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들의 상투적인 담론전략

by 김원일 posted Aug 07, 2013 Likes 0 Replies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폭력’의 기억, 폭력의 망각


일러스트레이션 김대중

박노자의 한국, 안과 밖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대 교수·한국학


지난달 울산에서 일어난 희망버스 참가자와 현대자동차 사쪽이 고용한 용역 사이의 충돌이 최근 인구에 회자됐다. 대법원의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판결을 무시하고 충돌 과정에서 시위 참가자 100여명을 다치게 한 사쪽에는 무한한 관용(?)을 보여주는 국가는, 반대로 시위자와 시위 계획자의 경우엔 4명을 구속하기로 하고 약 50여명에 대한 조사를 벌인다고 한다. 국가도 회사의 노골적인 불법보다 노동자들의 ‘폭력적’ 발버둥에 훨씬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가 하면, 보수 미디어들은 아예 시위자들에 대한 언론재판을 진행한다. “죽봉을 든 시위꾼”은 얌전한 축에 속하는 표현이고, 대개는 참가자들이 밤새도록 술만 들이마시고 오로지 물리적 공격을 하기 위해 울산에 찾아온 폭도쯤으로 묘사된다.

대부분의 보도들은 희망버스 울산행의 이유, 곧 현대자동차의 불법파견 행위 등에 대해 거의 제대로 언급하지도 않는다. 그래야 “뚜렷한 목적도 없이, 잘못된 특정 이념 때문인지 계속 무지막지한 폭력을 휘두르는 폭도”의 이미지를 조성하기가 더 쉬운가 보다.


지배자들의 폭력이 은폐되는 가운데 저항을 시도한 하위자의 일부 폭력 행위만을 균형감각 없이 부각하여 저항 그 자체를 무조건 ‘폭력’으로 모는 것은 사실 극우 정권의 전형적인 프로파간다 수법이다. 예컨대 우리의 상식으로는 파시스트 독일이야말로 폭력 그 자체의 화신이지만, 파시스트들의 프로파간다에서는 놀랍게도 파시스트 자신들이 ‘유대인 볼셰비키 폭력’의 희생자(!)로 서술되곤 했다. 실은 파시스트의 프로파간다 수법은 오늘날 조중동과 다를 게 없었다. 반대쪽이 어쩌다가 저지른 한 국지적 사건을 무한대로 침소봉대하여 ‘빨갱이들의 폭력성’에만 주의를 집중시키는 수법이었다. 가장 유명한 사례는 1919년 4월30일 뮌헨에서 일어난 ‘인질’ 10명 총살 사건에 관해 사회적으로 기억하는 방식이었다. 


온건 공산주의자들이 아나키스트 등과 함께 만든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의 붉은군대가 자발적으로 즉석 재판을 하여 총살한 10명의 반대편 포로는 실은 ‘인질’이라고 할 수 없었다. 둘은 공화국을 진압하려고 했던 관군 포로였으며, 나머지는 나중에 파시스트 정당으로 발전하게 된 극우민족주의적 툴레협회의 주요 회원이었다. 툴레협회의 회원과 전 회원들이 이미 혁명 지도자들에 대한 테러를 저지른 적이 있으며 앞으로 관군과 내통하여 붉은군대에 불의의 공격을 가할 것이라고 혁명가들이 충분히 우려할 만한 상황이었다. 관군에 의한 노동자 학살 소식에 흥분한 붉은군대가 아무리 판단력을 잃은 상태에서 저지른 일이라 해도, 정식 재판 없는 총살 그 자체는 당연히 좋은 일은 아니었다. 한데 혁명가 쪽의 ‘적색테러’ 규모가 10명의 반대자였다면, 관군과 뮌헨 내 반혁명 세력은 과연 얼마나 많은 살생을 했을까? 관의 공식 통계만 봐도 소비에트 공화국이 진압되었던 1919년 5월1일에서 8일 동안 뮌헨에서 관군의 손에 577명이 죽었는데, 그중에서 ‘신분 불분명’으로 처리된 42명은 아마도 혁명과 아주 무관한 이들이었을 것이다. 군사재판이 총살형을 내린 186명 중 다수는 그 어떤 폭력행위와도 무관했던 좌파적 노동자들이었다. 그런데 과연 이 백색테러의 광란은 나중에 파시스트들이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을 기억하는 방식에서 약간이라도 가시적으로 남아 있었던가?


물론 전혀 아니었다. 백색테러는 “유대인 볼셰비키에 대한 진압과 질서회복”의 이름으로 간단하게 정당화되거나 아예 망각의 영역으로 사라지곤 했다. 그 대신 “10명의 희생자를 학살한 유대인 볼셰비키의 잔혹성”(물론 실제로 총살당한 사람들 중에 유대인은 1명도 없었다)만이 강조되고, ‘10명의 인질’은 숭배 대상에 올랐다. ‘10명의 인질 학살’에 대한 책 등이 계속 출판되고, 그들을 기념하는 대중궐기대회들은 1930년대 말까지 정기적으로 소집되었다. 책·정간물·대회연설들은 목청을 높여 “유대인 볼셰비키들의 무비의 폭력성”을 질타했다. 이미 죽음의 수용소들을 운영하고 있었던 독일에서 말이다.


