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13.06.18 11:27

보수의 품격

조회 수 1494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는 이런 보수를 기다려 왔다 - 『표창원, 보수의 품격』


표창원, 대한민국 보수를 프로파일링하다!

정의로운 보수로 커밍아웃한 표창원 전 교수가 『표창원, 보수의 품격』으로 독자들을 찾았다. 

그는 진정한 보수라면 ‘종북 좌빨’이라는 프레임으로 표현의 자유를 가로막지 않는다고 

‘돌직구’를 날리며 보수의 품격을 논한다.


지난 연말은 18대 대선의 열기로 전국이 들썩이고 있었다. 범야권 대 여당이 팽팽하게 맞서면서 상대 후보나 진영에 대한 각종 비난들은 끊이지 않고 이어졌다. 경선 과정이 과열된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십알단의 존재며 국정원 여직원 사건 등 여당의 부정선거 관련 의혹이 속속들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 와중에 한 경찰대 교수가 올린 트위터 글이 화제가 되었다. 그는 국정원 여직원 사건에 대해 경찰의 즉각 진입과 수사를 촉구하며 양쪽 진영으로부터 박수와 비난을 동시에 받았다. 그런데 거기에서 끝이 아니었다. 보수 진영으로부터 예의 ‘종북’ ‘좌빨’이란 비난이 쏟아지자 블로그에 <보수주의자로서 고백하고, 요구하고, 경고합니다>라는 글을 올려 진정한 보수의 가치를 역설하더니 덜컥, 사표를 던졌다. 경찰대 교수로서 정치적 중립성을 지켜야 하는 문제와 ‘표현의 자유, 어떠한 것에도 구애받고 싶지 않은 욕심’ 때문이란다. 보수로서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밥그릇마저 집어던진 이 40대 남성은 대선 후에도 광주로 내려가 시민들을 위로하는가 하면 강남과 광화문 등지에서 프리허그를 하며 대한민국을 매혹시켰다. 바로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의 이야기다.

그런 그가 이번에는 『표창원, 보수의 품격』(표창원, 구영식 지음, 비아북, 2013)으로 독자들을 찾아왔다. JTBC에서 <시사 돌직구>의 메인 MC와 대한민국 독립유공자협회 홍보 이사직을 맡는 등 눈부시게 활약하고 있는 표 전 교수의 표정은 밝아 보였다.



진정한 보수를 찾습니다

  
면제의 대물림을 하는 자, 그는 보수가 아니다.-보수는 의무를 지킨다. 의무를 넘어서 자신을 희생한다.
위법과 탈법을 일삼으며 권력으로 치부를 가리는 자, 그는 보수가 아니다.-보수는 누구보다 자신에게 엄격하다. 부끄러움을 알고 공익을 위하는 것이 보수다.
입을 막고 종북과 좌빨을 외치는 자, 그는 보수가 아니다.-보수는 비판에 당당하다. 자신의 길에 두려움을 가지지 않는 것이 보수다.
권력의 그늘에서 시민의 피를 빠는 자, 그는 보수가 아니다.-보수는 공공의 이익을 위해 노력한다. 함께 잘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보수다.
친일과 독재를 미화하는 자, 그는 보수가 아니다.-보수는 민주주의의 파수꾼이다. 과거를 엄정히 평가하고 화해로써 미래를 열어가는 것이 보수다. (p8-9)
그는 보수가 무엇인지를 묻는 것으로 강연을 시작했다. “여러분들은 ‘보수’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청중들은 묵묵부답이었다. “보 수의 정의, 그건 간단하죠. 여러분들이 차마 부끄러워서 손들고 말씀하시지는 않았지만 모두가 알고 있는 거예요. 보수는, 있는 그대로 뭡니까? 그 사회의 전통적인 가치, 이념, 체제, 도덕, 윤리, 철학, 이런 것들을 지키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에요.”

