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25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프레시안>에서 퍼옵니다.

-----------------------------------

한 신학자가 말하는 안철수
김경재가 <안철수의 생각>을 읽고
2012년 07월 28일 (토) 10:59:00 김경재jacobjae@chollian.net

▲ 김경재 교수(한신대 신학과 명예교수)
인터넷 신문 중에서 에큐메니안은 글자그대로 에큐메니칼 교회 운동소식을 주로 많이 싣는 신문인줄 아는데, 워낙 운영자산이 열악하다보니 전문직 기자가 부족하고 교계소식이나 세상 돌아가는 핫이슈에 대하여 연구탐방기사가 아쉬운 형편인줄 짐작한다. 그래도, 교계 에큐메니칼 진영이 2013년 대선에서 정권교체를 통해 보다 인간적 얼굴을 한 사회로 대한민국을 변화시켜야한다는 일념이 서로 통해 우선 민주당 대권후보자를 초청하여 정견을 묻고 검증하는 자리를 마련한 기사도 읽게 된다.

그런데, 아무리 눈을 씻고 보아도 요즘 우리사회 특히 대선정국과 관련되어 태풍의 눈처럼 떠오른 안철수 교수에 대한 기사가 하나도 없는 것은 좀 이상할 지경이다. 필자는 <안철수의 생각>을 읽고 느낀 소감을 간략히 피력하여 에큐메니안의 인터넷신문으로서의 지면을 좀더 넓게 미시오 오이쿠메네’(하나님의 세계살림) 신학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안철수의 생각>을 읽고 무엇보다도 내 맘에 느껴지는 소감은 21세기 정치에 어울리는, 새로운 정치패러다임을 가지고 사회를 리드해갈 수 있는, 모처럼 균형감각을 갖춘 준비된 인물이 등장하였다는 기쁜 생각이 들었다. 그 사람과 경쟁관계에 있는 정당 사람이나 정치하는 사람들이 안철수 수를 향하여 던지는 비판들 중 경험이 없는’, ‘검증되지 않는’, ‘ 현실정치에 초보입문자’, ‘현실을 모르는 이상주의자’, ‘조직된 정당배경 없는 무임승차 기회주의자등등 입맛대로 비판적 평가를 하지만 나는 그런 사람들의 진지하지도 않고 시대착오적인 제3류 정치평에 대하여 도리어 연민을 느낀다.

무엇보다도 안철수 교수는 그가 전공한 공부영역과 독서분야가 의학, 현대물리학, 경영학이라는 점이 내 맘에 깊은 관심을 가져다준다. 그는 서울대학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 공대에서 공학석사 학위를, 그리고 미국 와튼 스쿨에서 경영학석사학위(MBA)를 받았다. 가방끈이 길다는 말이 아니라 우리시대에 지도자로서 일할 사람이 반드시 갖추었으면 좋을 폭넓은 학식과 훈련을 갖춘 사람이라는 말이다. 의사로서 그는 사람 생명을 비롯하여 소위 생명계(Biosphere)의 메카니즘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 그는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으로서 일하는 것이 시사하듯이 과학이 무엇인지를 깊이 이해한다. 그리고 안철수연구소를 창립하여 기업이 무엇이며, 현대사회의 경제구조가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이론과 실재에서 두루 경험을 쌓았다. 현대 신문에 거론되는 주목받는 대선후보자들 박근혜, 문재인, 손학규, 김두관 이상 4분이 그 나름대로 훌륭한 능력이 있겠지만, 안철수 교수는 흔하지 않게 준비된 인물이라고 생각된다.

사람들이 걱정하는 것도 일리가 있다. 험악하고 복잡다단한 현실정치의 실전경험이 부족한 사람 아니냐는 것이다. 일면 타당한 염려일 것이다. 그러나, 큰 정치가에게 현실정치의 실전경험이란 그렇게 중요한 결격사유가 되지 않는다. 세계사에서 훌륭한 정치적 공헌을 한사람들 중에는 현실정치판의 실전경험을 겪지 않고서 전혀 새로운 패러다임 정책으로써 역경에 처했던 사회와 문명을 건져낸 경우가 많이 있다. 공자가 군자불기’(君子不器)란 말도 그런 뜻이다. 혹시 현실정치의 실전경험이라는 말 속에 지금까지 정치계의 상징처럼 당파정쟁, 계파협상, 정경유착, 관료주의, 이념적 흑백논쟁의 진흙탕 싸움경험이 없다는 의미라면 그런 염려는 타당성이 없다. 많은 국민이 안철수를 기대하는 것은 바로 지난세대의 그런 정치문화에 충분히 식상했고 희생당했기에 이제는 그런 정치행태의 청산을 갈망하기 때문이다.

