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10.12.25 22:29

동물 학살국

조회 수 1942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기고] 문명의 이름으로 동물 집단학살을 자행하는 현장에서

 [프레시안 김봉준 화가]

 우리 마을이 구제역 발생 마을이 되었습니다. 강원도 문막에서 가장 깊은 산골 오지 마을인 우리 마을에도 한 농가의 소 한 마리가 구제역에 걸렸습니다. 그러나 이 병든 소 한 마리 때문에 마을 전체가 최대 위기에 빠졌습니다. 지금 나도 마을에서 나가지 못하고 외부 출입을 금지 당했습니다. 이곳 주민 25가구 100여 명이 모두 강제로 감금된 상태나 다름 없습니다.

언론 보도에는 구제역이 발생한 축산농가만 '외부출입을 삼가하라'는 정도로 알려서 시민들이 잘못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습니다. 축산방역법은 흡사 계엄령 같이 소, 사슴, 돼지, 염소등 우제류를 살처분은 물론 모든 주민을 통제하는 막강한 법적 강제력을 행사합니다.

그러나 '살처분'이란 말은 방역당국의 용어이지 정확한 말이 아닙니다. 그 현장에서 보면 동물의 집단학살이 맞습니다. 하루 이틀만에 수백마리 건강한 동물과 어린 송아지까지 삽시간에 죽이는 현장을 한번 들어와서 보십시오. 이걸 동물 집단학살이라고 하지 않는다면 무엇이 집단학살인가요. 거기다 주민은 마을 밖으로 나갈 수도 없습니다. 우리 마을은 산골마을이라 저자로 나가는 길이 외통길입니다. 입구만 막으면 높은 산을 기어넘지 않는 한 나갈 수 없습니다.

나는 엊그제 저수지 앞길까지 집에서 4km 밖까지 나갔지만 막고 선 강제집행 공무원들과 실랑이 하다가 돌아왔습니다. 20일 동안을 외부로 나갈 수 없답니다. 연말연시의 바깥으로 업무를 못 봅니다. 축산마을이 아닌 집도 연좌제에 걸린 것처럼 덩달아 통제 당했습니다. 우리 마을 주민의 절반은 축산업을 하지 않습니다.

소, 사슴, 염소가 350마리 가량 있는 우리마을은 집단우울증에 빠져들고 있습니다. 노인들, 부녀자들은 자기집 소를 밤새 도살하는 광경을 보고 있노라니, 평생 소와 같이 살아온 농부들은 심각합니다. 쓰러지고 우황청심원 먹고 야단입니다. 집단적으로 트라우마에 빠져드는 것 같습니다. 병원도 못 갑니다.

여기는 비상사태마을입니다. 소 값을 시세대로 보장하고 사료와 볏짚까지도 보상한다지만 보상이면 다 해결되는 게 아닙니다. 남자들은 술 먹고 푸념을 합니다.

"우리집 소가 먹이를 줘도 안 먹어"
"그러게 자기도 죽을 줄 다 아는 가봐"
"어떻게 알까? 옆집이 멀어서 죽이는 걸 본 것도 아닌데"
"글쎄, 울음소리, 피 냄새 이런 걸로 동물도 알겠지"
"이게 말이 되는 겨, 멀쩡한 소까지 왜 죽여! "
"반경 오백미터도 넘는 곳 소까지 다 죽일 건 없잖아"
"누가 아니래, 이런 법이 어디 있어"


김 씨와 박 씨 농부의 대화입니다. 동물도 사람이 알아듣지 못할 뿐이지 서로소통도 하고 영혼이 있습니다.

위의 농부들이 말한 '이런 법'은 사회법이고 마음 속 법은 자연법입니다. 사회법이 자연법의 상위에 있는 세상이 되다 보니 농부들 말은 우습게 알 겁니다. 인권과 자연보존과 이동권을 보장하는 헌법도 경시하는 가축전염병예방법에 근거한답니다. 이렇게 야단법석하며 구제역을 막는다고 하지만 어제 소식에 의하면 인근 소초면에도 이미 구제역의심 소가 발생했고 우수한우 브랜드를 자랑하는 횡성지역도 구제역발생지역이 되었습니다. 강원도 경기도 경북도 45곳으로 퍼졌습니다. 지금 하는 식으로 멀쩡한 동물들까지 모두 집단학살을 해서 매몰하고 모든 주민을 감금하다시피 하는 이런 방역법은 악법입니다.

