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21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특파원 칼럼] “한국이 얻어맞으면 미국과…” / 박민희 한겨레 박민희 기자기자블로그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section-homepage/news/06/news_font.js"></script>
» 박민희 베이징 특파원
“미국은 때리고 싶으면 누구나 때린다. 영국은 미국이 때리는 놈을 때린다. 중국은 누가 공격하면 실컷 욕을 한다. 일본은 누가 때리면 미국이 그놈을 때리게 한다. 한국은 맞으면 미국과 훈련을 한다. 북한은 맞으면 한국을 때린다.”

북한의 연평도 공격 이후 중국 누리꾼들 사이에 유행하는 풍자다. 농담 같지만 곱씹을수록 씁쓸하다. 대통령부터 장관들까지, 한국 지도자들의 발언을 들어보면 ‘한-미 동맹, 한-미 공조 문제없다’는 게 대책의 핵심이다. 교전수칙을 바꾼다, 북한이 다시 공격을 해오면 폭격을 하겠다며 ‘전쟁불사’ 발언들이 잇따르더니, 이 와중에 갑자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이 타결되고 미국의 환호성이 요란하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핵추진 항공모함 조지워싱턴함이 참가하는 서해 한-미 군사훈련을 성사시켜 이 지역에 대한 미국의 발언권을 재확인했다. 곧바로 사상 최대 규모의 미-일 군사훈련을 실시해 중국에 보란듯이 시위를 했다. 한-미-일 동맹관계가 강화될수록, 이 지역에서 중국과 미국의 대립은 날카로워질 수밖에 없다. 한-미-일 동맹이 공공연히 강화되고 한국이 사실상 중국과 거리두기 외교를 하는 상황에서, 북한이 아무리 문제를 일으켜도 중국이 북한을 압박하고 한국 편을 들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중국인들 사이에서는 북한의 행동에 대한 반감이 예상보다 강하다. 북한에 대해 얘기하다 보면, 많은 중국인들이 “항미원조전쟁(한국전쟁)에서 마오안잉이 전사한 게 너무나 다행”이라는 얘기를 꺼낸다. 마오쩌둥의 큰아들 마오안잉은 북한을 지원하러 참전했다 전사했다. 그가 전사해 중국이 세습정권으로 갈 길이 완전히 차단돼 다행이라는 뜻이다. 많은 중국인들이 북한의 세습을 얼마나 혐오하고 우려하는지를 실감한다. 주펑 베이징대 교수는 최근 언론 기고에서 “중국 지도자들은 북한이 거대한 짐이 된 것을 깨달으면서도 말썽꾸러기 아들을 어쩌지 못하는 부모처럼 북한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며 “중국은 분노하면서도 새로운 길을 가지 못하고 옛길을 따라가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역사적인 궤적을 보면, 중국의 대북한 정책은 혁명동지적 관계에서 국익을 고려한 냉정한 관계로 변해왔다. 혁명동지였던 마오쩌둥과 김일성의 회담은 나란히 소파에 앉아 담배를 피우며 친구처럼 이야기하는 사진들로 남아 있다. 하지만 후진타오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전통적인 우호관계라는 겉모습 뒤에서 서로의 이익을 위해 상대편이 필요한 냉정한 관계일 뿐이다.

하지만 최근 한반도를 둘러싼 전략적 상황을 보면 중국이 북한 문제에 대해 한국의 입장에 다가서리라 기대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중국에선 한-미-일 동맹이 중국을 포위하는 신냉전구도가 등장하고 있다는 경계감이 확산되고 있다. 이런 반감이 커질수록 중국이 대북한 정책을 수정할 가능성은 점점 낮아질 것이다. 진정으로 북한 문제에 대해 중국과의 협력이 필요하다면, 한국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때로는 중국에, 때로는 미국에 분명한 요구를 하며 외교를 해나가야 할 것이다.

