸는 공동체

     이마미치 도모노부(2004)  | 단테 신곡 강의( ダンテ神曲講義 )』|  이명미 역   |  안티쿠스(2008)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92801033
 

16. 2012년 6월 30일(토) 오후 3:30~5:30시   □   홍순명 교수(삼육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아이들 교육에서 고전독서교육의 가치
     하비 & 로리 블루던(2008) | 『기독교적 고전교육』 김선화 역 | 꿈을이루는사람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93169101 

 

17. 2012년 7월 7일(토) 오후 3:30~5:30시   □   김선만 목사(북아태지회 PMM 부부장) 

     문명 세계에서의 신앙
     투이아비 지금. 에리히쇼이어만 엮음(2009)   | 『빠빠라기』 |  강무성 역  |  열린책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32910278

 

18. 2012년 7월 14일(토) 오후 3:30~5:30시   □     김선만 목사(북아태지회 PMM 부부장) 

     하나님의 종

     짐 호온버거(2006)   | 『하나님께 피하라』 |  시조사

 

19. 2012년 7월 21일(토) 오후 3:30~5:30시   □   김선만 목사(북아태지회 PMM 부부장) 

     분단의 아픔

     존 페퍼(2005)   | 『남한 북한(North Korea South Korea)』  |  정세채 역  |  모색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86128713

 

20. 2012년 7월 28일(토) 오후 3:30~5:30시   □   김한영 장로(성남중앙교회) 

     간디의 생애가 보여주는 평화의 메시지

     마하트마 K. 간디(2007)  | 『간디 자서전(An Autobiography: The Story of My Experiments with Truth)』  |  박선경, 박현석 역  |  동해출판사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70801553


21. 2012년 8월 4일(토) 오후 3:30~5:30시   □   주에스더 

     주에스더(2012) |『빛이 그리워』| 강림

 

22. 2012년 8월 11일(토) 오후 3:30-5:30시   □   조경신(변화산교회)

     북한에도 봄이 온다

     김영욱(2012)  | 『복음주의 입장에서 본 북한선교』  |  박선경, 박현석 역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92193173

   
22. 2012년 8월 18일(토) 오후 3:30~5:30시   □   박종기 원장(에덴요양병원)

     지혜롭고 유연한 공동체 만들기

     켄 블랜차드, 폴 마이어, 딕 류(2007) |『춤추는 고래의 실천(Know Can Do)』| 조천제, 조영만 공역 | 청림출판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35207667&start=slayer

 

23. 2012년 8월 25일(토) 오후 3:30~5:30시   □   박문수 목사(마라토너)

     내가 달리는 이유

     요쉬카 피셔(2000) |『나는 달린다( Mein langer Lauf zu mir selbst )』| 선주성 역 | 궁리(2007)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88804171

23. 2012년 8월 25일(토) 오후 3:30~5:30시   □   이창호 교수(삼육대학교 교양교직과)

     남북한 언어 비교를 통한 남북한 사회문화의 이해

     이옥련, 김영자, 김희진, 김정은(1998) |『남북한 언어 연구』 | 박이정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78781616&start=slayer

    

24. 2012년 9월 1일(토) 오후 3:30~5:30시   □   윤선미(건강전문테라피스트) 

     건강한 재림교회 공동체를 위한 제언

     헬렌 니어링() |『헬렌 니어링의 소박한 밥상(Simple Food for the Good Life)』 - 접시 위에 놓인 이야기 5  | 공경희 역 | 디자인하우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70411763&start=slayer 

 

25. 2012년 9월 8일(토) 오후 3:30~5:30시   □   조문산 목사(조선족교회)

      다문화시대의 한국과 중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

      김성곤(2002) |『다문화시대의 한국인』 | 열음사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74272016

 

26. 2012년 9월 15일(토) 오후 3:30~5:30시   □   김동원 목사(동중한합회 동문교회)

      평신도와 목회자의 팀 목회를 위한 북한선교의 이해

      박영환(2011) |『북한선교의 이해와 사역』| 올리브나무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93620172

 

26. 2012년 9월 15일(토) 오후 3:30~5:30시   □   명지원(삼육대학교 교양교직과 교수)

      국가란 무엇인가 I : 제18대 대통령 선거와 남북 관계의 전망  

      강돈구(2009) |『현대 한국의 종교와 정치』 |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71057238|

      강위조(1977) |『일본통치하 한국의 종교와 정치』 |  대한기독교서회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5000120837

      유경동(2012) |『남북한 통일과 기독교의 평화』 | 나눔사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70270809