이런 예는 선진국에서도 없고 후진국에도 없습니다. 이웃나라 일본은 병 걸린 소만 선별처리하고 후진국은 구제역 걸린 소, 돼지도 그냥 먹는답니다. 먹어도 인간에게 해롭지 않고 구제역 걸린 동물도 1~2주면 자기 면역력으로 건강을 되찾는답니다. 그런데 무조건 다 죽이는 이런 축산방역법은 개정해야 마땅합니다.

▲ 진밭마을은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에서도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산골오지마을이다. 이런 청정지역마저 구제역병이 돌아서 온 마을의 소, 사슴, 염소 약350마리를 집단학살 했다.

세계동물보건기구(OIE)로부터 청정 축산지역을 획득하고 유지하려고 700억 원에 달하는 예산을 두달 만에 쏟아버리는 이런 방역체계는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습니다.

한번 물어봅시다. 왜 한국은 바이러스와 공존할 수 없나요? 바이러스도 동식물처럼 번식하고 성장하고 전파하는 미생물입니다. 동물에게 유해해서 병에 걸리게 하기도하고 하면서 아프다가 낳고 또 병에 걸리다 죽고 하는 것이 생노병사의 자연이치입니다. 동물도 생노병사합니다.

그러나 인간은 동물을 청정먹거리를 공급하는 식품으로만 여기니까, 그 아픈 꼴을 못 보는 겁니다. 동물도 아플 권리가 있고 그러다가 낳을 자생력도 가지고 있습니다. 자연의 질서를 거역하고 자기들만 살 수 있는 청정지역을 넓혀나간다는 것은 선진국 인간들의 기준에 맞는 청정지역을 지구촌에서 점점 더 확대해 나간다는 것입니다.

이 기준대로라면 아프리카 서아시아 지역의 양, 소, 낙타, 염소, 야크, 라마 모두 다 구제역 발병만 하면 집단학살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런 인간이기주의와 독선이 어디 있습니까.

우리마을의 예를 보아도 기업형 축산업을 하는 이보다 자연의 질서에 순응하며 살아 온 소농부가 반발의사가 분명했습니다. 이들은 자연질서를 몸으로 알고 사회법의 모순을 울분으로 토하고 있었습니다. 인간과 생물의 공생의 질서가 자연의 질서입니다. 인간이기주의는 지구촌의 동식물과 공존하는 평화의 질서를 망가뜨려 왔습니다. 동물집단학살이 문명이란 이름 아래 자행되는 것은 기만입니다. 동아시아의 오랜 문화전통으로 볼 적에도 구제역병 소를 죽이는 것도 모자라 동물집단학살을 자행하는 이 짓은 서양의 인간중심주의 도시문명관에서 비롯합니다.

인간이 만든 도시를 청정지역으로 보고 자연에서 야수와 야만이 언제든 쳐들어 올 수도 있으니 지켜야 한다는 배타적 인공문화입니다. 동아시아의 오랜 문화는 그렇지 않습니다. 소는 농경사회의 시작과 함께 농경문명을 알린 상징입니다. 그래서 고구려벽화에 그려진 우두인신牛頭人神은 한 손에 벼 이삭을 들고 있는 신선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달려가도 너무 막 달려가는 한국의 짝퉁 근대주의의 정책은 중심 되는 가치와 철학이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우리 마을은 30년 전 축산을 문막에서 제일 먼저 시작한 마을로 주민들이 자랑하여 왔었기에 이번 사건은 그래서 더 큰 충격이 되었습니다. 그 이상 말문을 열고 싶지 않습니다. 축산마을에서 이웃으로 살아온 나는 소, 염소, 사슴들의 영혼을 위로하는 동물위령제라도 지내고 싶은 심정입니다.

지구촌의 어느 생물종도 다른 생물을 집단학살 할 권한은 없습니다.

▲ 6세기 집안현 오회분 4호묘 널방 천장고임돌 벽화에는 불의 신과 함께 소신이 그려져 있다. 우두인신(牛頭人神)의 소의 신이 나락을 들고 신선의 옷을 입고 천지를 휘돌고 있다.


김봉준 화가 ( mendrami@pressian.com )
  • ?
    익명 2010.12.26 02:04

    구제역에 관해 문외한이지만

    매몰되는 생명들을 보며

    영적인 불안이 듬은..

    그들의 생명이나

    내 생명이나 무에 그리

    차이가 있다고.. 휴..

    뭐 좀

    대책이 없을까..

  • ?
    개혁 2010.12.26 11:27

    사람의 생명도 주요하지만 동물의 생명 또한 중요한 것이지요

    기독교는 물론 불교에서도 가만히 있는 것이 신기합니다.

    동물의 피로 오염된 인간의 병든 영혼이 애처럽고 불쌍하네요

    분명 시정되어야 할 일이라 생각됩니다.

