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2 9 23 / 성령강림절 열여덟 번째 주일

 

그는 선택했다!

아브라함 이야기 1

창세기 11:27-12:3

 

곽건용 목사

 

마리아는 왜 그랬을까?

 

목사와 버스 운전사가 함께 천국에 갔는데 버스 운전사는 대궐 같은 집을 배정받았고 목사는 초라한 집을 배정받았답니다. 목사가 베드로에게 어찌 된 일이냐고 물었더니 베드로 왈(), “당신이 설교할 때 청중들은 졸았지만 저 운전사가 운전할 때는 위험하게 운전해서 승객들은 모두 ‘주여, 여기서 살려주신다면 교회에 나가겠습니다.’라고 기도했다. 너는 사람들을 졸게 만들었고 저 친구는 기도하게 만들었다. 알겠나?

 

설교가 지루하지 않아야 한다는 데는 모두 생각이 같을 것입니다. 감리교회 창시자 존 웨슬리는 설교 시간에 한 사람만 졸아도 설교를 중단하고 강단에서 내려갔다고 합니다. 또 어떤 설교학 교수는 “설교시간에 교인들을 지루하게 만드는 것은 죄”라고 말했답니다. 예배 끝나 예배실을 나가는 교인들의 얼굴은 빛이 나고 생기가 돌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불가능해 보이는 것도 할 수 있다는 희망을 줘야 하고 포기하려 했던 것에도 다시 도전하게 만들어 주는 게 설교이고 예배여야 한다고 합니다. 이런 말들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오늘의 설교만큼은 이랬으면 좋겠습니다.

 

누가복음 10장에는 예수님 일행이 마르다와 마리아 집에 머물렀던 얘기가 있습니다. 일행이 몇 명인지는 모르겠지만 한두 명은 아니었을 테니 그들을 대접하려면 마르다, 마리아 자매는 매우 분주히 뛰어다녀야 했을 겁니다. 아니, 그랬어야 하는데 동생 마리아는 손님 대접은 하지 않고 예수님 발치에 앉아서 열심히 말씀을 듣고 있는 게 아닙니까. 그래서 마르다는 예수님께 “주님, 제 동생이 저에게만 일을 떠맡기는데 이것을 보시고도 가만두십니까? 마리아더러 저를 좀 거들어주라고 일러주십시오.”라고 말했답니다. 마르다가 이런 얘기를 왜 손님인 예수님에게 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녀는 예수님을 만능 해결사라고 생각했을까요? 어쨌든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겠지요. 하지만 예수께서는 그녀의 기대와는 다른 대답을 내놓으셨습니다. “마르다야, 너는 많은 일에 다 마음을 쓰며 걱정하지만 실상 필요한 것은 한 가지뿐이다. 마리아는 참 좋은 몫을 택했다. 그것을 빼앗아서는 안 된다.

 

우리는 마리아가 어떤 사람인지 모릅니다. 요한복음은 예수께 향유를 붓고 머리칼로 닦은 여인이 마리아였다고 전하지만 다른 복음서는 그렇게 전하지 않습니다. 이 짧은 일화 하나로 그녀의 성격을 판단하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집에 손님이 오면 식구들이 함께 접대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입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마리아가 언니를 돕지 않고 예수님 말씀을 들었다면 그럴만한 이유가 있지 않았겠습니까? 그녀가 제 정신이었다면 말입니다. 예수님은 그녀가 ‘참 좋은 몫을 택했다’고 말씀했지만 그렇다고 마르다가 쓸데없는 짓에 신경 쓴다고 그녀를 꾸짖지도 않았습니다. 마르다도 잘못 행동하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마리아가 더 좋은 몫을 택했다는 뜻이었을까요? 예수님은 그들의 행동을 인륜과 관습과 상식에 따라서 판단하신 것이 아니라 그보다 더 깊은 눈으로 보셨던 것은 아닐까요? 예수님은 마리아가 ‘좋은 몫을 택했다’고 말씀했는데 이 ‘좋은 몫’이 무엇을 가리킬까요? 마리아의 행위에는 두 가지 판단이 게재되어 있었습니다. 손님 시중드는 것보다 말씀 듣는 것이 더 ‘좋은 일’이라는 판단이 하나이고, 나중에 어떤 일이 벌어진다 해도 그것을 다 감수하겠다는 결단이 다른 하나입니다.