표 전 교수는 그렇다면 대한민국 보수는 도대체 무엇인지를 묻는다. 보수가 한 사회의 전통적인 가치나 이념 등의 총체를 지키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라면 한국의 ‘전통’을 어디에서 찾아야 하는지에 대한 진지한 물음이다. 그는 그 전통을 친일이나 독재가 아닌 ‘선비 정신’에서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선비정신의 본령. 옳은 것은 옳다, 그른 것은 그르다, 타협하지 않는 정신이었어요. 삼강오륜, 선비들의 상소를 통해서, 임금님에게조차 ‘임금님, 그것은 아니옵니다. 통촉하여주시옵소서.’ 대한민국의 전통은 무엇이었을까요. 친일, 황국신민이 되고자 했고, 나라를 팔아먹고, 그들에게 빌붙어서 돈 받고 작위 받고, 그게 대한민국의 자랑스러운 전통입니까? 나라가 짓밟히고 국권이 넘어갔는데 내가 가진 것들이 무슨 소용이야, 하면서 독립운동에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희사하셨던 우당 이회영 선생 같은 그런 분들이 대한민국의 자랑 아니겠습니까?”

그러면서 그는 어째서 오늘날 대한민국의 보수가 이토록 부끄러운 이름이 되었는지를 묻는다. 그는 그 부끄러움의 이유를 역사에서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보수라는 이름을 내건 사람들이 기득권을 차지하고 부리는 행태와 ‘끼리끼리 문화’, 자신들에게 이익이 된다면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않고 유?불리에 따라 뭉치는 문화 때문에 그렇게 되었다는 것이다. 표 전 교수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핵심적인 질문을 던진다. 그런데 왜 이들은 다수를 점하고 있을까? 그런데 왜 이들은 계속해서 대한민국의 지배 세력을 형성하고 있을까? 그는 『표창원, 보수의 품격』으로 바로 이런 질문에 도전하고 싶었다고 말한다.



종북’, ‘좌빨’이라는 프레임의 덫

‘진정한 보수라면, 친북 좌빨 주장은 집어치우십시오!’
‘영국의 당당한 보수당과 민주자유당처럼, 보수의 진정한 가치인 ‘양심의 자유’, ‘표현의 자유’, ‘결사의 자유’를 무한 보장하는 것이 당당하고 떳떳한 ‘진정한 보수’입니다.‘(p14)
표 전 교수는 그 첫 번째 요인으로 ‘북한의 존재’를 꼽는다.

“북한의 존재는 대한민국 보수에게는 엄청나게 고마운 존재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북한이 있기 때문에, 분단이 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의 모든 반칙과 협잡과 ’끼리끼리‘의 카르텔이 용납되고 묵인되고 방치되고 있다, 라고 저는 생각을 합니다. 위기에 몰릴 때마다 딱 한 마디만 하면 됩니다. 매직 워드죠. ‘종북!’ (웃음) 상황 끝. ‘좌빨!’ 상황 끝.

국정원 여직원 사건 이후 그에게도 역시 ‘종북’, ‘좌빨’이라는 프레임이 씌워졌다. 국정원의 조직적인 선거 개입이라는 중대한 사안, 국정원 여직원이 과연 ‘감금’된 것인지 아니면 ‘잠금’을 한 것인지의 여부 등 공론화되어야 하는 많은 부분들이 ‘종북’과 ‘좌빨’이라는 마법의 단어에 묻혀버린 것에 대해 그는 안타까움을 표했다.

그러면서 표 전 교수는 미국의 합리적 보수의 아이콘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사례를 짚었다.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보수주의자임에도 자신이 지지하는 가치에 부합하기만 한다면 그것이 설령 민주당의 정책이라 할지라도 지지하고 박수를 보낼 줄 안다.

“우리 대한민국은 어떠냐는 거죠. 자기들이 잘못한 게 있다고 하면 ‘종북’, ‘좌빨’ ‘북한으로 가라’ 잡아먹으려고 해요. 그렇게 할 거면 보수라는 신성한 이름은 입에 올리지 말라, 라는 게 제 요구입니다. 대한민국이 이제부터는 달라져야 해요. 이제까지와는.”


박정희, 산업화의 역군과 독재자 사이에서

박정희와 광주는 각각 산업화와 민주화의 상징이다. 내가 박정희를 존경한다고 말하는 순간, 민주화세력 쪽에 있는 분들은 ‘그것만 빼면 다 너를 인정해주겠는데 그거 때문에 도대체 너를 못 믿겠어.’ 이렇게 나온다. 그 다음에 광주 민주화운동이라 하고 광주가 성지라 하면 ‘네가 전라도 놈이야? 너 결국 DJ 똘마니구나. 노빠구나.’ 이렇게 말한다. 좋다. 바로 그 발견이 더 기쁘다. 아, 이게 우리의 병이구나. 이게 우리의 환부구나. 그럼 이제 문제가 무엇인지 알았으니 반 이상은 해결된 거다. 일단 다른 것보다 이 두 문제를 가지고 계속 담론을 형성하자. 나는 총알받이 역할을 하겠다. (p213)
표 전 교수는 두 번째 요인으로 ‘박정희’라는 인물을 꼽는다. ‘박정희 전 대통령’과 ‘다카키 마사오’ 사이의 간극을 좁히지 못하면 앞으로도 진보와 보수 진영 사이에 진정한 경쟁도 화합도 있을 수 없다.

