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247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크리틱] ‘진정성’이라는 가면 / 문강형준


문강형준 문화평론가


최고의 인기를 구가했던 연예인 강호동이 평소 자주 쓰는 말 중 하나가 ‘진정성’이었다. <무릎팍도사> 등 자신이 진행하던 토크쇼에서 강호동은 성공한 명사가 인생 역정과 직업정신을 이야기할 때마다 ‘진정성이 있다’고 표현하며 감동했다. 그가 없는 지금도 ‘진정성’의 물결은 여전하다. <슈퍼스타케이> 등 오디션 프로그램에 빠짐없이 등장하는 감동적 사연의 가수 지망생들, <강연 100℃>에 나오는 자수성가형 노력가들, <짝>에서 열렬히 구애를 펼치는 남녀들에게까지 ‘진정성’이라는 표현은 널리 쓰인다. 오디션에 나온 이들이나 자수성가한 이들, 사회적 명사들 모두 성공하고 싶어하거나 이미 성공한 이들이라는 점에서 ‘진정성’은 오늘날 ‘성공’의 한 척도로까지 재현되고 있다고 말할 수도 있다.


원래 진정성을 뜻하는 영어의 ‘authenticity’라는 단어는 ‘authentikos’(진짜)라는 그리스어에서 기원했다. 가짜들이 많은 곳에서 ‘진짜’는 ‘원본’ 혹은 ‘독창성’을 의미했다. 독창성이 담긴 원본을 만들어내는 이들이 ‘작가’(author)라고 불린 것은 이 때문이며, 따라서 이들의 작품은 ‘권위를 가진’(authoritative) 것이 된다.


서구에서 ‘진정성’이라는 에토스는 18세기 이후 근대적 개인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는데, 고유한 ‘진심’을 가진 도덕적 개인이 진실되지 않은 사회와 대면하면서 그 사회를 바꿔나가기 위해 노력하는 자세를 의미했다. 그래서 ‘진정성’은 흔히 사회 진보를 염원하는 청년들로 표상된다. 한국 사회에서 ‘진정성’의 에토스는 1980~90년대를 풍미하며 청년문화의 헤게모니가 되었다가 1997년 외환위기를 맞으면서 급속히 사라진다. ‘생존’이 정언명령이 된 강력한 자본주의 체제 속에서 ‘진정성’을 가진 이들은 가장 먼저 망하기 십상이다. 오늘날 유일하게 ‘진정’한 것은 자본이기 때문이다.


다른 많은 개념들이 그렇듯 ‘진정성’ 역시 그것이 사라졌기에 더 남발된다. 생존의 압박 속에서 무한 경쟁하는 주체들은 ‘진심’이 인정받고 권위를 가졌던 ‘옛날’을 가끔 그리워할 것이므로. 찍어낸 듯 똑같은 아이돌 그룹의 노래 홍수 속에서 <나는 가수다>나 <불후의 명곡>이 다시 호출하는 1980~90년대의 명곡들은 잠깐이나마 느껴보는 그런 진정성 있는 옛날이다. <건축학 개론>, <응답하라 1997> 등 ‘1990년대로의 복고’ 역시 마찬가지다. ‘첫사랑의 아련함’만큼 우리가 진심이었던 적이 있었던가. ‘사람이 먼저다’를 내세우는 문재인 후보, ‘진심의 정치’를 외치는 안철수 후보 등도 모두 ‘진정성’에 기대고 있다. 속물의 대명사가 된 이명박 대통령과 차별화하는 데 ‘진정성’은 강력한 슬로건이다.


하지만 생존경쟁의 체제에서 끝없이 속물화된 주체들에게 ‘진정성’은 그저 하나의 위안일 뿐이다. 그것은 살아남기 위해서라면 어떤 일도 할 수 있는 오늘날 ‘우리들’이 자신의 수치스러움을 감추기 위해 더 열심히 찾는 가면 같은 것이다. 드러나는 이미지와 실제 현실이 다른 곳으로 알려진 연예계와 정치권에서 ‘진정성’이 가장 열심히 호출되고, 누구나 개탄하는 이 폭력적인 사회에 붉은 십자가가 도시를 뒤덮고 있으며, 성공을 돕는다는 자기계발서와 ‘진정성’을 설교하는 멘토들의 책이 나란히 베스트셀러 목록에 놓여 있는 현상들은 그 자체로 모순이다. 어떤 이들은 이러한 분위기를 ‘열망’이라 표현하지만, 그것은 대중에 대한 비판이 유일한 터부인 곳에서 만들어진 환상이다.


오히려 우리에게 절실한 것은 현실의 더러움과 모순들을 있는 그대로 지적하면서 우리가 얼마나 ‘쓰레기’가 되어가고 있는지 읊조리는 냉소적인 목소리다. 따뜻하고 긍정적이고 부드럽기만 한 이 ‘진정성’이라는 문화적 분위기 속에서 완전히 사라지다시피 한 차갑고 딱딱한, 무엇보다 ‘진실된’ 그런 목소리 말이다.


