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할 수 있는 사회.

by 프로젝트 posted Aug 28, 2013 Likes 0 Replies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티브이데일리 김유민 기자]

'천안함 프로젝트', 말할 수 있는 사회를 말하려 한 죄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는 개봉도 되기 전에 상영금지 가처분신청 소송에 휘말렸다. 영화를 보지 않고 한 소송이다. 감독은 소송을 제기한 유족과 군 당국 담당자들을 직접 시사회에 초청했지만 응하지 않았다. 이 영화는 그렇게 민감한 사안이 소재라는 이유만으로 영화 속 '진짜' 주제를 말하지 못하는 위기에 처했다.

무슨 이야기가 하고 싶었던 걸까?

'천안함 프로젝트'는 2010년 3월 26일 대한민국 해군 초계함 천안함이 침몰한 사건에 대한 기록과 재연으로 구성됐다.

영화는 국방부의 발표를 오목조목 설명한다. 그 과정은 가공한 것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날 것으로 보는 이로 하여금 기존 발표에 대해 글이 아닌 영상으로 상황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끔 도와준다.

그리고 묻는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도 가능하지 않느냐고. 신상철 전 천안함 조사위원과 이종인 알파잠수기술공사 대표가 계속해 말해왔지만, 우리는 들은 적 없었던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래서인지 인터뷰를 하고 있지만, 밋밋함이 느껴진다. 영화는 그저 들려 줄 뿐이다. 강요하거나 이것이 진실이라고 결론내리지 않는다.

상황을 이해시키기 위한 그래픽은 단촐하고, 재연 또한 재판에서 기록된 말로만 이뤄졌다. 보는 내내 의심이 든다. 그리고 그 의심은 존재할 수 있는 '합리적'인 의심임을 말하고 있다.

'사건 당시 근처 서해안에서 해군이 혹시 모를 침입에 대비한 훈련 중이었다. 그런데 훈련중인 해군의 경비망을 뚫고 북한 어뢰가 몰래 통과해 천안함을 정확히 격추시킬 수 있는 기술이 북한에게 가능한 일인가?'

'왜 천안함이 침몰한 직후가 아닌, 사흘이 지나서야 '찾아 달라'는 협조사항을 전달했는가' 하고 말이다.

유족들의 명예는 무슨 일이 있어도 실추 되어서는 안 된다. 그럴 수도 없다. 영화는 다만 일방적이었던 국방부의 발표에 대해 묻고 있는 것이다. '왜'냐고. 그저 묻는 것에 대해 듣고 싶다는 것이다.

'소통'을 말하고자 했던 이 영화가 관객과 '소통' 할 기회를 박탈당할지도 모른다는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좀 더 세고, 편협했다면 억울하지 않을 텐데 말이다. 이 영화는 제목이 무색할 만큼 친절하게 질문하고, 설명하고, 그리고 묻는다.

[티브이데일리 김유민 기자 news@tvdaily.co.kr/ 사진=아우라픽처스]

Articles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