그는 박정희라는 인물에 대한 진보와 보수 진영의 평가를 다시 한 번 되짚는다. 혼란에 빠진 나라를 안정시키고 경제를 성장시킨 산업화의 역군, 다른 한편으로는 만주에서 독립군을 토벌한 친일파에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을 찬탈하고 유신체제 하에서 민주주의를 짓밟은 독재자. 표 전 교수는 이러한 양 진영 간의 이분법적 시선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대한민국 정치가 번번이 ‘박정희’라는 프레임에 걸려 넘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우리가 이 양 극단의 시각으로 계속 대치하며 계속 나아갈 거냔 말이죠. 그럴 경우에 오년 후 선거에서 어떻게 되겠습니까? 아무리 합리적으로 현 정권에 대해서 비판을 하고 새로운 변혁이 필요하다고 하고 민주주의를 더 신장시키자고 해도 해결하지 않은 숙제, 화합을 이루지 못한 ‘박정희’란 이름이 거론되면 또다시 ‘종북좌빨’이냐 ‘수구꼴통’이냐로 나뉘겠죠. 숫자가 어떻게 돼요? 정말 죄송한 말씀이지만 51.6% 선에서 더 많아지면 많아졌지 줄어들진 않을 거라는 거죠. 이건 진보를 위해서도 대한민국을 위해서도 그리고 우리 후손을 위해서도 반드시 극복해야 할 부분이라는 거죠.”





구영식 기자와의 대담

강연 뒤에는 표창원 전 교수와 『표창원, 보수의 품격』 공저자인 구영식 기자의 대담이 있었다. 두 사람은 15년 전 월간 <말>이라는 잡지의 인터뷰에서 처음 만나게 된 인연을 이야기했다.

 _ 작년에 있었던 국정원 여직원 사건에서 표 교수님이 했던 일은 진짜 보수주의자로 커밍아웃하는 거거든요. 알고 보면 진정한 보수주의자가 꽤 있었죠. 김구 선생도 있을 수 있고, 또 장준하 선생도 있을 수도 있고. 이런 분들을 우리는 다들 진보라고 알고 있단 말이죠. 이런 커밍아웃이 앞으로 좀 필요하겠죠?

 _ 네, 필요하기도 하고, 지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동성애자들이 커밍아웃하는 것처럼 공개적으로 선언하지는 않지만, 개인적으로 연락을 많이 해요. 이제부터 뭔가 시작하는구나, 라는 걸 느껴요. ‘사실은 나는 보수였는데, 보수라는 말 자체가 가진 의미, 수구, 기득권, 현 정권, 여당, 이런 것들이 싫어서 나는 진보야.’라고 했던 많은 분들이 지금은 ‘나도 이제 당당하게 보수 선언 할래.’ , 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_ 제가 표 교수님하고 인터뷰를 하면서 제일 인상 깊었던 것은 표현의 자유를 옹호하는 표 교수님의 일관된 주장이었어요. 사실 표현의 자유라는 건 항상 진보가 선점해 오고 독점해 왔던 영역이죠. 표 교수님은 표현의 자유를 ‘가장 중요한 보수의 가치다.’라고 말하고 그것을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는 거예요.

 _ 좀 화가 나는 게, 진보 쪽에 계신 분들이 자꾸 그런 이야기를 해요. 보수는 어디서나 그 나라 그 사회의 전통이잖아요. 우리가 헌법에서 채택한 이념이 뭡니까? 자유민주주의거든요. 자유민주주의의 가장 중요한 가치가 뭡니까? 그건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입니다. 내가 마음대로 말할 수 있는 자유를 부과하지 않고서 어떻게 자유민주주의를 이야기할 수 있겠냐는 거죠. 표현의 자유나 언론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는다면 우리는 선택권 자체가 없어요. 그럼 그게 자유민주주의입니까? 아니죠. 근대의 출발이고 보수의 핵심가치는 표현의 자유이고 언론의 자유입니다. 그런데 그것을 억압하고 그것을 짓밟으면서 보수라고 주장하는 자? 절대로 보수 아닙니다.