하지만 한국은 미국과의 동맹, 미국과의 군사훈련,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 미-일 훈련에 옵서버로 참가하는 등 미국과의 관계에 공을 들이느라 너무나 바쁘다. ‘한국이 얻어맞으면 미국이 원하는 것을 다 해준다’는 말이 나올 만하다. 그 와중에 미국이 한-미 자유무역협정 재협상을 통해 챙겨간 막대한 이익처럼, 미국에 안보를 의존하는 한국에 미국이 내밀 계산서는 간단치 않을 것이다. 미국과 중국이 장기적 경쟁으로 나가는 가운데, 한국이 미국에 올인하는 것은 그중에서도 가장 큰 전략적 비용이 될 것이다.

박민희 베이징 특파원 minggu@hani.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884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172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113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6997
15315 바이블님 남은자가 우리뿐, 타 교단은 없는데 우리가 남은자냐? 질문 쓸데 없음 4 남은자 2010.12.08 3192
15314 청량 음료의 해독 purm 2010.12.08 3271
15313 모유 먹은 아이들이 우유 먹은 아이들보다 출세한다 2 purm 2010.12.08 2477
15312 성경공부님 홍수후 3대 만에 바벨탑 쌓았습니다 3 purm 2010.12.08 2619
15311 콘돔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그래서? 그래, 밝혀라. 그런데 무엇이 진정 이슈인가? 5 김원일 2010.12.08 2967
15310 남~~은무리!! 짝짝 짝짝짝!! 6 예수아 2010.12.08 2535
15309 찔레꽃 - 장 사익 노래 7 잠 수 2010.12.08 3011
15308 감동적인 소프라노의 수화찬양 강추합니다 1 purm 2010.12.08 2388
15307 남과 북이 함께 진보하는 방법이 있을까? 있어야 하지 않을까? 김원일 2010.12.08 2484
15306 NASA, ‘블랙홀’ 가상사진 충격 공개 5 잠 수 2010.12.08 2255
15305 2010 사단법인 평화교류협의회 말씀잔치 알림글(첨부파일) file 명지원 2010.12.08 2175
15304 참 기가 찬 이야기 두 토막입니다 2 로산 2010.12.08 2892
15303 purm님께 감사드림! . . 홍수 부터 ~ 바벨탑까지 . .3세대, 100여년인데, 4 부부가 자식들을 생산했으면 . . . . 1 성경 공부 2010.12.08 3593
15302 예언, 그거 함부로 할 것 아니더라 14 김주영 2010.12.09 3936
15301 변태 선량을 성토한다 3 묵은지 2010.12.09 2624
15300 "김동은 회장목사의 대한유감" 계속... 6 HJ 2010.12.09 4192
15299 나는야 딸랑이가 제일 좋더라 2 fm 2010.12.09 2625
15298 김주영님, 윌리암 밀러 예언은 틀린 바가 하나도 없다는 6 가지 증거 purm 2010.12.09 2730
15297 파리목숨 4 유재춘 2010.12.09 2727
15296 "김동은"님의 글에 관한 한 "관리자"의 답변 2 김원일 2010.12.09 4065
15295 우리가 졸로 보이는가? 2 유재춘 2010.12.09 2223
» 한국이 얻어맞으면 미국이 원하는 것을 다 해준다’ 로산 2010.12.09 2106
15293 언 론 / 출 판 의 자 유 (Freedom of Speech and Publication) . . 재고해 본다. 1 반달 2010.12.09 2413
15292 김동은 회장목사에 대한 유감(11월 23일자) 6 김기대 2010.12.09 3975
15291 2010 사단법인 평화교류협의회 말씀잔치 알림글(첨부파일) file 명지원 2010.12.09 2192
15290 459번 김원일 교수의 펌 글 박노자 교수의 글에 덧붙이는 말 4 박훈 2010.12.09 3399
15289 이 안식일에 제안 한 가지 4 로산 2010.12.09 2729
15288 피 먹은 나는 예수를 잉태한 성모 마리아 5 아기자기 2010.12.09 2934
15287 누구 좀 조언해 주십시요. 6 무실 2010.12.10 2302