 

우리는 살면서 좋을 줄 알면서도, 또 올바른 줄 알면서도 그것을 선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좋은 걸 누가 모르나? 형편이 그렇지 않으니까 못하는 거지.’라고 핑계대면서 말입니다. 어느 편이 좋은가 하는 판단은 그 사람의 ‘가치관’이 결정합니다. 하지만 좋은 편을 ‘선택’하는 것은 그 사람의 ‘결단력’이 좌우합니다. 좋은 줄 아는 것과 그것을 선택하기로 결단하는 것은 똑같지 않습니다. 우리는 좋은 줄 알면서도 선택하지 않기도 하고 나쁜 줄 알면서도 선택하기도 합니다.

 

사람들은 흔히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사는 사람은 행복하다.’라는 말을 합니다. 이 말은 내가 ‘하고 싶은 일’과 내가 ‘하고 있는 일’이 우연히 일치하기 때문에 행복하다는 뜻이 아닙니다. 우연은 사람을 지속적으로 행복하게 만들어주지는 않습니다. 그런 행복은 지속적이지 않습니다. 하고 싶은 일을 하는 사람이 행복한 까닭은 그가 그 일을 하기 위해서 버리고 포기한 게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를 포기하고 다른 하나를 선택했기 때문에 행복하다는 얘기입니다. 역설적으로 들리겠지만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사는 사람은 그걸 하기 위해서 다른 것을 포기했기 때문에 행복한 것입니다.

 

 

데라와 아브라함은 무엇이 달랐나?

 

얘기의 스케일을 좀 키워보겠습니다. 오늘부터 몇 주 동안 아브라함에 대해 생각해보겠습니다. 아브라함은 어떤 사람입니까? 예수님이 그에 대해 뭐라고 말씀하셨는가를 살펴보니까 특별히 하신 말씀이 없어서 놀랐습니다. 구약성서에서 그의 비중을 생각하면 놀라운 사실입니다. 아브라함을 새롭게 이해하고 해석해서 당대에 되살려낸 사람은 사도 바울입니다. 바울은 아브라함을 과거 한때를 살다가 죽어간 ‘과거형 인물’이 아니라 자기 세대에 살아 숨 쉬는 ‘현재형 인물’로 되살려냈습니다. 그래서 창세기와 바울서신을 함께 읽어가면서 아브라함에 대해 생각해보겠습니다.

 

아브라함의 선조는 셈이고 셈은 노아의 세 아들 중 하나입니다. 창세기 11 10절 이하에 있는 셈의 족보 맨 마지막에 아브라함 아버지 데라의 이름이 나옵니다. “나홀(아브라함의 할아버지)은 스물아홉 살에 데라를 낳았다. 나홀은 데라를 낳은 뒤에 백십구 년을 더 살면서 아들딸을 낳았다. 데라는 일흔 살에 아브람과 나홀과 하란을 낳았다.” 데라 윗대는 모두 2-30대에 자식을 낳았는데 데라는 칠십 세에 아들을 낳았습니다. 데라의 아들들은 늦둥이였던 셈입니다. 나중에 아브라함이 백세가 돼서야 이삭을 낳을 것을 미리 보여준 것일까요?

 

데라에 대한 얘기는 짧지만 흥미로운 내용이 있습니다. “데라는 아들 아브람과 하란에게서 난 손자 롯과 아들 아브람의 아내인 며느리 사래를 데리고 가나안 땅으로 오려고 바빌로니아의 우르를 떠나서 하란에 이르렀다. 그는 거기에다가 자리를 잡고 살았다. 데라는 이백오 년을 살다가 하란에서 죽었다”(창세기 11:31).

 

여러분은 놀랍지 않습니까? 뭐가 놀라우냐고요? 데라는 ‘가나안 땅’으로 가려고 했답니다! 그는 메소포타미아의 우르라는 곳에 살다가 거기를 떠나 하란까지 와서 하란에서 살다 죽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최종 목적지는 가나안 땅이었다는 겁니다! 훗날 야훼 하느님이 아브라함에게 약속한 바로 그 땅, 모세가 동족을 이집트 땅에서 해방시켜 이끌고 들어갔던 바로 그 땅 말입니다! 데라는 그리로 가려고 했다는 것입니다.