 _ 이제는 박근혜 정부입니다.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_ 유 쾌하게 살아야죠. 유쾌하고, 즐겁고, 헌법적 권리를 모두 향유하면서 신나게 살아야 합니다. 유쾌하게 사는 방법, 제가 책에서 제시를 했습니다. 첫째, 참여하라. 두 번째는, 두 눈 부릅뜨고 감시해야죠. 세 번째, 인내심을 가져라. 그 동안의 대한민국의 역사, 우리가 한 번 봐요. 지금 이 상황, 불만스러운 부분도 있지만 우리 사회는 나아졌어요. 진전이 있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고, 많은 사람의 희생과 고통과 아픔이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그냥 기다리기만 하면 됩니까? 아니잖아요. 우리 한 명 한 명이 대화합시다. 이러한 노력이 5년 동안 지속된다면 당연히 5년 뒤에는 세상이 달라지겠죠.


 img_book_bot.jpg



표창원, 보수의 품격 표창원,구영식 공저 | 비아북
저자는 이 땅에 품격 있는 보수, 진정한 보수가 서려면, ‘불법과 반칙이 결국 이긴다는 잘못된 신념, 힘센 자에게 줄 서고 충성을 바치면 옳지 않더라도 결국은 나에게 보상이 돌아온다는 불의한 관행과 인식이 깨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진정한 보수의 정신은 ‘사를 멀리하고 공을 위해 헌신하는 것이다. 과거를 솔직하게 공개하고 용서하고, 고칠 것들은 고치고, 내놓을 것은 내놓아야 한다. 그래야 비로소 품격 있는 보수가 될 수 있다.’ 그러려면 ‘생각하고 공부하고 대화를 나누고 깨어나서 합리적이고 평화적으로 세상을 조금씩 좋게 바꿔나가야’ 한다고 말한다.


  • ?
    괘도루팡 2013.06.18 21:19

    미안하지만 표창원은 보수였던 적이 없습니다.

    그는 기회주의자 입니다.

  • ?
    지경야인 2013.06.19 14:56

    루팡님은 기회주의자가 어떤 사람인지 도무지 모르시나 봅니다.

    국어 사전으로 가르쳐 드릴께요.

    기회주의―적

    (機會主義的)【관형사】【명사】 일정한 원칙 없이 그때그때의 정세에 따라 이로운 쪽으로 행동하는 (것).

    ¶ ∼인 성격/ 그의 ∼ 태도는 정말 실망스럽다.


    선생에서 일본군으로 일본 패망하자 광복군으로 남한보다 북한이 국력이 크다 느끼게 되자 빨갱이로 활동하다 잡혀 죽게 되자 동료들 다 팔아 살아남고

    4,19이후 숙청 대상자가 되자 이래죽으나 저래죽으나 하고 쿠데타 일으켜 

    군인의 본무로 돌아갈거라고 호언해놓고 자신에게 유리하자 바로 말바꾸기고 대통령이되고

    각종비리로 나라를 누란의 위기로 몰아갈 즈음에 미국의 도움으로 겨우 수숩한 것을 자신의 업적으로 과대 포장한 사람이 기회주의자 아닐까요??

    기회주의자란 기회를 이용하여 자신의 영달을 추구하는 자를 일컫는데

    북쪽에서는 위대한 민족의 태양이 뜨셨고

    남쪽에선 위대한 한강의 기적이 뜨셨지


    표창원교수가 기회주의자라면

    그에 걸맞는 이익을 향유하여야 할텐데...........

  • ?
    괘도루팡 2013.06.19 15:57

    정치인들은 지금 영역 싸움 중입니다.  말하자면 진보와 보수의 세가 막상 막하 인데

    중간지대를 누가 차지하느냐가 아주 중요한 제3의 영역이지요. 마치 3김시대의 김종필과 같이,

    캐스팅 보트를 쥘 수 있는 '진보적 보수' 또는  '보수적 진보'의  땅을 차지하기 위한 싸움이죠.

    안철수가 이 이런 미개척의 영역을 먼저 알아보고, 깃발을 꽂았습니다.

    후발 주자인 표창원이 앞으로 될만한 장사 영역이라고 판단한 거죠. 