      신정현(2004) |『국가연합 사례와 남북한 통일과정』| 한울(한울아카데미)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4603209X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엮음(2012) |『남북한 관계와 국제정치 이론』| 2011년 가을 겨울, 제32집 2호 세계정치 시리즈 16 | 논형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6357122X

      노엄 촘스키(1996) |『촘스키 세상의 권력을 말하다 1(The Common Good )』| 강주헌 역 | 시대의 창(2004)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89229723

      노엄 촘스키(1996) |『촘스키 세상의 권력을 말하다 2(The Prosperous Few and The Restless Many )』| 강주헌 역 | 시대의 창(2004)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89229731   

       드니 로베르, 베로니카 자라쇼비치(글)(2001) | 레미 말랭그레(그림)  |촘스키, 누가 무엇으로 세상을 지배하는가(Noam Chomsky deux Heures de Lucidite)  | 시대의 창(2002)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89229499

       노엄 촘스키(2008) |『촘스키, 우리가 모르는 미국 그리고 세계』-《뉴욕타임스》신디케이트 기고 최신 칼럼| 강주헌 역 | 시대의 창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5940103X 

       노엄 촘스키, 미셸 푸코(2006) | 촘스키와 푸코,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The Chomsky-Foucault Debate: On Human Nature) | 이종인 역 | 시대의 창(2010)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59401943

 

27. 2012년 9월 22일(토) 오후 3:30~5:30   □   최창규 장로(평화예배소)

      국가란 무엇인가 II : 가난한 나라에 대한 부자 나라의 정책과 남북한의 정책의 공통점과 대안

      장 지글러(1999)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La Faim Dans le Monde Expliquee a Mon Fils)』 | 유영미, 주경복, 우석훈 공역 | 갈라파고스(2007)

      장 지글러(2011) |『굶주리는 세계, 어떻게 구할 것인가(Destruction Massive) - 장 지글러의 ‘대량 살상, 기아의 지정학’절망 속에서 희망을 찾다』 |  양영란 역  |  갈라파고스(2012)