내가 <안철수의 생각>을 읽고 깊은 관심을 갖게된 둘째 이유는 그가 제시한 그의 큰 생각의 틀의 방향이 옳고 건전하기 때문이다. 안철수가 제시한 큰 정치의 세 가지 화두는 복지국가, 정의로운 국가, 그리고 평화통일 이다. 안철수 교수만이 아니라, 오늘 차기 대통령후보로 나서서 뛰고 있는 앞서 거론한 유능한 분들이 모두 용어상으로 보면 대동소이한 주제를 내걸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좀더 깊이 들어가 보면 많은 차이가 있다.

안철수재단의 재산환원에 즈음하여 그가 연구소 동료들에게 보낸 이메일 내용 중에는 매우 중요한 그의 심장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첫째는 자신이 이룬 놀라운 업적이 자기 자신 혼자만의 재능이나 노력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는 깊은 인식과 그러므로 자신의 기업자산이 자기 개인의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다. 둘째는,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수많은 문제의 핵심 중 하나는 가치의 혼란과 자원의 편중된 배분이며, 그 근본에는 교육이 자리 잡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현실진단이다.

복지국가와 정의로운 국가를 실현시키는 과제로서 제일 중요한 문제가 경제의 민주화로 진단하고, 경제민주화의 처방을 어려운 경제이론으로서가 아니라 소수가 특권을 가지고 시장을 독점하고 좌우하는게 아니라 국민들 누구나 경제주체로서 공정한 기회를 보장받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야말로 상식의 정치다. 복지와 정의라는 큰 시대의 화두와 나란히 가는 또 하나의 큰 화두가 우리시대에 평화임을 양심있는 이 나라 사람이라면 다 느끼고 있다. 동족끼리 휴전기간을 60년이나 지속시키면서, 양측이 막대한 군사비를 들여가면서 서로 총구를 겨누고 있는 이런 상황은 아무리 현실론자들이 애국과 이념을 가지고 변명할지라도 정상적 인간사회모습이 아니다. 부끄럽고 어리석고 죄짓는 짓이다. 그런데, 안철수교수는 통일은 사건이 아니라 과정이다라는 명제를 내걸고 현실적으로 남북이 대화, 교류, 상생,통일로 가는 기본 정치철학을 제시하고 있다. 이 말이 새로운 남북관계를 열어갈수 있다고 믿는다.

마지막으로 한가지만 더, 내가 <안철수의 생각>을 읽고 느낀 감동은 그의 근본적인 인생관이다. 나의 직업이 신학교수였고 목사였고 종교계에서 일생동안 일 해왔기 때문에, 그의 인생가치관과 특히 종교관에도 관심이 없을 수 없었다. 그는 자기 부인은 가톨릭신자이지만, 자신은 특정종교가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넓게 말하면 현실적 휴머니스트라고 느껴졌다. ‘현실적이라함은 인간을 관념적으로 보지 않고 현실적으로 본다는 말인데, 인간이 한없이 야비한 욕심과 권력에 중독된 악한 사람이 될 수도 있고, 선한 의도를 가지고 인간의 유한성과 한계성을 가지고서 최선을 다해 아름답게 삶을 살고 가는 사람도 있다고 보는 것이다.

특정종교에 기울어지지 않는 열려진 태도가 도리어 맘에 들었다. 다만 그는 자기 이름 석자를 길이길이 기억시키고 남기려는 생각은 없고, 지극히 작지만 좋은 삶의 흔적을 남기는 것이라는 말 속에서 적어도 자아집착적인 권력의지나 독선적 독단주의를 거절하는 성숙한 휴머니스트를 본다. 자기종교를 사랑하는 것을 넘어서 자기이름을 영원히 남기려는 성직자들이 득실거리는 한국교계에서 안철수가 목사인 필자보다 그의 인생관에 투철함으로써 맘을 비운 자라는 느낌이 들었다.

