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의 아킬레스 건 세 가지가 있다고들 한다. 첫째는 불화가 끊이지 않는 동생 박근령이고 둘째는 박정희를 저
세상으로 보낸 김재규고 셋째는 후견인 역할을 했던 최태민이다. 박근혜와 최태민을 둘러싼 루머는 단순한 가십을 넘어 한국 현대사의 풀리지 않는
미스터리로 기록돼 있다. 최태민은 김재규의 항소이유서에도 등장한다. 김재규는 최태민의 부정과 박근혜가 그를 감쌌던 것이 10·26 혁명의 중요한
동기 가운데 하나였다고 증언한 바 있다.
조갑제 전 월간조선 편집장이 쓴 ‘한국 현대사’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박근혜는 육영수의 사망 이후 최태민에게 의존했다. 박근혜에게 최태민과의 관계를 끊도록 건의한 비서 3명이 모두 잘렸고 최태민이 추천한 사람이 박근혜의 비서가 됐다. 박근혜는 최태민을 청와대로 불러서 자주 만났다고 한다. 최태민은 자신을 ‘태자마마’라고 불렀다. 최태민이 뇌물을 받고 이권에 개입한다는 보고가 끊이지 않았지만 박정희는 이를 문제삼지 않았다.
최태민은 목사라고 불렸지만 정식으로 신학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 목사 안수를 받은 적은 있지만 승려로 활동하기도 했고 영세교 교주로 활동하기도 했다. 영세교는 1975년 대한구국선교단으로 이름을 바꾸고 최태민은 총재로 취임한다. 대한구국선교단은 이듬해 구국여성봉사단으로 이름을 다시 바꾼다. 박근혜는 이 단체에 명예총재로 이름을 얹는데 최태민은 ‘퍼스트레이디’ 박근혜의 이름을 팔아 부정행위를 저질렀던 것으로 여러 기록이 전하고 있다.
박근혜는 1991년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최태민이) 우리 사회를 걱정하는 사람으로 느껴서 그분과 같이 일하게 됐다”고 말한 적 있다. 조선일보 2002년 인터뷰에서는 “사이비 종교 지도자가 아니라 정식 기독교 목사였고 그렇게 이상한 사람이면 상대도 안 했을 것”이라며 “나도 알아볼 것 다 알아보고 했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최태민은 12·12 직후 사기 및 횡령 혐의 등으로 구속 기소돼 징역 1년6개월을 선고 받는다.
김재규의 항소 이유서에는 이런 내용이 있다. “최태민이 여성봉사단을 조종하면서 이권개입을 하는 등 부당한 짓을 하는데도, 박 대통령은 김 피고인의 ‘큰 영애도 구국여성봉사단에서 손떼는 게 좋습니다. 회계장부도 똑똑히하게 해야 합니다’란 건의를 받아들이지 않았던 일도 있어서, 대통령 주변의 비위에 대하여 아무도 문제 삼지 못하고 또 대통령 자신 그에 대한 판단을 그르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김재규의 변호인이 법원에 낸 항소이유 보충서에는 “큰 영애가 관여하고 있다는 한 가지 이유 때문에 아무도 문제 삼는 사람이 없었다”는 대목이 있다. “박 대통령이 직접 친국까지 시행했고 최태민의 부정행위를 정확하게 파악했으면서도 근혜양을 그 단체에서 손 떼게 하기는커녕 오히려 근혜양을 총재로 하고, 최태민을 명예총재로 올려놓아 결과적으로 개악을 시킨 일이 있었다”는 대목도 주목된다.
조갑제 전 월간조선 편집장이 쓴 ‘한국 현대사’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박근혜는 육영수의 사망 이후 최태민에게 의존했다. 박근혜에게 최태민과의 관계를 끊도록 건의한 비서 3명이 모두 잘렸고 최태민이 추천한 사람이 박근혜의 비서가 됐다. 박근혜는 최태민을 청와대로 불러서 자주 만났다고 한다. 최태민은 자신을 ‘태자마마’라고 불렀다. 최태민이 뇌물을 받고 이권에 개입한다는 보고가 끊이지 않았지만 박정희는 이를 문제삼지 않았다.
최태민은 목사라고 불렸지만 정식으로 신학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 목사 안수를 받은 적은 있지만 승려로 활동하기도 했고 영세교 교주로 활동하기도 했다. 영세교는 1975년 대한구국선교단으로 이름을 바꾸고 최태민은 총재로 취임한다. 대한구국선교단은 이듬해 구국여성봉사단으로 이름을 다시 바꾼다. 박근혜는 이 단체에 명예총재로 이름을 얹는데 최태민은 ‘퍼스트레이디’ 박근혜의 이름을 팔아 부정행위를 저질렀던 것으로 여러 기록이 전하고 있다.
박근혜는 1991년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최태민이) 우리 사회를 걱정하는 사람으로 느껴서 그분과 같이 일하게 됐다”고 말한 적 있다. 조선일보 2002년 인터뷰에서는 “사이비 종교 지도자가 아니라 정식 기독교 목사였고 그렇게 이상한 사람이면 상대도 안 했을 것”이라며 “나도 알아볼 것 다 알아보고 했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최태민은 12·12 직후 사기 및 횡령 혐의 등으로 구속 기소돼 징역 1년6개월을 선고 받는다.
김재규의 항소 이유서에는 이런 내용이 있다. “최태민이 여성봉사단을 조종하면서 이권개입을 하는 등 부당한 짓을 하는데도, 박 대통령은 김 피고인의 ‘큰 영애도 구국여성봉사단에서 손떼는 게 좋습니다. 회계장부도 똑똑히하게 해야 합니다’란 건의를 받아들이지 않았던 일도 있어서, 대통령 주변의 비위에 대하여 아무도 문제 삼지 못하고 또 대통령 자신 그에 대한 판단을 그르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김재규의 변호인이 법원에 낸 항소이유 보충서에는 “큰 영애가 관여하고 있다는 한 가지 이유 때문에 아무도 문제 삼는 사람이 없었다”는 대목이 있다. “박 대통령이 직접 친국까지 시행했고 최태민의 부정행위를 정확하게 파악했으면서도 근혜양을 그 단체에서 손 떼게 하기는커녕 오히려 근혜양을 총재로 하고, 최태민을 명예총재로 올려놓아 결과적으로 개악을 시킨 일이 있었다”는 대목도 주목된다.
![]() |
||
박근혜는 최태민과의 관계를 부인한다. 1990년
육영재단 이사장 퇴임 기자회견에서는 “내가 누구에게 조종을 받는다는 것은 내 인격에 대한 모독”이라며 “최 목사는
88년 박정희 기념사업회를 만들 때 내가 도움을 청해 몇 개월 동안 나를 도와주었을 뿐”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최태민의 비서였던
정윤회가 최태민이 죽고 난 뒤 1996년부터 2002년까지 박근혜의 비서실장으로 일했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정윤회는 최태민의 사위다.
| |||||||||||||
입력 : 2012-08-04 11:50:19 노출 : 2012.08.04 11:50:26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