문강형준 문화평론가


출처: 한겨레신문

  • ?
    박성술 2012.09.22 11:08

    아랫쪽   셋째줄 부터  

    그것을   현대  사람들이   찾고힜는   " 진정성 "  인 됍죠.

    삥삥  돌다가   제 자리로  다시온  문화 평론  인듯  싶습니다   ㅎㅎ

  • ?
    arirang 2012.09.24 04:26

    진정성을 재림교인들이 사용하는 용어로 말하면 무엇일가요?

     

     

    서구에서 ‘진정성’이라는 에토스는 18세기 이후 근대적 개인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는데, 고유한 ‘진심’을 가진 도덕적 개인이 진실되지 않은 사회와 대면하면서 그 사회를 바꿔나가기 위해 노력하는 자세를 의미했다. 그래서 ‘진정성’은 흔히 사회 진보를 염원하는 청년들로 표상된다. 한국 사회에서 ‘진정성’의 에토스는 1980~90년대를 풍미하며 청년문화의 헤게모니가 되었다가 1997년 외환위기를 맞으면서 급속히 사라진다. ‘생존’이 정언명령이 된 강력한 자본주의 체제 속에서 ‘진정성’을 가진 이들은 가장 먼저 망하기 십상이다. 오늘날 유일하게 ‘진정’한 것은 자본이기 때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68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265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196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081
11815 내 차 에어컨 성능이 갑자기 좋아졌습니다. 3 최종오 2012.09.19 1358
11814 [평화의 연찬(제28회, 2012년 9월 22일(토)] 사랑하는 기업, 사랑받는 기업|최준환(전 삼육대학교 부총장) | 잭디시 세스, 라젠드라 시소디어(2008) ♣ 『위대한 기업을 넘어 사랑받는 기업으로』- 새로운 방식으로 놀라운 수익을 거두고 있는 세계 최고의 기업들|워튼스쿨 경제경영총서 22 | 권영설, 최리아 역 | 럭스미디어 1 (사)평화교류협의회 2012.09.20 3534
11813 탈르로 물감들인 검은깨 ? 2 검은깨 2012.09.20 1786
11812 이러한 목회자들을 조심하십시요! 2 itssad 2012.09.20 1248
11811 "순복음교회 교인 출가하다" 1 돌베개 2012.09.20 1428
11810 내가 제일 싫어하는 종교인 4 로산 2012.09.20 1359
11809 <연합시론> 종교계의 자정 노력을 주목한다 1 주목 2012.09.20 1273
11808 타령 3 로산 2012.09.20 1343
11807 박정희가 나쁘니 박근혜도 나쁘다고? 우끼고 자빠졌네 3 유재춘 2012.09.21 1852
11806 사과 드리려 하오니 받아 주셔야 합니다 1 로산 2012.09.21 1429
11805 이 멋진 이름으로...유신 1 로산 2012.09.21 1778
» 진정성에 관한 이야기 2 김원일 2012.09.21 1247
11803 [평화의 연찬(제29회, 2012년 9월 29일(토)] 김정은 체제의 이해와 남북관계의 전망|현인애(NK지식인연대 부회장) | 후지모토 겐지(2010) ♣ 『북한의 후계자 왜 김정은인가』|한은미 역|맥스미디어 1 (사)평화교류협의회 2012.09.21 1247
11802 경제민주화 1 로산 2012.09.21 1289
11801 형님 지 는 개떡도 안 만들면서. 14 박성술 2012.09.21 1865
11800 Dress Classy, Dance Cheesy 4 불암거사 2012.09.22 1845
11799 조폭수준의 국가인가? 1 로산 2012.09.22 1516
11798 심심풀이 퀴즈 하나 7 김주영 2012.09.22 1711
11797 김대성연합회장의 "진리의바다" 와 높은뜻 연합선교회 김동호 목사의 "교회세습 반대" 에 대한 의견은? 3 choshinja 2012.09.22 3153
11796 피에타 감독 김기덕의 설교 2 김원일 2012.09.22 1749
11795 로스쿨의 양심 2 로산 2012.09.22 1364
11794 나라를 망치는 7가지 악 3 로산 2012.09.23 1683
11793 "오직 성경으로“ 2 로산 2012.09.23 1312
11792 Two thumbs up! Beautiful duet! 5 Young 2012.09.24 2457
11791 내 인생에 가을이 오면 1 불암거사 2012.09.24 1572
11790 적그리스도 4 김주영 2012.09.24 1620
11789 아이폰5 실망? 써보니 줄 서서 살 만하다 2 arirang 2012.09.24 1877
11788 앗 이런.. 위성전도회 설교 "미리보기" 1 미리보기 2012.09.24 1577
11787 소돔과 고모라를 연상케 하는 우리나라 3 아리송 2012.09.25 4695