 

저는 언젠가 이런 얘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 안에 있는 가나안’(Canaan in God)을 찾았어야 하는데 ‘가나안 안에 있는 하나님’(God in Canaan)을 찾았다는 점에서 그들의 신앙의 순례는 실패였다는 에른스트 블로흐(Ernst Bloch)의 말을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기억하십니까? 대단히 심오한 통찰입니다. 구약성서는 ‘땅’을 찾아가는 얘기가 아니라 ‘하나님’을 찾아가는 얘기입니다. 구약성서에서 가나안은 중동지역 한 구석이 있는 게 아니라 하나님 안에 있었습니다. 그런데 유대인들은 하나님이 아니라 땅을 차지하려고 했고 지금도 여전히 그렇습니다. 하나님의 백성에게 가나안은 영혼의 고향입니다. 시신을 눕힐 땅이 아니란 얘기입니다. 데라는 가나안으로 가려고 했지만 그가 가려고 했던 가나안은 ‘하나님 안에 있는 가나안’이 아니라 그저 땅덩어리에 불과한 가나안이었습니다. 우리는 그가 왜 그리로 가려 했는지 모르지만 하나님의 부르심과는 무관했다는 사실, 그리고 ‘하나님 안의 가나안’은 아니었다는 사실은 압니다.

 

그 다음에 아브라함이 등장합니다. 그는 데라의 아들이지만 두 사람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음을 구약성서는 분명히 밝힙니다.

 

야훼께서 아브람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네가 살고 있는 땅과 네가 난 곳과 너의 아버지의 집을 떠나서 장차 내가 보여줄 땅으로 가거라.

 

아브라함은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아서 고향을 떠났습니다. 그리고 갔습니다. 그는 어디로 갔습니까? 가나안으로? 천만에! 아닙니다. 그는 가나안으로 가지 않았습니다. 나중에는 가나안이 최종 목적지임이 드러나지만 그가 짐을 꾸려서 집을 떠났을 때는 어디로 가는지도 몰랐습니다. 그는 하나님이 ‘장차 보여줄 땅’으로 갔습니다. 하나님만 믿고 갔던 것입니다. 그게 어딘지도 모른 채 말입니다.

 

손바닥도 마주쳐야 소리가 나는 법입니다. 하느님이 불렀다고 해도 사람이 그 부름에 응답하지 않으면 부름은 효력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물론 하나님이 억지로 끌고 갈 수도 있겠지만 세상에 억지로 해서 좋은 것이 어디 있습니까. 그래서 하나님은 끈질기게 설득하십니다. 이집트에 안 가겠다던 모세에게 그랬듯이 말입니다. 그런데 아브라함은 하느님이 내미는 손을 붙잡았습니다. 하나님과 ‘하이파이브’를 했습니다.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했습니다.

 

 

아브라함은 왜 떠났을까?

 

‘생명’(生命)이란 한자어는 ‘날 생’ 자에 ‘목숨 명’ 자를 쓰는데 목숨 ‘명’ 자에는 ‘명령하다’는 뜻도 있습니다. 그러니 생명은 ‘살라는 명령’인 셈입니다. 생명 있는 모든 존재는 살라는 명령을 받아 존재합니다. 우리는 살라는 명령을 하나님에게 받은 존재입니다. ‘생’은 곧 ‘명’입니다. 이를 입증해 보라면 저는 못합니다. 하지만 생명이 ‘우연’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생은 명입니다. 살라는 하나님의 명령이란 얘기입니다. 이렇듯 살라고 명령하시는 하나님이 아브라함을 불러서 “고향을 떠나라! 내가 장차 보여줄 땅으로 가라!”라고 명령했습니다. 그리고 아브라함은 그 명령대로 행했습니다. 어디로 가는지도 모른 채 말입니다.

 

아브라함이 여행한 총 길이는 900마일 정도가 된다고 합니다. 여기서 시애틀까지가 950마일이니 아브라함이 여행한 거리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겠습니다. ‘그 까짓것......’ 하는 분도 있을지 모르지만 3,700년 전에 이런 길이의 여행은 무모한 짓이었습니다. 제가 자이언 캐년(Zion Canyon)에 처음 갔을 때 경치의 아름다움에도 감동받았지만 거기를 처음 발견한 사람들이 거기까지 오다가 많이 죽었다는 얘기가 가슴 아팠습니다. 2백 년도 안 된 과거에도 그랬는데 3,700년 전에는 오죽했겠습니까. 아브라함은 한 마디로 목숨 걸고 하나님의 부름에 응답했던 것입니다.