남한의 공식 담론에서는 북한은 늘 ‘도발자’, 곧 폭력 행위자로 나타나고 남한의 역할은 묵시적으로 ‘방어’로 규정된다. 그러나 실제로 남한은 과연 ‘희생자’이기만 했던가? 요즘 NLL에 대해 말이 많지만 실은 1953년 당시 미군이 그 선을 그었을 때 주된 목적은 남한 해군의 대북 도발 방지였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우리’ 국가의 폭력을 숨기거나 정당화하고 내·외부 타자들의 ‘폭력성’만을 그 어떤 균형도 잡지 않고 무조건 강조하는 것은 한국의 공식 담론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노동자나 시위자 등의 ‘내부의 적’에 대해서도 그렇지만, 특히 주된 ‘외부의 적’인 북한에 대해서 아주 그렇다. 남한의 공식 담론에서는 북한은 늘 ‘도발자’, 곧 폭력 행위자로 나타나고 남한의 역할은 묵시적으로 ‘방어’로 규정된다. 그러나 실제로 남한은 과연 ‘희생자’이기만 했던가? 요즘 북방한계선(NLL)에 대해 말이 많지만 실은 1953년 당시 미군이 그 선을 그었을 때에 주된 목적은 남한 해군의 대북 도발 방지였다. 그때만 해도 ‘북진 통일’은 이승만의 공식 이념이었기에 남침보다 북침이 더 걱정될 만한 일이었다.


천만다행으로 대규모 북침은 없었지만, 북한에 대한 소규모 도발, 곧 공작원 파견은 계속됐다. 크게 축소된 것으로 보이는 공식 통계를 봐도 1953~1972년에 남한이 양성해 올려보낸 북파 요원은 약 1만3000명이었고, 그중 7519명이 임무 수행 중 전사했다. 반대로, 알려져 있는 북한의 남파 공작원 수는 1953~1999년 6446명이며, 그중 1644명이 사살됐다. 그러니까 정보수집부터 파괴·살인까지 다양한 임무를 띤 무장 공작원들을, 1972년 이후의 공작원 북파를 인정하지 않는 제한된 통계만 봐도 남한이 북한보다 두 배 정도 더 많이 보냈다. 우리는 정말 ‘방어자’이기만 한 것일까? 그리고 7519명의 북파 공작원이 전사했다면, 그들이 수행한 공작 등에 희생된 북한인은 과연 몇 천 명일까? ‘북한 도발’에 비분강개하는 우리는 과연 우리의 폭력에 희생된 ‘그쪽’ 사람들의 유족에게 사죄·보상이라도 해주어야 하지 않겠는가? 그런데 아쉽게도 우리는 ‘외부의 적’에 의한 폭력은 기억해도 대한민국이 저질러온 폭력에 대한 기억은 늘 지우려고 한다.


‘내부의 적’에 대한 태도도 그 본질상 같다. 물론 광주민주항쟁이나 1987년 6월 시위들의 ‘폭력성’은 온건 보수 매체들도 함부로 들먹이지 않는다. 저항의 방법이 무엇이었든 억압자들의 폭력성은 그것과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압도적이었다는 것을 다들 기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형식적인 민주화가 이루어진 뒤의 시위들에 대해서는, 보수 매체들이 보통 그 원인이나 요구사항을 묻지도 않은 채 그저 “폭력 시위”라고 매도한다. 예컨대 1996년의 연세대 사태 때 의경 한명이 돌에 맞아 죽고 수십명이 골절이나 뇌진탕 등 중상을 입은 것은 안타깝고 한탄스러운 일이지만, “전장을 방불케 하는 폭력 시위 현장”을 자극적으로 묘사하고 “친북 단체 한총련의 폭력성”만을 질타했던 보수 매체들은 한 가지 간단한 질문을 절대 던지지 않았다. 한총련이 연세대에서 열었던 통일대축전을 왜 불허·봉쇄하고, 제대로 훈련도 받지 않은 의경들을 마구잡이로 모아 무조건 초강경 진압 일변도로 대해야 했는가라는 질문이다. 과연 당시 위기에 빠진 김영삼 정권은 “친북 폭력 시위자”들에게 부상당한 의경들의 모습을 전국에 과시함으로써 학생운동권에 대한 파괴로 보수층 사이에 ‘점수’를 얻으려고 했던 게 아니었을까? 수십명의 시위자들도 안구 파열이나 골절 내지 그 이상의 중상을 입었지만, 그 부분은 물론 미디어에 크게 노출되지 않았다. ‘저들’은 ‘폭도’이고 ‘우리’는 오로지 ‘질서’만 지키기 때문이다.


히틀러 시대든 오늘이든 ‘우리’ 국가의 폭력성을 철저히 은폐한 채 내·외부의 ‘적’만을 ‘폭력 행위자’로 묘사하고, 지배·억압의 일상을 ‘폭력 행위자’들이 악의적으로 파괴하려고 하는, 당연하고도 모두에게 좋은 ‘질서’로 선전하는 것은 ‘갑’들의 상투적인 담론전략이다.


히틀러 시대든 오늘이든 ‘우리’ 국가의 폭력성을 철저히 은폐한 채 내·외부의 ‘적’만을 ‘폭력 행위자’로 묘사하고, 지배·억압의 일상을 ‘폭력 행위자’들이 악의적으로 파괴하려고 하는, 당연하고도 모두에게 좋은 ‘질서’로 선전하는 것은 ‘갑’들의 상투적인 담론전략이다. 그런데 대법원이 아무리 ‘불법 파견’이라고 판결해도 그 판결을 국내 최대 자동차업체가 이행할 의지조차 보이지 않는 사회의 ‘질서’는 정말 ‘을’들에게 좋은 것인가?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대 교수·한국학



출처: 한겨레 신문 논단


Articles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