      박기덕(2012) |『대북한 인도적 지원에 대한 INGO의 참여 모델 - 식량 분배 모니터링을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7429252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02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52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6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51
15035 2010 보내면서 . . . . 1 반달 2010.12.26 1767
15034 오 탁번의 - 폭설 - 동영상입니다. 8 잠 수 2010.12.27 1624
15033 웃댓사 / 웃찻사 5 fm 2010.12.27 1465
15032 서성임 3 justbecause 2010.12.27 1565
15031 JUSTBECAUSE 님에게 이 동영상을 드립니다. - 743 글 쓰신 분에게 - 부모님의 사랑 7 잠 수 2010.12.27 1560
15030 놀라운 발견, 히브리 성경과 수학 ; 인간이 털끝 만큼도 성경을 건드릴 수 없는 이유( 4 ) 1 purm 2010.12.27 1949
15029 나에겐 어머니가 없었다 7 유재춘 2010.12.27 1651
15028 어릴적 잠수의 모습 - 완존히 코메디 으하하하하하하 웃고 삽시다. 4 잠 수 2010.12.27 1685
15027 뱀을 잡을 신통력 서린 글씨 로산 2010.12.27 1530
15026 명령일까요? 약속일까요? 4 고바우 2010.12.27 1317
15025 눈 꽃을 감상합시다 ( 동영상 ) 잠 수 2010.12.27 1374
15024 똘이의 아빠와 누나 6 너도 2010.12.27 1733
15023 눈 내리는 날 들으면 좋은 음악 ( 하 수길 색소폰 연주 ) 잠 수 2010.12.27 1945
15022 충청도 사람은 말이 느리다고? (퍼온글) 8 초록빛 2010.12.27 1995
15021 완전히 놀이터 수준이다 4 로산 2010.12.27 1528
15020 놀이터의 최고 재미있는 이야기 2 로산 2010.12.27 1256
15019 민스다 노래방에 민초들 모두 초청헙네다. ( 각설이 타령 / 품바 ) 2 잠 수 2010.12.27 1761
15018 {치매 환자}도 회복이 가능하다. . . 놀라운 소식/정보이다. 2 반달 2010.12.27 1698
15017 여긴 남도 경상남도 3 로산 2010.12.27 1455
15016 대통령이 '전쟁'을 말하면 그 아래에서는… 프리즘 2010.12.28 1459
15015 그동안 즐거웠어요 10 김원일 2010.12.28 1505
15014 전 세계 엄마들의 노래 ( 꼬오옥 클릭하시어 들어보이소예 ) 3 잠 수 2010.12.28 1825
15013 정동진 3 rain 2010.12.28 1429
15012 거제도 학동바다 1 rain 2010.12.28 1652
15011 이 사람의 분노.........공감이 가는가요? 4 프리즘 2010.12.28 1564
15010 도움 요청 합니다. 1 빠다가이 2010.12.28 1399
15009 2010 년 한 해를 보내면서 16 잠 수 2010.12.28 1905
15008 그냥 아무 거나 먹고 뒤질래 4 로산 2010.12.28 1706
15007 생각없이 성경 읽는 사람들을 위한 유명한 이야기.. 3 김 성 진 2010.12.28 2032
15006 오드리 햅번이 아들에게 남긴 유언 6 YJ 2010.12.28 1883
15005 노 무현을 말하다 2 로산 2010.12.28 1343
15004 친일파는 살아있다 (펌) 1 지경야인 2010.12.28 2172
15003 두 인격체-8 1 로산 2010.12.29 1478
15002 제주도 휘닉스 아일랜드에서 바라본 성산포 3 rain 2010.12.29 1713
15001 예수가 재림하는 장면 뉴스? 퍼옴 민재림 2010.12.29 1383
15000 김소월 시 사투리 버전 3 장다운 2010.12.29 2064
14999 사랑하는 그대에게 이 노래를 바친다. 사랑을 위하여 ( 김 종환 ) 3 잠 수 2010.12.29 1810
14998 추억의 엘범을 넘기며 = 엘비스의 노래를 부른다. 1 잠 수 2010.12.29 1526
14997 우리는 그래도 행복합니다. 2 새마음 2010.12.29 1443
14996 민초스다 모든 누리꾼님들이 한번 보셨으면 하고..... 5 새마음 2010.12.29 3420
14995 靑山兮要我 청산은 나를 보고 1 잠 수 2010.12.29 1516
14994 씀바귀의 신비한 효능 1 새마음 2010.12.29 1960
14993 * 곡명 : 옛 친 구 . . . . * 아티스트명 : 김 세 환 4 반달 2010.12.29 1639
14992 행복 1 빈티지 2010.12.29 1452
14991 년말에 하는 걸쭉한 이야기-개자식-잠수님께 ㅋㅋㅋ 2 로산 2010.12.29 1906
14990 걸쭉한 이야기 하나 더-영희의 굴욕-잠수님께 2 로산 2010.12.29 1478
14989 삶에 대한 모독 3 프리즘 2010.12.29 1440
14988 다른 각도에서 보기 1 YJ 2010.12.29 1371
14987 천사를 잘못 전달하다 2 무실 2010.12.29 1608
14986 2011 년 새해 인사 드립니다. 3 잠 수 2010.12.29 1410
14985 아프냐, 너도 사람이었구나 2 로산 2010.12.29 1687
14984 근하신년 11 1.5세 2010.12.29 1568
14983 그렇게 잘난 척 하더니 이젠 알쏭달쏭하다 로산 2010.12.29 1488
14982 엄마 아부지는 와 안 오는 기고? 12 유재춘 2010.12.29 1560
14981 인어공주(부산 해운대에서) rain 2010.12.30 1479
14980 안식교 자녀들 세뇌교육 시키기.. 1 김 성 진 2010.12.30 1644
14979 초록빛의 살아가는 이야기 4 초록빛 2010.12.30 1474
14978 예수와의 첫 만남...예수는 그렇게 찾아온다... 14 정은 2010.12.30 1445
14977 지금까지가 아니고 지금부터입니다 8 잠 수 2010.12.30 1458
14976 아는 만큼 고민한다...진화론 4 고뇌자 2010.12.30 1507
14975 새해에 함께 들어보는 음악 - 베에토벤 제 9 번 교향곡 잠 수 2010.12.30 6902
14974 흑마늘의 놀라운 효과와 만드는 방법( 간단히 가정에서 만들수 있음) 3 새마음 2010.12.30 2462
14973 성경의 창조론과 현대 과학적 진화론과의 충돌 2 바이블 2010.12.30 1728
14972 2011년을 맞이하며... 1 1.5세 2010.12.30 1352
14971 진화론이 몽땅 틀렸다 해도 (조회수 35 이후 수정) 김원일 2010.12.30 1365
14970 정명훈의 할렐루야에 침을 뱉으며 (1.5세 님께 사과 드리며). (조회수 5 이후 수정) 11 김원일 2010.12.30 2199
14969 노아 홍수를 부인하기 위해서는 바이블 2010.12.30 1300
14968 성경 창세기 일장과 이장의 내용이 과학적이냐. 바이블 2010.12.30 1823
14967 지구의 종말을 내 의견으로 살아가지 않기 1 로산 2010.12.30 1117
14966 용서에 관하여 6 노을 2010.12.31 1337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