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07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iframe id="fb_newsclip" name="fb_newsclip" src="http://www.joinsmsn.com/facebook/newsclip/clip_v2.html?u=http%3A%2F%2Farticle%2Ejoinsmsn%2Ecom%2Fnews%2Farticle%2Farticle%2Easp%3FTotal%5FId%3D9610528" scrolling="no" frameborder="0" allowtransparency="true" style="width: 87px; height: 20px; vertical-align: -8px; "></iframe> 글자크기 글자 크게글자 작게

한국 종교계, 발달장애에 빠진 건 아닌지 …

[중앙일보] 입력 2012.10.17 00:16 / 수정 2012.10.17 00:28

오강남 교수-월암 스님 쓴소리
27일 조계사에서 학술연찬회
자기 복만 찾고, 돈에 흔들리고 
바닥을 쳐야 제자리 돌아올 것

16일 서울 조계사에서 만난 비교종교학자 오강남(왼쪽) 캐나다 리자이나대 명예교수와 조계종 용성선원 선원장 월암 스님. “혼자만의 복을 바라는 기복신앙이 이 시대 한국 종교의 문제”라는 데 생각을 함께했다. 두 사람은 27일 학술연찬회 ‘믿음, 디딤돌인가 걸림돌인가’에서 각각 주제 발표를 한다. [김성룡 기자]

종교, 말 그대로 큰 가르침이다. 사람들이 종교를 찾는 이유는 삶의 위안, 마음의 행복을 얻기 위해서일 게다. 지금 상황이 고통스럽더라도 누군가 나를 따뜻한 눈길로 지켜보고 있고 또 언젠가 복락(福樂)을 누릴 수 있다는 믿음은 오늘의 고단함을 버티게 해주는 힘이 된다. 하지만 현실 속 종교는 그런 소망과 때때로 거리가 멀어 보인다. 되레 갈등과 분쟁의 씨앗인 경우가 많다. 이른바 맹신(盲信), 혹은 광신(狂信)의 부작용이다. 지금 종교의 뒤꼍을 돌아보고 바람직한 믿음을 찾는 자리가 마련된다. 밝은사람들연구소(소장 박찬욱)와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가 함께 개최하는 학술연찬회 ‘믿음, 디딤돌인가 걸림돌인가’다. 초기·대승·선불교와 종교심리학·비교종교학 등 5개 분야의 전문가가 나와 종교간 공통점과 동질성을 따진다. 27일 서울 조계사 내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다.

 참가자 중 비교종교학자인 오강남(71) 캐나다 리자이나대 명예교수와 경북 문경 용성선원 선원장 월암(56) 스님이 16일 오후 시간을 냈다. 연찬회 내용을 살짝 들려줬다. 오 교수는 종교다원주의 입장에서 종교의 본질을 캐묻고 현실 기독교를 비판해 온 대표적인 학자다. 월암 스님은 12년간 중국에서 교학 공부, 실참실수(實參實修·실제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참선 대중화’에 힘써왔다.

 -불교와 기독교에서 믿음의 개념은 어떻게 다른가.

 ▶월암 스님(이하 월암)=선불교는 믿음이 곧 깨달음이라는 입장이다. 사람 누구나 자성(自性·본 바탕)은 청정하기 때문에 마음이 부처, 나아가 사람이 부처라고 본다. 이런 믿음이 바탕에 깔려 있어야 실제 수행을 통한 깨달음으로 나갈 수 있다. 특히 여러 수행 방법 중 화두 참선을 경절문(徑截門·지름길)으로 친다. 선지식(善知識·도력 높은 선승) 스승에 대한 믿음도 필수적이다.