 

그는 왜 그런 모험을 감행했을까요? 이게 궁금하지 않습니까? 그는 왜 그런 무모한 행동을 했을까요? ‘하나님이 불렀으니까’는 완전한 대답이 아닙니다. 기껏해야 절반의 대답일 따름이니다. 왜냐하면 손뼉도 마주쳐야 소리가 나는 법이니 말입니다. 곧 하나님이 부르시기도 했지만 아브라함에게도 그 부름에 응답할만한 이유가 있었던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불을 붙이기만 하면 확 하고 타오를 ‘불씨’가 아브라함 안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느님의 부름을 받기 전의 아브라함이 어떤 삶을 살았는지 우리는 모릅니다. 하지만 그가 하나님의 부름에 즉각적으로 응답해서 목숨을 걸고 길을 떠난 걸 보면 그가 어떤 사람인지 어렴풋이나마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어떤 사람은 메소포타미아가 우상을 섬기는 사람들로 가득 차 있어서 거길 떠난 것이라고 주장하는데 제가 보기엔 그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그가 가게 될 가나안도 우상 섬기는 것으로 보면 둘째가라면 서러울 땅이니 말입니다. 그러니 우상숭배가 이유는 아니었던 것입니다.

 

그가 부르심에 응한 이유가 뭔지는 모르지만 그것은 아브라함의 전 존재가 달려 있는 문제였으리라고 짐작할 수 있습니다. 뭔지는 모르지만 목숨을 걸만한 일이었다는 얘기입니다. 그는 실제로 목숨을 걸었습니다. 저는 마리아 얘기도 비슷한 관점에서 봅니다. 훨씬 스케일이 작긴 하지만 그녀에게도 인륜, 도덕, 관습, 언니에 대한 미안함 등을 넘어서는 뭔가 중대한 문제가 있었을 것이란 뜻입니다. 그녀가 그것을 찾으려고 애쓰고 노력한 것, 이것이 예수께서 말씀한 ‘참 좋은 것’이 의미하는 바가 아니었을까요?

 

예수님은 “나는 내가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를 알고 있다. 그러나 너희는 내가 어디에서 왔는지도 모르고 어디로 가는지도 모른다.”라고 말씀한 적이 있습니다(요한 8:14). 예수님은 자신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알지만 사람들은 그걸 모른다고 말씀했습니다. 이 말씀은 예수님의 고향에 대한 얘기가 아님은 두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예수님이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모르니 자기들이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사람들에게 “나를 따르라!”라고 말씀했습니다. 저는 아브라함의 얘기와 관련해서 여기에 중요한 진실이 담겨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수님은 당신이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사람들은 모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더러 당신을 따르라고 말씀했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이 어디로 가시는지 알았겠습니까. 몰랐지요. 그 길이 십자가가 서 있는 골고다 언덕이었는지 아무도 몰랐습니다. 하지만 제자들은 예수님을 따랐습니다. 예수님이 어디로 가시는지도 모르는데도 불구하고 말입니다. 이는 아브라함의 경우와 똑같습니다! 그가 어디로 가야 하는지도 모른 채 장차 하나님께서 보여줄 땅으로 갔던 것과 예수님이 어디로 가시는지도 모른 채 “나를 따르라!” 하신 말씀 하나만 믿고 따라갔던 제자들의 경우가 똑같다는 얘기입니다.

 

아브라함은 그렇게 길을 떠났습니다. 어디로 가는지도 모른 채 말입니다. 예수님 제자들도 예수님을 따랐습니다. 그들이 가야 할 최종 목적지가 어딘지도 모른 채 말입니다. 어떻게 그럴 수 있었을까요? 어디로 가는지 알아도 여행하는 것이 불안한 법인데 이들은 그것도 모르면서 어떻게 길을 떠날 수 있었느냐 말입니다. 그것은 ‘믿음’이었습니다. 믿음이 그것을 가능하게 했던 것입니다. 나를 부르신 분이 하나님이니까! 떠나라고 명령하신 분이 하나님이니까! “나를 따르라!”고 말씀하신 분이 예수님이니까! 그들에게는 하나님이, 예수님이 자기들 여정을 이끌어주신다는 믿음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모험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아브라함에 대한 설교는 다음 주일에 이어집니다.

  • ?
    arirang 2012.09.26 13:49

    아~ 곽 목사님이 미국에서 목회하시는 분이군요. 에른스트 블로흐의 해석에 저도 함께 합니다. 아~ 참 혜안이십니다. 그리고 아브라함이 종착지에 대한 해석, 마리아에게 그 절실함이 있었다는 것, 이렇게 해석하니 그 장면, 그 오래고 많이 들어왔던 그 장면이 기억이 납니다...................... 마지막 부분, 그 해답이 '믿음'이라는 말에 믿음이 무엇인지 알 것 같습니다.