그의 대선후보자로서 행보가 어떻게 결판날지는 나는 모른다. 민주당의 훌륭한 후보자들이 최선의 경쟁을 통해 단일후보가 결정되고, 어떤 형태와 과정을 거쳐서든지 정당을 배경으로 하지 않지만 나라를 새롭게 해보려는 재야에서 준비된 사람이 공식적으로 태도를 천명한다면, 공정한 절차와 민심의 참 소리에 순명하여 국민의 야권후보의 단일화가 반드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야권의 기대를 받고 있는 김두관, 손학규, 문재인, 안철수 네 분 중에서 어떤 단일후보가 최종적으로 결정되던지 간에, 그들이 진정 맘을 비우고 역사와 하늘의 소명에 순명하겠다는 마음만 가진다면 2013년 한국정치계의 정권교체는 이루어 질것으로 믿는다. 그들의 선전에 격려를 보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01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50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6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51
15105 이상구 박사의 착각 : 셋째 천사 기별이 조사심판에서 믿음의 의로 바뀌었는가?(1) 5 엘리야 2016.06.28 226
15104 오늘 뉴스는 앞으로 SDA는 국가의 법률상 보호를 뺏기고, 일반인 누구든 SDA를 죽일 자유가 주어진다는 예언을 실감나게 함 2 누렁이 2016.06.28 148
15103 ‘철근 410톤’ 실은 세월호는 그날 밤 왜 홀로 떠났을까? 410톤 2016.06.28 53
15102 토론방 이야기 Yerdoc 2016.06.28 123
15101 빛과 암흑 비교 2016.06.28 77
15100 우리가 아는 구원의 계획은 만민을 위한 복음입니다. yk 2016.06.28 117
15099 소리없이 2 fallbaram. 2016.06.28 156
15098 M. L. 앤드리아슨: 재림교회가 태음력 안식일 대신에 토요일을 지키는 이유 3 달처럼 2016.06.28 176
15097 요즘 왜 이리도 현기증이 날까? 6 김균 2016.06.27 281
15096 그녀의 웃음 소리뿐... 3 동해바다 2016.06.27 113
15095 새로운 친구를 만들수있을까? 지금도? 7 fm 2016.06.27 163
15094 질문있읍니다. 7 궁금 2016.06.27 205
15093 세월호 철근 400톤이 남긴 5가지 의문점 조작된 선적 의뢰서, 계속되는 거짓말… 세월호 침몰 직후 국정원 직원의 의문의 전화 400ton 2016.06.27 38
15092 지구역사의 마지막 때에 특별한 빛이 있게 될 것이다. 달처럼 2016.06.27 52
15091 동성애와 환경 호르몬 이야기 3 fallbaram. 2016.06.27 176
15090 진짜배기 예수 2 Yerdoc 2016.06.27 142
15089 동성 연애자 들 의 축제 그 반대편 에서 2 박성술. 2016.06.27 200
15088 필명 "오신예수", "youngkim" 님께! 3 기술담당자 2016.06.27 165
15087 저 박성술 환쟁이 병원에 데려가 약 먹여 그림을 못 그리게 하든지 그놈의 붓을 불살라버리든지. 7 김원일 2016.06.27 347
15086 김주영님의 "부재자 예수" 오늘도 당했다. 24 계명을 2016.06.27 408
15085 아제리나여 4 fallbaram. 2016.06.27 146
15084 삼포영감님 1 fallbaram. 2016.06.27 125
15083 박성술 님, '박근혜 7시간' 조사해야 할까요? 6 술술 2016.06.27 158
15082 우리 안식일 교회 도 성령 받은 분 계시는지 모르겠다 3 박성술. 2016.06.27 226
15081 김대중 대통령 1969년 군중연설 캄씨 2016.06.26 33
15080 보수의 아성 대구에서 생긴 일 1 김원일 2016.06.26 150
15079 어느 때까지 너희가 내 계명과 내 율법을 지키지 아니하려느냐 달처럼 2016.06.26 87
15078 어디서 이단 냄새가 솔솔 난다 10 김균 2016.06.26 334
15077 노무현 김대중후보 찬조연설 위아래 모두 감동 3 오신예수 2016.06.26 5643
15076 @@. . 이상구 박사님! 저는 귀를 쫑긋하면서 박사님의 가르침에 박수 갈체를 보냈던 이상구 박사님의 사랑받는 강위덕입니다. (펌 - 토론방 에서) 1 wk 2016.06.26 1193
15075 김주영님의 글을 읽고 떠 오른 "상구식 조사심판"의 추억 8 leesangkoo 2016.06.26 364