11786 하나님 안에 있는 가나안’(Canaan in God)과 ‘가나안 안에 있는 하나님’(God in Canaan)--기똥찬 설교 하나 2 김원일 2012.09.25 1943
11785 성경의 페르시아 왕조에 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6 가을향기 2012.09.26 2884
11784 싸이 `강남스타일' 빌보드 메인차트 2위 1 에디 2012.09.26 1518
11783 선의로 2억 주고 결국 알거지 신세된 사람 5 아리송 2012.09.26 1684
11782 감리교회에서 설교하고 온 소감 6 최종오 2012.09.27 1364
11781 [평화의 연찬(제29회, 2012년 9월 29일(토)] 김정은 체제의 이해와 남북관계의 전망|현인애(NK지식인연대 부회장) | 후지모토 겐지(2010) ♣ 『북한의 후계자 왜 김정은인가』|한은미 역|맥스미디어 1 (사)평화교류협의회 2012.09.28 1354
11780 또 다른 재림 5 김주영 2012.09.28 1488
11779 북한에도 강남 스타일 열풍이? 1 아리송 2012.09.28 1453
11778 안식일교 목사, 지금 같았으면 주먹을 날렸을 거다 1 강철호 2012.09.28 1258
11777 Sarah Brightman A Whiter Shade Of Pale - Extended Version By Montecristo 1 arirang 2012.09.28 1221
11776 추석 명절을 맞이하며 3 1.5세 2012.09.28 1632
11775 [평화의 연찬(제30회, 2012년 10월 6일(토)] 박인경(북한이탈주민의 대모(大母)) |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거주 및 적응 상황과 우리의 할 일|김현경(2012) ♣ 『북한이탈주민의 삶 들여다보기』| 한국학술정보 1 (사)평화교류협의회 2012.09.28 1687
11774 1991년에 멈춘 시계 1 로산 2012.09.28 1440
11773 성은이 망극하나이다 1 로산 2012.09.28 1406
11772 떠나자니 공들인 것이 아깝고 1 로산 2012.09.29 1354
11771 이 가을 서대문 옥마당 사형장 가는 길 미루나무가 높은 건...어떤 소설가의 설교 1 김원일 2012.09.29 1431
11770 까치의 눈물 2 푸른송 2012.09.29 1275
11769 하나님의 나라의 원칙인 무아의 정신은 사단이 미워하는 것이다. 2 푸른송 2012.09.29 1450
11768 추석 명절입니다. 지가 만든 송편좀 드세요 ~~ 2 푸른송 2012.09.29 1404
11767 안철수 "내 인생에 편법 있다면 은행직원 곰보빵 사준 것" 8 아리송 2012.09.30 1825
11766 위성전도회를 보고 5 snow 2012.09.30 1536
11765 낸시랭, '새누리 정동영 종북색깔론' 비판 1 새세상 2012.09.30 1630
11764 인생만사 새옹지마 4 로산 2012.09.30 1315
11763 Life speak louder than preaching. 1 이동근 2012.10.01 1457
11762 공금 6억과 박근혜...벼룩 낯짝...꼴통 언론들의 말장난 1 로산 2012.10.01 1316
11761 대법원 '곽노현 유죄판결'의 5가지 문제점 3 푸른송 2012.10.01 1175
11760 왜, 난 대한민국을 포기했나. 1 푸른송 2012.10.01 1211
11759 이러한 목회자들을 조심하십시요! 3 itssad 2012.10.01 1573
11758 나는 입산파 나 채식주의 자 가 된다는것 이 죽기보다 싫었다 . 9 박성술 2012.10.01 1426
11757 친구야, 나… 기억을 잃어가 1 로산 2012.10.01 1197
11756 참 단순하게 믿었던 기억들 저편에 1 로산 2012.10.02 1504
11755 나꼼수 중단 시킬 것 1 로산 2012.10.02 1130
11754 메일을 주고받던 그 여인 2 푸른송 2012.10.02 1389
11753 첫 가을편지를 그대에게 ... 2 푸른송 2012.10.02 1409
11752 신앙부흥과 개혁 (교회의 심각한 필요) 2 푸른송 2012.10.02 1101
11751 초중고생 자살 현 정부 들어 1.3배 증가, 왜? 1 가슴이 아파 2012.10.03 1528
11750 선악과와 채식 3 로산 2012.10.03 1182
11749 언젠가는 떠나야 하는 한때의 여인숙입니다. 1 푸른송 2012.10.03 1250
11748 초토화 되든지 말든지인가? 1 로산 2012.10.04 1476
11747 이 상호 1 로산 2012.10.04 963
11746 박근혜가 대선에서 이기는 길을 제시한 뉴데일리 1 로산 2012.10.04 1063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