    이 말씀을 과 목사님의 목소리로 들을 수 있다면 너무 좋을 것 같습니다. 

  • ?
    강철호 2012.09.26 14:17

    질문있습니다.

    글을 올려준 김원일 교수님께서 답을 해 주셔도 좋고 다른 분이 해 주셔도 좋습니다.


    지금으로 부터 4천년 전 사건이라고 해서 무조건 신화로 매도하고 싶지 않습니다.

    앗수르, 바벨론의 유적으로 보아 그들도 우리와 거의 같은 수준의 지적 능력을 소유한 사람들이라고 확신합니다.


    데라나 아브라함이 하나님의 부름을 받았다고 애매모호하게 말하는데 과연 그 부름의 형태가 어떤 것이었을까요?

    막연하게 신화의 시대이니 "하나님이 직접 말씀하셨다" 하는 설명은 설득력이 없습니다.


    저나 여기 다른 많은 분들이나 같이 한국을 떠나 미국에 와서 삽니다.

    하나님께서 보내셨다고 말합니다.

    확신하건대 하나님의 목소리를 들을 사람은 한 사람도 없습니다.


    하나님이 아브라함을 가나안으로 보냈다 하는 말과,

    하나님이 나를 미국으로 보내셨다 하는 말을 같은 맥락으로 해석해야 합니까? 아닙니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01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50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6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51
14965 하나님의 관심은 어디에 있을까 ? 잠수 2014.12.17 466
14964 하나님의 계명이 없는 곳에 천국이 없음 4 석국인 2014.09.27 703
14963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며 예수의 증거를 가진...? 4 고바우생각 2010.11.16 3906
14962 하나님의 계명과 예수믿음 (성경속에서 발견하는 가장 아름다운 관계) 8 fallbaram 2014.03.17 1177
14961 하나님의 계명과 예수 믿음을 지키는자 1 하주민 2014.11.17 479
14960 하나님의 계명과 예수 믿음을 대충 정리하면? 22 하주민 2016.07.25 224
14959 하나님을 진짜 믿는이가 있는가 바이블 2012.03.21 1531
14958 하나님을 부인한 KarL MarX는 어머니도 자녀도 돌보지 않았다 4 로얄(펌글) 2011.05.29 1609
14957 하나님을 믿지 않는 그리스도인 신자信者 9 빈배 오 강 남 2011.05.13 2748
14956 하나님을 믿는 이유나 목적 같은 것은 없다. 김원일 2013.08.02 1117
14955 하나님은 <엄격한 통치자>이십니다 5 예언 2014.10.07 457
14954 하나님은 한분 그리스도 바이블 2011.01.17 1204
14953 하나님은 지상에 한교회를 가지고 계심. 7 file 루터 2015.03.05 205
14952 하나님은 이땅에 자신을 대변할 한교회만을 가지고 계십니다 9 file 루터 2015.07.11 166
14951 하나님은 어떻게 아담에게 생육하고 번성 하라 했나. 3 박희관 2012.11.16 1703
14950 하나님은 안식을 안하시나요? 1 바이블 2011.03.13 2674
14949 하나님은 사랑이시지만... 벌받을 자를 절대로 용서안하십니다. 5 예언 2015.11.20 137
14948 하나님은 부서진 것들을 사용하십니다 1 백록담 2013.08.01 1580
14947 하나님은 믿을 만한 분이신가? 2 고바우생각 2010.11.29 3144
14946 하나님은 귀를 막으셨다 1 로산 2011.08.23 1517
14945 하나님은 가난하거나 병든 사람이 없도록 할 수 있는데도 안하는 이유 3 예언 2014.10.30 537
14944 하나님보다 더 높은 것-계명을 님 5 김균 2015.07.15 294
14943 하나님도 토사구팽을? 6 fallbaram 2013.12.16 1312
14942 하나님께서는 <거의 아무도 예상하지 않는 일>을 하실 겁니다 1 예언 2014.12.13 359
14941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그리스도의 품성을 나타내기 원하신다면, 3 ? 2014.07.25 566
14940 하나님께서는 왜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의 기별을 다른 경로로... 1 고바우 2011.03.19 5303
14939 하나님께서는 어떤 사람들은 재림교회로 인도하시고, 어떤 사람들은 바깥으로 인도하신다. 1 둥근세상 2010.11.27 3460
14938 하나님께서는 계명만 주시지 않으셨다! 4 고바우생각 2010.11.27 2349