15074 사람이나 동물이나 가족이란.... 가족 2016.06.26 57
15073 바다여 10 fallbaram. 2016.06.25 203
15072 야3당, 1만 시민 앞 “세월호 유족이 언제까지 농성해야 하나” 지팡이 2016.06.25 31
15071 세월호 농성장 경찰 침탈, 유가족 강제 연행에 실신하기도 경찰, 유가족 없는 틈에 농성장 차양막 철거... 집회 신고도 했는데 “시민들 통행에 지장” 이유로 지팡이 2016.06.25 24
15070 김창수 "'(노무현 대통령 수사한) 오피스텔 50채' 홍만표 전 검사... 노 대통령 죽음이 억울하다!"... 겸손 2016.06.25 47
15069 브렉시트는 영국 노동계급과 세계 노동계급의 일보 전진이다 1 김원일 2016.06.25 87
15068 바보 같은 난 눈물이 날까. 3 동해바다 2016.06.25 113
15067 가을 바람님 13 바다 2016.06.25 210
15066 따뜻하고 좋은 글... 갈릴리 예수가 사무치게 그립습니다. 3 소리없이... 2016.06.25 122
15065 잊혀져가는 희생 잎새 2016.06.25 78
15064 부재자 예수 16 file 김주영 2016.06.25 409
15063 영웅을 만드는 사회,영웅을 죽이는 사회...국민을 부르지 마십시요....석해균선장과 김관홍잠수사. 국가는그들을버렸다 2016.06.24 37
15062 君君臣臣父父子子 3 김균 2016.06.24 160
15061 웃기는 이야기 두 토막 1 김균 2016.06.24 153
15060 소다와 이스트와 누룩 하주민 2016.06.24 61
15059 전원책 "박정희는 과보다 공이 훨씬 매우 크다. 그분은 위대합니다!" 박빠 2016.06.24 35
15058 그날과 그시는 아무도 모른다는 것은 재앙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 청풍명월 2016.06.24 63
15057 [인물 현대사] 각하가 곧 국가다 - 차지철(04 06) 추모 2016.06.24 26
15056 전두환 미공개영상 추모 2016.06.24 47
15055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잊혀진 죽음들 - 인혁당 사건 추모 2016.06.24 19
15054 소설 같은 이야기 삼천포 2016.06.24 78
15053 웃기는 이야기 한 토막 김균 2016.06.24 133
15052 성경에 나오는 심판에 관하여 생각할 꺼리 2 fallbaram 2016.06.24 176
15051 성경의 안식일을 지키는 것이 이단이면, 일요예배는 태양신 종교인가-성결교 원로 한성호목사 7 오렌지 2016.06.24 161
15050 (신앙과 양심) 충격 "안식일의 진실" 1 행복 2016.06.24 118
15049 15년 8월16일 안식일 - 장경동 목사 1 행복 2016.06.24 128
15048 제1부 안식일을 어떻게, 왜? 1 행복 2016.06.24 70
15047 영국인들이 왜 이러나 2 IMF 2016.06.24 96
15046 야들은 입만 열면 점진적으로 발전한다나 4 김균 2016.06.24 192
15045 이중심판론(조사심판론)과 몰트만의 만유구원론 3 아기자기 2016.06.23 131
15044 카 비공개토론방 펌) 이상락님의 히9:12절 해석에 상번된 화잇의 새 해석 / 이은0님의 반론 글 2 옆동네 2016.06.23 106
15043 화잇의 조사심판이나 이상구의 찌지직 뉴스타트나.. 4 김 성 진 2016.06.23 241
15042 SDA 과거 역사를 상세히 설명해 주어야 한다(2가려390) 1 청풍명월 2016.06.23 108
15041 민초가 뭔가를 뵈 주었네. 4 하얀 조가비 2016.06.23 179
15040 뼛속깊이 새겨진 행위로 말미암는 의 1 청지기 2016.06.23 92
15039 전용근과 함께 걷는 음악산책 ' The Pearl Fishers 진주 조개잡이 - Bizet ' Alison Moyet 1 전용근 2016.06.23 57
15038 카스다 비공개 토론방에 올라온 강위덕님 글) 세천사의 기별에 대한 나의 소고 6 2016.06.23 173
15037 [세월호] 해경의 교묘한 방해...이종인 대표 "적대감 느꼈다"(2014.05.02) 모두가잠든사이 2016.06.23 26
15036 4.22 오보와 거짓말.. 늙은 잠수부의 눈물 모두가잠든사이 2016.06.23 27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