15286 잠 수 님 ! . . 60TH HAPPY BIRTHDAY ! ! . . 민초 가족들로 부터 . . . . 14 반달 2010.12.10 2168
15285 답답한 마음 이루 말할 수 없다고? 2 유재춘 2010.12.10 2158
15284 미국에 살다보면 미국이 내 나라로 착각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죠? 박훈 2010.12.10 2876
15283 내 나라라는 착각? 2 둥근세상 2010.12.10 1973
15282 화약고 근처에서 불장난하기 김원일 2010.12.10 3210
15281 예수에게 김원일 2010.12.10 2067
15280 예수에게 2 2 김원일 2010.12.10 1939
15279 삼육대학교 북한선교실천모임 file 명지원 2010.12.10 2899
15278 브루투스 너 마져도 로산 2010.12.10 2013
15277 아무것도 모르는 안상수를 용서 하자. 2 바이블 2010.12.10 1961
15276 신학졸업자 인사적체에 대한 뚜렷한 대책 없다면 7 로산 2010.12.11 2073
15275 강은 언제나 그곳에 있었다 로산 2010.12.11 1736
15274 혼란스러우시게 해서 죄송합니다 - 늦게나마 평신도님께 7 김주영 2010.12.11 2151
15273 제보: PUC 도 타락했습디다 3 김주영 2010.12.11 2844
15272 안식일과 나의 새로운 도전 6 서청태 2010.12.11 2173
15271 PUC 문제 답, 어느 번역판이 문제가 아니라 원어를 보아야 한다. 4 purm 2010.12.11 2555
15270 이상구 박사의 최근 강의 . . [유전자 건강법] . . 생명의 신비 프로그램 위에서 2010.12.11 3443
15269 이상구씨는 사기 행각을 중지하시기 바랍니다 5 강철호 2010.12.11 2488
15268 목회자 청빙제에 대하여-2 3 로산 2010.12.11 1877
15267 이상구의사님께 요구한다 2 유재춘 2010.12.11 2214
15266 위에서 양반, 정신 똑 바로 차리시오!!!!!!!!!!!!! 19 유재춘 2010.12.12 2806
15265 ... 옛날 야고비 환란 만나서 숨어살던 곳이 였는데 . . . (박성술) . . 오늘이, 민초 개봉 한달! & 카스다 방문 . . . 반달 2010.12.12 3171
15264 관리진들이여 부탁합시다 5 김기대 2010.12.12 1776
15263 신의 이름을 *함부로* 써야 하는 신학적 특권 둥근세상 2010.12.12 1765
15262 사기란. 7 바이블 2010.12.12 3210
15261 선한 사마리아인 은 누구인가 ? 1 한길선 2010.12.12 1816
15260 독재자 푸틴의 애창곡 둥근세상 2010.12.12 2270
15259 재림을 잊어야 재림 교인이 삽니다 - 미혹님에게 (수정 2) 3 김주영 2010.12.12 1873
15258 김정일 : 남조선이 공산화 되면 2천만명을 숙청하겠다 3 purm 2010.12.12 2867
15257 유재춘님, 상대는 얼굴 없는 유령에 불과합니다. 6 김민철 2010.12.12 2110
15256 별~ 개떡 같은 5 한언 2010.12.12 1910
15255 예수 하나 살리려고 만 명의 가짜 예수를 이 누리는 살려둔다. 12 김원일 2010.12.12 1903
15254 복종이 아니라 사랑이다 3 아기자기 2010.12.12 1613
15253 건강과 체온 1 건강 2010.12.12 1674
15252 Voltaire-볼테르-가 이 누리를 염두에 두고 한 말 10 김원일 2010.12.12 2666
15251 증인과의 대화 4 바다 2010.12.12 1595
15250 목회자 청빙제의 득과 실-3 로산 2010.12.12 1821
15249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 > 유재춘 양반에게 > > 3 지렁이 2010.12.12 6282
15248 너무 힘센 폭탄을 믿지 말자. 바이블 2010.12.12 1623
15247 위에서 님, 정말 명강의 일까요? (이상구의사의 "유전자 건강법"을 보고... ) 2 노을 2010.12.13 2969
15246 글이 싫기로서니 누리를 탓하랴 10 김주영 2010.12.13 360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