    적절한 처신을 하면 자기의 몸값을 올릴 수 있는 절호의 찬스라고 생각했을겁니다. 

    그래서 표창원의 행보가 안철수의 행보와 닮아 있습니다.  힐링을 내세우고 보수인 척 하고....책내고...(안철수 아류)

    누가 물어 본적도 없습니다.  자신이 보수라고 했지만 전에 그가 보수적인 리더로서 활동한 것을 본적이 없습니다.

    표창원씨가 원글의 내용들을  그 동안은 왜? 실천하지 않고 있었는지,  실천하지 않는 리더가 진정한 리더인지?

    그리고 왜? 작년 대선때가 그 때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답해야 합니다. 


    김종필이 지역주의 속에서 제3의 정치영역을 기반으로 기회주의적 정치를 했다면

    표창원 역시  진보와 보수의 대립속에서 제3의 영역을 차기하기위해 노력하는 사람이라고 저는 봅니다. 

  • ?
    지경야인 2013.06.19 21:48

    그렇군요

    좋은 지적입니다.


    그런데 원글이 말한대로 진정한 보수가 기회를 잡았으면 합니다.

    한번 쯤은 참 된 진보가 정권을 잡았으면 하고요.

    노무현 김대중은 보수에 가까운 분이었는데

    꼴통들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서 진보로 느껴졌을뿐인에..........