    인간의 병든 이기심이 언제까지 갈런지


  1.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Date2014.11.30 By김원일 Views10402
    read more
  2.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Date2013.04.06 Byadmin Views36652
    read more
  3.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Date2013.04.06 Byadmin Views53664
    read more
  4. 필명에 관한 안내

    Date2010.12.05 Byadmin Views85451
    read more
  5. mp3 성경 무료 다운 싸이트 아시는분 알려주세요 (급) -미리 감사 드립니다

    Date2010.12.21 By익명 Views3397
    Read More
  6. 동짓달 밤에 연가(戀歌 )

    Date2010.12.21 By저녁마을 Views3401
    Read More
  7. 어떻게 참았을까?

    Date2010.12.21 By로산 Views2362
    Read More
  8. 부동산 신탁

    Date2010.12.21 By로산 Views2353
    Read More
  9. 나의 사랑하는 책, 소설.

    Date2010.12.21 By허주 Views2427
    Read More
  10. ( 순정 소설 ) 민스다 등장 인물로 꾸미기 ( 나는 어떻게 묘사될까 ? ) - 밤 하늘은 붉게 물들고

    Date2010.12.21 By잠 수 Views3503
    Read More
  11. 크리스마스 피아노

    Date2010.12.21 By1.5세 Views2486
    Read More
  12. Kiss the Rain

    Date2010.12.21 By1.5세 Views2510
    Read More
  13. 제발 생각이란걸 좀 하면서 살자.. !!!

    Date2010.12.21 By김 성 진 Views3421
    Read More
  14. 엘렌 화잇 보다 더 큰 자들의 시대

    Date2010.12.22 By로산 Views2600
    Read More
  15. Dr.Kim, 원본과 사본이 같은 이유 ( 3 ) 7번째~ 10번째 증명( 추가 수정 )

    Date2010.12.22 Bypurm Views2874
    Read More
  16. Dr.Kim 이 노스트라다무스 예언을 믿으라는데 대한 답변

    Date2010.12.22 Bypurm Views2447
    Read More
  17. 나의 고백: 내 아이들

    Date2010.12.22 By초록빛 Views2615
    Read More
  18. 색에 대하여, 깊고 검은 이야기 - PG-13, 19금 포함 (133에서 추가)

    Date2010.12.22 By아기자기 Views2701
    Read More
  19. 초록빛님, 저도 고백합니다

    Date2010.12.22 By유재춘 Views2623
    Read More
  20. 얘들 정말 왜 이러니

    Date2010.12.22 By김원일 Views2332
    Read More
  21. 북한에 대해 가장 잘 쓴 책 중 하나

    Date2010.12.22 By김원일 Views2386
    Read More
  22. 평신도와 목회자의 구별법-재림마을에서

    Date2010.12.22 By로산 Views2784
    Read More
  23. 예수천국! 불신지옥! ... 이곳도 예외없다.

    Date2010.12.22 By고바우 Views2279
    Read More
  24. 이 누리의 묻지 마 삭제

    Date2010.12.22 By김원일 Views2337
    Read More
  25. 내 마음은 혼돈과 혼란의 시대

    Date2010.12.22 By너도 Views2381
    Read More
  26. IL DIVO : O Holy Night / The Adagio

    Date2010.12.22 By1.5세 Views2599
    Read More
  27. 구제역(口蹄疫)

    Date2010.12.22 By로산 Views2274
    Read More
  28. 이명박 대통령에게 드리는 사자성어=만절필동(萬折必東)과 낙정하석落穽下石

    Date2010.12.22 By로산 Views3717
    Read More
  29. 인터넷 안교교과해설

    Date2010.12.22 By로산 Views2559
    Read More
  30. 시대의 부름 ... 기억하며

    Date2010.12.23 By섬돌 Views2121
    Read More
  31. 고민을 껴안는 삶

    Date2010.12.23 By허주 Views2179
    Read More
  32. 역사의 교훈( 1 )

    Date2010.12.23 Bypurm Views2078
    Read More
  33. 역사의 교훈( 2 )

    Date2010.12.23 Bypurm Views2000
    Read More
  34. 인자가 오리라(정용섭목사)

    Date2010.12.23 By설교 나눔 Views1952
    Read More
  35. 이명박 나는 진짜 진짜 싫다.

    Date2010.12.23 By바이블 Views2075
    Read More
  36. 하나님의 귀한 은총이 충만하소서 - 메리 크리스마스(12월24일 출책할까요? -한국)

    Date2010.12.23 By잠 수 Views3027
    Read More
  37. (1) 예수님께서 욕하신 일 없음. "독사의 새끼들" 을 오해 (2) 여손 사손 계통

    Date2010.12.23 Bypurm Views2659
    Read More
  38. 소설을 하나 쓰고 싶었습니다.