14937 하나님께서 <재림교회안에 이설이 생기도록 허락>하시는 이유 3 예언 2015.02.13 270
14936 하나님께서 <사탄>을 빨리 안죽이고 지금까지 살려둔 이유 1 예언 2015.05.03 191
14935 하나님께서 <많은 사람이 재림교인이 되지않도록> 하시는 이유 5 예언 2015.03.15 158
14934 하나님께서 <교인의 재산을 감소시키고 투자에 실패>하게 하시는 경우 예언 2015.08.15 114
14933 하나님께서 특별히 불쾌하게 여기시는 죄 예언 2015.01.11 366
14932 하나님께서 종말을 처음부터 알려 주심 17 김운혁 2014.10.09 531
14931 하나님께서 원하지 않으시는 돈 예언 2014.09.26 580
14930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구원과 사람이 원하는 구원... 4 고바우 2011.04.11 3126
14929 하나님께서 우리를 <가난하고 힘들게>하시는 이유 2 예언 2014.11.07 444
14928 하나님께서 우리를 망치로 치시는 이유 예언 2015.04.26 99
14927 하나님께서 사용하시는 의사 예언 2015.03.22 123
14926 하나님께서 받아 주지 않는 선교사업 4 예언 2014.09.25 482
14925 하나님께서 두 증인을 3일반뒤에 부활 시키시는 이유는 무엇일까? (계 11장) 김운혁 2015.06.23 145
14924 하나님께서 기도하라고 우리를 초청하신다 영원한행복 2015.01.15 275
14923 하나님께서 가장 불쾌히 여기시는 일 예언 2015.01.24 285
14922 하나님께서 "영원하라" 명령하신 안식일들과 절기들. 3 김운혁 2016.05.16 30
14921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법-3 김균 2015.06.25 214
14920 하나님께 드리는 세가지 질문 14 fallbaram 2014.03.21 1282
14919 하나님께 감사와 찬송과 경배를 드려야 할 이유를 오늘 아침 나는 경험했다 !!!... 할레루야 !!!... 11 file 김 성 진 2011.01.14 2503
14918 하나님께 감사 2 무실 2011.06.10 2935
14917 하나님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입산하고 채식하는 분들에게.. 2 김 성 진 2012.10.04 1304
14916 하나님과 교황의 똥물관계.. (조회수 267후) 5 김 성 진 2013.03.15 2177
14915 하나님같이 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16 김균 2014.11.01 755
14914 하나님,예수는 왜 남자만 선호하나. 바이블 2013.02.02 2271
14913 하나님, 감사합니다. 1 김재흠 2013.05.17 1721
14912 하나님! SDA 교회에서 드리는 찬양과 영광을 받으소서! 2 무실 2016.07.23 119
14911 하나님! 갈대잎 2014.11.23 450
14910 하나님 하느님 둘다 하늘님이다 5 김기대 2011.09.12 2177
14909 하나님 탓, 성령 탓 2 김주영 2013.11.02 1412
14908 하나님 일자리를 주십시오. 6 QT 2011.08.26 1571
14907 하나님 오늘 안식일에 또 일하고 왔습니다 14 QT 2011.07.30 1999
14906 하나님 없이 하나님 앞에서 살기: 이런 설교 해도 목사 안 잘리는 교회에 나가세요. 아니, 그런 교회 하나 만드세요. 5 김원일 2014.05.31 899
14905 하나님 없다 2 로산 2011.05.23 2089
» 하나님 안에 있는 가나안’(Canaan in God)과 ‘가나안 안에 있는 하나님’(God in Canaan)--기똥찬 설교 하나 2 김원일 2012.09.25 1918
14903 하나님 섬기는 요나단 가정과 안섬기는 쥬크스 가정의 자녀들 7 箭筒矢 2013.01.16 2281
14902 하나님 부탁이 하나 있어요. 4 관행 2013.02.20 2181
14901 하나님 동네에 아직도 못 들어간 그대에게 4 김원일 2016.08.20 185
14900 하나님 대신 여자 김원일 2013.02.08 2357
14899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듯이 법은 알아도 궤는 모르는 분들에게 10 fallbaram. 2016.07.28 144
14898 하나냐(민초글쟁이)가 예레미아(화잇의 졸개)에게 9 김균 2014.11.22 542
14897 하나가 깨어지면 모두 깨지는가? 4 김균 2014.11.27 442
14896 하나 ... file 소리없이... 2016.05.27 75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