    현재는 꼴통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03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53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65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52
11115 김균 장노님 5 유재춘 2010.11.22 1506
11114 구천 1 로산 2010.11.19 1506
11113 또 내가보니-제 1 단계 (반복과 팽창의 성경 이야기) 3 fallbaram 2013.12.26 1505
11112 그대들이 어떻게 예수님을 알 수 있겠습니까! 7 청교도 2013.11.12 1505
11111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 2 김균 2013.09.03 1505
11110 전두환, 그를 찬양하는 것도 범죄다 김균 2013.06.08 1505
11109 박진하님 한 번 같이 생각해 봅시다 10 강철호 2012.10.16 1505
11108 유성기업 경영진에게 유성기업 사태에 대한 해결책을 권고하는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의 권고 1 대전유성 2011.06.27 1505
11107 웃자구요 - 배꼽이 빠지도록 2 잠 수 2011.01.18 1505
11106 그동안 즐거웠어요 10 김원일 2010.12.28 1505
11105 두 사람의 논쟁에 한 마디만 11 김균 2014.03.19 1504
11104 확실한 정체성으로 똘똘 뭉쳐진 교회 8 김주영 2014.01.06 1504
11103 낚시 이야기 한 토막 2 로산 2011.07.20 1504
11102 카스다선 아무 반응도 없던 글, 여긴 어떨지?( 여기도 좋아않겠지만, 그러나 틀린 말은 아니니) 4 KT 2011.06.21 1504
11101 그늘있는 가정 9 무실 2011.06.10 1504
11100 혼돈 5 바다 2011.05.24 1504
11099 이렇게 살고 싶습니다 2 로산 2011.02.03 1504
11098 검사님, 왜 저를 이석기 의원과 엮나요? 시사인 2013.10.13 1503
11097 햇까닥한 허당깨 지게 작대기 헛매질 하다 자빠지는 소리 2 아기자기 2013.07.28 1503
11096 촛불이라면 7 로산 2012.12.23 1503
11095 하나님의 예지와 예정 3 질문1 2012.10.26 1503
11094 도올의 도마복음 이야기 인용합니다.(고집불통 노인네에게 보냅니다) 나는 나다 2011.05.31 1503
11093 MB “기업이 돈 벌면 배 아프냐” MB 2012.05.02 1503
11092 왜 고해성사를 기피할까? 14 로산 2012.12.04 1502
11091 사랑해요 3 로산 2012.10.09 1502
11090 조재경님의 수준문제 5 형광펜 2010.11.24 1502
11089 닭그네 file 닭틀러 2014.10.11 1501
11088 유시민 "손수조, 순수한 청년으로 직장생활 하거나…" 4.11총선 2012.03.27 1501
11087 우와~ 드뎌 내가 먹었다^^ 6 유재춘 2011.07.26 1501
11086 바보 멍텅구리.. 10 김 성 진 2011.01.14 1501
11085 엄마의 건망증 4 김기대 2010.12.02 1501
11084 난 이번 교과(2014년 1기 제자도) 때문에 날마다 한숨짓고 산다. 12 최종오 2014.01.09 1500
11083 시편의 어원 2 무실 2011.08.27 1500
11082 삼성 이건희 이미 지난 5월16일 사망 금성사 2014.10.10 1499
11081 이번만은 좀 진지하게 답을 달 줄 알았는데 12 김균 2013.10.22 1499
11080 [평화의 연찬 제82회 : 2013년 10월 05일(토)] ‘지정학적 한반도’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10.09 1499
11079 이리저리 봐도 미국이 천국이지. 16 김재흠 2013.06.24 1499
11078 김성주란 이름은 김일성의 아명(兒名) 먹통 2012.12.17 1499
11077 글들이 왜 지워졌어요? 7 로산 2012.12.02 1499
11076 민초철학 19 제자 2012.11.11 1499
11075 안식교와 유교에 치여 죽지 않은 게 다행인 한인 제칠일안식일예수/공자재림교인들-수정 9 김원일 2011.10.29 1499
11074 어리버리한 우리교회 교리!! 4 반고 ㅇ 2011.10.01 1499
11073 passerby님의 증언 오해도 역시 풀어드리고자 합니다 1 KT 2011.06.27 1499
11072 표창원 씨의 이상한 이중 잣대. 5 아리송 2013.07.08 1498
11071 해월유록(海月遺錄)중에서...하나님의 나이 70세에 구세주를 낚다(찾다) 마치 문왕(文王)을 낚은 강태공처럼 현민 2013.06.29 1498
11070 해월유록(海月遺錄)에서 발췌.... "천명(天命)"에 대하여 현민 2013.06.02 1498
11069 제 3의 성 1 나그네 2012.05.24 1498
11068 로얄 패미리와 재림청년들 1 이동근 2010.11.20 1498
11067 서른여덟 번째 모임 : ['평화의 연찬 제38회', 2012년 12월 1일(토)] 김성범 목사(미국 다이아몬드바교회) | 스다(SDA를 지칭)의 꿈|리처드 바크(1970) | 『갈매기의 꿈(Johnathan Livingston Seagull)』 |류시화 역(2012)| 현문미디어 (사)평화교류협의회 2012.11.28 1497
11066 허무개그. 필리페 2012.03.25 1497
11065 김대중에 대해 여러분이 잘 모르고 있는 사실 2 김주영 2011.12.17 1497
11064 오늘은 출석을 새글로 달아봅니다 -- 2011/01/28(금) 9 고바우 2011.01.27 1497
11063 이름부터 바꿔라 ! 김주영 2010.11.20 1496
11062 일단 5.00$ 기부금 내놓고 "썰?"풀겠읍니다 11 fm 2014.03.04 1495
11061 초중고생 자살 현 정부 들어 1.3배 증가, 왜? 1 가슴이 아파 2012.10.03 1495
11060 나의 갈길 다가도록 (고 정동심 목사 회고록 연재)#8 1 정태국 2012.01.21 1495
» 보수의 품격 4 보수꼴통론 2013.06.18 1494
11058 꿈도 야무지셔-student님 6 로산 2012.11.14 1494
11057 답답한 마음으로 한마디 bystander 2012.01.21 1494
11056 고향을 그리며 ------------------------와우 ---------------------------------- 4 잠 수 2011.01.23 1494
11055 죽는 날 내 관 속에 가져갈 것은 환자들의 명부다 file ~♡ 2014.09.15 1493
11054 내가 없는 구원이 무슨 가치 있는가? 8 김균 2013.09.12 1493
11053 조대명 교수 세미나 안내 1 이태훈 2012.11.23 1493
11052 운영비에 쓰라고 기부하셨나요??? 운영하는데 보태준거있나요??? 39 김 성 진 2012.11.05 1493
11051 되로 욕하면 말로 돌려 받는다(나도 제목 바꿉니다) 9 로산 2012.10.13 1493
11050 저**가 목사(들)라고??? 8 유재춘 2012.03.09 1493
11049 행동하는 햄릿, 아름다운 별이 지다 -- 명문 추도사 2 퍼옴 2011.12.31 1493
11048 유럽 챔피언스리그 프로축구 결승 경기를 보실 수 있는 싸이트를 알려드립니다.. 누가이기든 2011.05.28 1493
11047 저주한다 2 유재춘 2010.11.22 1493
11046 <나도 모르는 나꼼수> 3 아기자기 2013.06.28 1492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