    Date2010.12.23 By지경야인 Views2046
    Read More
  39. 창세기에서 방황하다-4

    Date2010.12.23 By로산 Views2161
    Read More
  40. 안식일 무단횡단 하던 유대교 랍비.......

    Date2010.12.23 By안식 Views2350
    Read More
  41. 욕에 관하여... 한번 생각해 보자!

    Date2010.12.23 By고바우 Views2982
    Read More
  42. 방송국에서 드라마를 만드는 사람들은 "미국에 사는 한인들 비하하지 말라 !"

    Date2010.12.23 By머루 Views2154
    Read More
  43. 어젯밤 뉴스에서

    Date2010.12.23 By로산 Views2071
    Read More
  44. For Unto Us a Child is Born - Handel's Messiah - Mormon Tabernacle Choir

    Date2010.12.23 By1.5세 Views1884
    Read More
  45. "기독교는 망국적 종교이다" - 어느 신학자의 고백

    Date2010.12.23 By Views2747
    Read More
  46. 할렐루야 핸드벨 앙상블 - 민스다 모든 가족에게 드립니다. .

    Date2010.12.23 By잠 수 Views2278
    Read More
  47. 에니메이션 - 기쁘다 구주 오셨네

    Date2010.12.23 By잠 수 Views2161
    Read More
  48. 고요한 밤 거룩한 밤 - 색소폰 3 중주

    Date2010.12.23 By잠 수 Views2511
    Read More
  49. 1950년대 우리나라 힘든 모습 - 사진 모음

    Date2010.12.24 By잠 수 Views2373
    Read More
  50. 진보의 변화

    Date2010.12.24 By진보 Views1860
    Read More
  51. 눈물과 감동의 성만찬 12 월 25 일 안식일

    Date2010.12.24 By잠 수 Views2279
    Read More
  52. JPNEWS에서 퍼온 글 입니다.

    Date2010.12.24 By박훈 Views2046
    Read More
  53. Hallelujah Handel's Messiah / 지휘: 정명훈

    Date2010.12.24 By1.5세 Views2076
    Read More
  54. 비교 정치론

    Date2010.12.24 By로산 Views1788
    Read More
  55. 이명박 장로 산타하시다.

    Date2010.12.25 By김원일 Views2105
    Read More
  56. 정신적 20세기를 넘어서는 길

    Date2010.12.25 By김원일 Views1790
    Read More
  57. 이런 예배 드린 안식교 있으면 손들어 보세요.

    Date2010.12.25 By김원일 Views2142
    Read More
  58. 역사의 교훈( 3 )

    Date2010.12.25 Bypurm Views2456
    Read More
  59. 역사의 교훈( 4 )

    Date2010.12.25 Byprum Views1953
    Read More
  60. "나치 선전같은 방송 놔두는게 징계감" '정직4개월' KBS 김용진 기자 "가소롭다" 강력 비판

    Date2010.12.25 By프리즘 Views3470
    Read More
  61. 너무도 다른 예수...

    Date2010.12.25 By정은 Views2060
    Read More
  62. 예수라 이름하는 그대에게--정은 님의 글을 읽고

    Date2010.12.25 By김원일 Views2211
    Read More
  63. 자선의 계절에 생각해 보는 교회과 정의

    Date2010.12.25 By아기자기 Views1798
    Read More
  64. 동물 학살국

    Date2010.12.25 By로산 Views1942
    Read More
  65. 나는 아픈 게 좋다

    Date2010.12.26 By최종오 Views1865
    Read More
  66. 정은님, 물론 예수님께서 시대마다 사람마다 교파마다 다르지 않으시니

    Date2010.12.26 Bypurm Views1973
    Read More
  67. 재림교인 1700 여만, 그러나 이 숫자가 줄어들 때가 축복이 된다

    Date2010.12.26 Bypurm Views2097
    Read More
  68. 폭 설

    Date2010.12.26 By바다 Views2472
    Read More
  69. 불법을 자행한 중국선원 석방하지 말라 !

    Date2010.12.26 By머루 Views1830
    Read More
  70.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고, 글은 쓰는가?

    Date2010.12.26 By무실 Views1764
    Read More
  71. 하루의 기도

    Date2010.12.26 By무실 Views1730
    Read More
  72. 우리 안의 소크라테스를 위하여 !!

    Date2010.12.26 By무실 Views1998
    Read More
  73. 영적인 스승

    Date2010.12.26 By무실 Views1288
    Read More
  74. 시 131

    Date2010.12.26 By무실 Views127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