 ▶오강남 교수(이하 오강남)=종교의 믿음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내가 잘 되기 위해 믿는 표층믿음, 지금의 나를 극복하고 더 큰 나를 찾는 심층믿음이다. 사람의 이성을 통하지 않고 무조건 믿는 건 미신, 광신, 맹신, 경신(輕信·쉽게 믿는 것)이다. 사람의 믿음은 표층에서 심층으로 이동한다. 그러려면 이성의 한계를 인식하고 그 밖으로 넘어가야 한다. 깊게 믿기 위해서는 이성을 초월해야 한다는 거다.

<iframe scrolling="no" frameborder="0" marginheight="0" marginwidth="0" width="200" height="200" id="DASlot39" name="DASlot39" src="http://static.joinsmsn.com/common/ui/ad/ad_common_article_content_rectangle_200_200.html?slotno=39"></iframe>
 -이성으로 알 수 없는 세계가 올바른 길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

 ▶오강남=때문에 불교의 선지식처럼 역사적으로 바른 길을 갔던 분들이 필요하다. 믿음에서 이성을 초월하는 일은 생사를 건 신앙의 모험이라고 할 수 있다.

 -종교간 다툼이 끊이지 않는다.

 ▶오강남=최근 이슬람 모독 영화로 인한 갈등은 표층 이슬람과 표층 기독교간의 싸움이다. 표층믿음인 근본주의는 문자주의로 쉽게 빠진다. 조금만 자기들 교리에 어긋나면 안 된다는 식이다. 결국 상대방 종교에 대한 이해, 대화를 계속하는 수밖에 없다.

 ▶월암=한국 불교도는 기독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어깨에 십자가를 멘 게 아니고 손에 십자가를 든 것으로 여긴다. 손에 십자가를 들면 뭔가. 십자군이다. 대화 없이 소통하는 이심전심은 거저 되는 게 아니다. 충분한 관심과 소통 노력이 있어야 가능한 거다.

 ▶오강남=기독교도 마찬가지다. 한국의 개신교 신학교에서는 다른 종교에 대해 가르치지를 않는다. 가르치더라도 기독교의 우월성을 말하거나 선교 전략 차원에서다.

 두 사람은 요즘 한국종교에 대한 질문을 던지자 특히 할 말이 많은 듯했다. 대화가 꼬리를 물었다. 오 교수는 “한국 기독교가 종교적 발달장애에 빠졌다”고 비판했다. 신자 대부분이 표층에서 심층으로 넘어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월암 스님은 “자기 만의 복을 구하는 기복 불교가 요즘 한국불교의 문제”라고 했다.

 해결책을 묻자 월암 스님은 “물극반본(物極反本), 즉 한번 바닥을 쳐야 본래 자리로 돌아올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곪을 대로 곪아터져야 한다는 얘기다. 오 교수 역시 “요즘 기독교는 자본주의의 시녀”라며 “밀물 때 배를 아무리 밀어봐야 안 나간다. 썰물을 만나야 자정이 될 것 같다”고 했다.

◆밝은사람들연구소=불교학·철학·상담심리학 등 불교 인접 학문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구단체. 불교대중화를 목적으로 2006년 결성됐다. 학술연찬회를 열어 그 결과를 책으로 묶어냈다. 올 11번째인 이번 연찬회 발표문도 『믿음, 디딤돌인가 걸림돌인가』(운주사)로 출간됐다.

<iframe src="http://agate.opap.co.kr/html/joongang/joongang1" frameborder="0" scrolling="no" width="100%" height="100%"></iframe>
  • ?
    발달 2012.10.29 16:41

