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그러운 목사님들

by 꼴통 posted Sep 07, 2013 Likes 0 Replies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징그러운 목사님들  
 
유치원 나이의 아이들이 엄살이 많은 것처럼 자칫하면 기독교인들은 ‘엄살이 심하다’는 느낌이다. 

즉 남들이 다 겪고 당하는 문제를 가지고 울고불고 난리를 피우는 경향이 있다.
세상 사람들은 무난히 겪어내는 문제들에 대해서 기독교인들은 민감하게 반응해서 팔딱거리고 덩달아 목회자는 거기에 장단을 맞추어 주어야 한다.
교인들의 비위에 맞추어야 하므로 예수의 뜻을 그대로 전하고 따라서 살기 보다는 교인들의 관혼상제는 기본이고 백일잔치, 돌잔치,
이사, 개업, 입원, 퇴원 등등 , 크고 작은 각종 행사에 쫓아 다니면서 복을 빌어 주기에 바쁘다.
목회자들의 머릿속에 이런 자잘한 일만 가득하니 자연히 자질구레한 기도만 늘고 역사,
민족, 환경, 정의, 평화, 기아문제 등등 굵직한 일에는 관심을 가질 수가 없다. 

하나님의 뜻을 따르느라고 힘이 든 것이 아니라 교인들이 혹시라도 삐질까 싶어서 비위를 맞추기에 급급하다.
이러다 보니 자기 속을 쉽게 내보이는 솔직담백함 보다는 어떤 상황에서도 속을 들어 내놓지 않는 능구렁이가 몇 마리 들어앉아 있어야 목회를 할 수 있다.
실제로 목회 현장은 사방이 지뢰밭이라 어디서 언제 문제가 터질지 몰라서 그저 조심하는 것이 상책이라서 전후좌우 위 아래로 눈치 살피기가 바쁘다. 

내가 알던 한 프랑스 신부는 한국에서 사목을 할 때 국회의원에 당선된 본당 교우가
“신부님께서 기도해주셔서 당선될 수 있었기에 감사드린다”고 인사를 건네자,
“그런 기도는 한 적이 없어 미안하다”고 했다는데 목사라면 그럴 수가 있었을까? 

한국 사회에서 기독교의 생존 원칙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의 원칙이고 다른 하나는 ‘너의 불행이 나의 행복’이다.
즉 교회들도 무한경쟁 사회 안에서 생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기독교가 받고 있는 비난의 많은 부분은 기독교만의 문제가 아니고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많은 부조리와 함께 뒤섞여 있다. 즉 아무리 ‘교회의 본질’을 외치고 ‘성경으로 돌아가자’고 외쳐도 부조리와 모순이
가득한 세계에서 기독교만 독야청정 할 수는 없는 것이다. 

2000년 기독교 역사에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특수현상인 이런 사실을 알면 아마도 예수도 놀랄 일이다.

영화할렐루야.jpg
*영화 <할렐루야>


이런 상황에서도 운좋게 어떻게든 목회에 성공해서 큰 교회를 맡고 는 목사들과 대화를 해보면 대부분이 목소리에 묘한 권위가 들어가 있다.
물론 어느 직종이던 한 가지 일을 오랜 동안 하고 그 속에서 나름 성공을 했다고 하면 관록과 권위가 붙게 마련이다.
그러나 목회에서도 그래야 하는 걸까? 아마 그럴 것이다. 더욱이 목회는 전적으로 사람을 다루는 직업 아닌가?
그러나 진짜로 사람을 움직이는 것은 '권위'가 아닌 '겸손'이다. 그래서 예수가 '머리가 아닌 꼬리'가 되라고 하지 않았던가? 

참으로 유치하게도 일반적으로 목사들은 자기가 주인공이 되지 않으면 견디지 못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항상 설교를 하거나 예배를 주도하던 습관 때문이다. 그래서 목사가 여려 명 모이면 행사 순서를 배정하는 것이 보통 신경이 쓰이는 것이 아니다.
목사들이 모이는 웬만한 조직에는 공동 회장이 있고 대표 회장이 있다. 참으로 유치찬란한 일이다. 

나름 수 십년 목회를 하고 은퇴를 몇 년 앞 둔 동료 목회자들과 이야기를 하다보면 목소리에 개기름이 흐르는 것이 느껴져서
나만 겸손하게 나가면 비굴한 것 같아서 본의 아니게 내 쪽에서도 목소리에 버터 칠을 하게 된다.
주변에서 대 교회 목회를 하고 사람들 가운데 '저런 정도의 인격으로 저런 정도의 목회를 하는 것이야 말로 정말로 기적이다'라고 느껴지는 이들을 종종 본다. 

목사들은 좋은 말을 준비하고 좋은 말을 많이 하느라고 좋은 행동할 기회를 가지지 못한 사람들이다.
수많은 목회자들이 자신이 선포하는 말씀으로부터 정작 자신의 영혼이 유리된,
자신이 증거하는 하나님 나라의 기쁨에 정작 자신은 참여하지 못하고 살고 있다. 건달들의 속어에 립서비스,
즉 말만 번지르르하게 한다는 뜻으로 ‘접시 돌린다’는 말이 있다.
목사들은 직업의 특성상 좋은 말만 해야 되기 때문에 그런 우를 범할 가능성이 많다. 

나는 첫 목회를 감리교에서 시작했고 감리교 감독을 지냈다나 하려고했다나 하는 김 모 목사, 강 모 목사와 젊은 시절 가까운 사이였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내가 믿는 예수는 그들이 믿는 예수와 점점 달라져서 그들과 내가 같이 갈 천국도 없겠지만
만나더라도 같은 방을 쓰기는 어색할 것 같다. 그러나 그것은 그들 탓이 아니라 전적으로
평범한 목회자로서의 삶을 살지 못하고 길거리 목사로서 살아온 내 탓이다.

목회가 먹고 살만한 직업이 되지 못하고 있는 오늘의 현실에서 목회로 먹고 살아야만 하는 목회자들은 힘겹다.
평생 동안 목회를 해온 목사가 은퇴 후 거처할 집, 먹고 살 생활비가 보장되는 것은 매우 드물다. 

내 배가 부르면 남이 배고픈 것을 잊어먹는 경향은 목회자 세계라고 해서 별로 다를 바가 없다.
배부른 목회자들은 자기 교회를 돌보기에 바빠서 실추하고 있는 한국 교회 이미지까지 걱정할 여유가 없다.
대형교회는 대기업이 골목 상권까지 잠식하듯 중소규모의 지역 교회까지 영향을 미친다.
작은 교회는 목회자가 아무리 열심히 해도 큰 교회가 되지 못한다.
왜냐하면 대형 교회가 작은 교회 잡아 먹고 크는 것, 이미 오래된 현실이다. 

요즘 한국에서는 경제민주화가 억지로, 본의 아니게, 마지 못해, 할 수 없이,
견디다 못해, 울며 겨자 먹기로 화두로 떠오르면서 ‘갑을 관계’가 잇슈가 되고 있다.
애초에 ‘乙(을)’에 대하여 별관심이 없을 새누리당이야 그렇다치지만 심지어 민주당이 ‘乙(을)을 위한 정치’를 내세우는 형편이다.
甲(갑)乙(을) 관계라는 것이 사람 죽이는 경제적으로는 불편한 관계이지만 한 인간이 인격적으로 성장하는 데는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인간은 을의 입장에 서보아야 성숙한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입으로는 을을 말하면서 실제로는 철저히 갑의 위치에 서는 것이 대교회 목회자들이다.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