    한국종교계 뿐 아니라 여기에도 발달장애로 고생하시는 분들이

    제법 되는 것 같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79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06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1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15
11535 열린 교회와 그 적들 2 캣우먼 2012.10.24 1033
11534 내가 만약 초교파교회 목사라면.. 7 김 성 진 2012.10.24 1820
11533 정체성에 대한 "천국있다"님의 댓글에 대한 답변 3 노을 2012.10.24 1053
11532 박진하 목사님께 몇 가지 27 로산 2012.10.24 1563
11531 딱 김성진씨만 보세요,,,, ㅋ 4 천국있다 2012.10.24 1246
11530 우리는 무엇(누구)을 믿는가? choshinja 2012.10.24 1069
11529 성질 급한 넘이 우물 판다고=박진하 목사님께 내가 답글 적습니다 4 로산 2012.10.24 1297
11528 따져보고 또 따져보고 다시 한번 따져보자.. 11 김 성 진 2012.10.24 1378
11527 박진하 신드롬에 부쳐 한 마디: 그에게 여길 떠나라는 말 하기 없기 3 김원일 2012.10.24 1392
11526 참으로 가소롭다 로산 2012.10.24 1143
11525 강간의 임신도 신의 뜻 로산 2012.10.25 1684
11524 박진하님 카스다 글 좀.... 6 잔나비 2012.10.25 1876
11523 박근혜 "역사를 잊는 사람이 역사의 보복 받는다" 2 알약 2012.10.25 1332
11522 왜 이렇게 심각해요.. 배꼽 잡으시고 한번 웃자고요 ㅎㅎㅎㅎ 2 박희관 2012.10.25 1852
11521 [평화의 연찬(제33회, 2012년 10월 27일(토)] 직장문화와 직장인 매너 - 남북통일을 위한 과정의 모든 것은 개인적 차원과 민족의 염원을 넘어 세계사적 차원에서 연계되어 있다. (사)평화교류협의회 2012.10.25 3209
11520 필리페님 소환글 2 허주 2012.10.25 1302
11519 잔나비님 민초스다 글 좀.... 12 박진하 2012.10.25 1362
11518 비가든 구름 찾기-계속되는 이야기 2 로산 2012.10.25 1194
11517 옮김글 박희관 2012.10.25 836
11516 쓰레기 종말론의 경험 1 로산 2012.10.25 921
11515 김균 장로님의 내 개인 신상에 대한 글에 대한 진실규명! 3 박진하 2012.10.25 1351
11514 이게 말이 되는 말이냐 이거다.. !!! 13 김 성 진 2012.10.25 1293
11513 백선엽 논란 확산…'전쟁영웅'vs'친일반역자' 1 친일vs영웅 2012.10.25 1277
11512 로산님, 절기 질문입니다. 3 김금복 2012.10.25 969
11511 도대체 마태복음 24장 중 어느 구절이 ‘일요일 휴업령’에 대한 예언이란 말인가? 6 손님오셨다 2012.10.26 1228
11510 백씨 할머니의 증손자는 이렇게 말했다. (수정) 1 김원일 2012.10.26 1440
11509 어라, 근데 저건 또 뭐냐? 손뼉 치네? 2 김원일 2012.10.26 1008
11508 엽기적 야훼 하나님, 쪽나지 않으려고 수갑 차시다: 어떤 엽기적 설교 (조회수 3 후 사진 첨부) 김원일 2012.10.26 1358
11507 이 안식일에 생각해 볼만한 글 로산 2012.10.26 844
11506 예수 오지 않은 오늘 --그는 왜 오늘도 오지 않았는가 김원일 2012.10.26 1032
11505 하나님의 예지와 예정 3 질문1 2012.10.26 1524
11504 우리가 만든 대통령 로산 2012.10.26 1385
11503 [평화의 연찬(제34회, 2012년 11월 3일(토)] 카인의 후예, 인간의 땅 : 인간의 조건 | 도현석(삼육대학교 신학과 교수) 사단법인 평화교류협의회 2012.10.26 1841
11502 아이고, 이 민스다 ㄴㅁ들아! 21 할매 2012.10.26 1771
11501 내가 살아왔던 1991년도의 작은 일들 7 로산 2012.10.26 1106
11500 예정 바이블 2012.10.26 1015
11499 할매 니 머라카노. 니 노망 묵었나. 똥인지 된장인지도 모르는 이 할망구야. 9 김원일 2012.10.27 1800
11498 노을님. 로산님. 김금복 2012.10.27 913
11497 할매여, 나는 그대의 된장찌개보다 예수의 소주 한 잔이 그립다. 9 김원일 2012.10.27 1631
11496 위기는 계기다…언폴딩 님께 드리는 글.. 마지막회 10 student 2012.10.27 1236
11495 독도는 우리 땅, 된장도 우리 것. 3 독도어부 2012.10.27 1412
11494 한국 교회의 고질병 글쎄 2012.10.27 1216
11493 돼지고기-2 20 김금복 2012.10.27 1201
11492 진중권(진보논객)vs 간결(보수논객-일간베스트 저장소 활동) 무게 2012.10.28 1613
11491 박할매, 박할배 ! 문제는 된장국이 아니여 ! 7 김주영 2012.10.28 1407
11490 민스다는 환풍구요 칼라사진이다. 감동이다.^^ 7 김민철 2012.10.28 1109
11489 진중권 vs 누리꾼 ‘맞짱토론’ 싱겁고도 훈훈한 결말 1 NLL 디벼주기 2012.10.28 1136
11488 그런 논리 때문에 박태선, 문선명, 박명호, 정명석, 안상홍 등이 예수가 될 수 있었다! 28 file 박진하 2012.10.28 1801
11487 '출구'에 대하여 8 southern cross 2012.10.28 1066
11486 레위기서의 속죄예식과 돼지고기의 부정성-김금복님 2 로산 2012.10.28 1877
11485 인간은 변한다고? 나를 그리고 우리를 봐라 천만의 말씀 만만의 콩떡이다-1- 5 로산 2012.10.28 1186
11484 난 된장국의 거의 먹지 않는다 4 로산 2012.10.28 1195
11483 거 참 생각할수록 고약한 표현 - "민스다 ㄴㅁ들" 8 김주영 2012.10.28 1756
11482 케로로맨, 잔나비, southern cross 님들, 제발... 7 김원일 2012.10.28 1368
11481 안식일을 부적 삼아 미래를 주머니에 넣고 다니려는 무당들에게 (수정 2) 13 김원일 2012.10.28 1084
11480 무당에 대해 한마디 첨부--나는 무당을 혐오하거나 싫어하는가. 1 김원일 2012.10.28 1517
11479 정말 이러시면 안됩니다!!!(김주영님 참조) 3 오두막 2012.10.28 1037
11478 로산님, 원세훈 국정원장이..... 21 김금복 2012.10.28 948
11477 유재춘 장로님과 류제춘 목사님은 전혀 다른 사람입니다. 6 안상구 2012.10.29 1150
11476 관리자 김원일, 누리꾼 김원일--이거 구분 못 하는 누리꾼들에게 4 김원일 2012.10.29 1039
» 한국 종교계, 발달장애에 빠진 건 아닌지 … 1 돌베개 2012.10.29 1076
11474 당신의 가치는? 3 student 2012.10.29 968
11473 로산님, 이럴 수도 있네요. 5 justbecause 2012.10.29 1028
11472 "오직 성경"의 양가성/양면성. 13 잔나비 2012.10.29 1260
11471 나는 박진하, 나는 그 사람이 무섭다 7 강철호 2012.10.29 1190
11470 재림교회가 초교파가 될 수 있는 길 4 로산 2012.10.29 1199
11469 나만 그런 것 아니다 다른 이들도 나처럼 잊어주거나 용서하지도 않았다-2- 로산 2012.10.29 875
11468 나는 강철호씨 이 사람이 우습다!!! ^^* 21 file 박진하 2012.10.29 1616
11467 이 정도 되려면 얼마나 친해야 할까요?(1) 3 로산 2012.10.29 1074
11466 멸망하기위해 환장하는 돼지고기 먹는 사람들? 3 file 로산 2012.10.29 2051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