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767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박노자의 한국, 안과 밖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대 교수·한국학
 

우리 사회에 한 가지 아쉬운 특징이 있다.

우리는 어떤 ‘사건’이 벌어졌을 때에 다 같이 의분을 매우 잘한다.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사건이 밝혀준 부조리를 바꾸어야 한다고,

거의 모두 다 같이 목소리를 낸다.

그러나 흥분이 가라앉는 대로 사건은 잊히고 새로운 공분 대상을 찾는다.

그러고는 언론매체의 소질상 사건화될 수 없는 그 무수한 사회적 폭력들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개인적 책임을 지려 하지 않는다.

 

우리는 ‘개인’이라기보다는 ‘전사’들이다.

이북 주민들에게 ‘수령의 전사’ 되는 것이 강요된다면,

우리에게는 ‘생존 전사’ 되는 것이 강요된다.

부적응자들을 철저하게 걸러내는 사회에 어떻게든 제대로 편입하기 위해서 매일매일 처절한 싸움을 벌여야 한다.

 

한 가지 사례를 들겠다.

2년 전에 영화감독 최고은은 ‘아사’라고 할 수 있는 끔찍한 죽음을 당했다.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갑상선기능항진증과 췌장염을 앓던 그가 수일째 굶은 상태에서 제대로 치료를 받을 돈도 힘도 없어 사망했다.

 

실은 “선진국이 됐다”는 대한민국에서는 돈이 없고 친척이 없는 사람들이 종종 아사한다.

그러나 학력이나 내세울 만한 경력이 없는 쪽방의 독거노인의 아사는 고작해야 지방신문에서 단신으로 처리될 일이지만,

이미 영화를 만들어본 젊은 고학력자의 죽음은 ‘신분’에 미친 사회에서 그 ‘격’을 달리했다. 매체들이 일제히 보도했고, 수많은 사람들이 분노했다.

때마침 사회적 타살이라고 할 그 죽음이 영화계의 가난한 다수가 어떻게 사는지를 보여주었다고,

 

영화인 노조가 성명서를 내기도 했다. 알고 보니

제작사라는 이름의 ‘갑’들이 휘어잡고 있는 영화계에서는 영화 스태프의 월평균 소득이 불과 52만원(2009년 현재)이었다.

 

 “한류 영화들이 아시아를 점령한다”

 

고 보수주의자들이 쾌재를 부르지만, 1960년대 말에 구미시장을 공략한 한국제 의류를 저임금으로 겨우 먹고살았던

여공들이 만들었듯이, 한류 영화도 결국 상상을 초월하는 노동착취의 산물이라는 것은 우리가 외면하고 싶은 불편한 진실이다.

 

생존공포에 빠져 그저 경쟁에서 살아남아 일정한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는 것만을 꿈꾸는 사람은

사회적 부조리를 거부할 줄 아는 자율적 개인이 될 수 없다.

그러나 바로 이것이야말로 이 사회의 ‘주류’가 간절히 열망하는 사항이다.

 

좌우간, 몇 달 동안 최고은 감독의 죽음은 논쟁거리였고,

그 영향으로 예술인복지법이 만들어져 최근 시행됐다.

한데 그 법에서 4대 보험 혜택이 빠져 한계가 많은데다가 영화계 ‘을’들에 대한 ‘갑’의 횡포는 크게 바뀌지 않았다.

 

독거노인들이 계속해서 지병과 배고픔으로 죽어나가는데,

그중에서 아사자가 몇 명이 되는지 정확한 통계마저도 없다. 2011년에 무연고 사망자가 727명에 달했는데,

그중의 상당 부분은 오랫동안 제대로 먹지 못해 죽음에 이른 것이 아니었을까 싶다.

그러나 경쟁에 중독된 사회는 경쟁능력이 없는 ‘주변인’에 대해서는 원초적으로 무관심하고,

한때 세인들의 눈길을 끈 최고은 사건은 이제 기억에서 사라져간다.

그리고 전혀 바뀌지 않은 현실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책임을 지려 하지 않는 것이다.

 

최고은은 비록 배고픔으로 죽었지만,

한국 사회의 신분논리상 ‘지식인’으로 분류됐다.

 ‘지식인’의 죽음은 그나마 잠깐이라도 뉴스거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사회의 공론장을 ‘관리’하는 고학력자들은 그래도 ‘동류’의 생사에 무관심할 수만은 없다.

 

하지만 ‘공돌이, 공순이’의 죽음은 요즘 아예 ‘뉴스’로 다루어지지도 않는다.

 43년 전에 진짜 지식인 함석헌이나 안병무에게는 전태일의 죽음은 그들의 지적인 인생을 바꿀 만한 일대 ‘사건’이었다.

그 누구도 ‘정상적’이라고 볼 수 없는 병영형 독재국가에서 살아야 했던 인텔리들에게 아무리 머리가 좋아도

집안 형편상 죽어도 인텔리가 될 수 없는 사람들에 대한 부채의식이라도 있었다.

오늘날의 대한민국은 신자유주의적 세계로서는 지극히 ‘정상적인’ 사회라서 그런지, 이제는 그런 부채의식마저도 사라져버린 듯한 느낌이다.

 

삼성 노동자 중에서는 이미 백혈병으로 죽은 사람이 56명에 이르고,

적어도 1명(14년 동안 방독마스크나 보호구 없이 위험물질을 다루었다가

 2011년에 사망한 김진기씨)의 경우에는 산재사망이라는 공식 판정까지도 나와 있지만,

이는 대다수 언론에서 ‘뉴스’도 되지 못하고 ‘주류’ 사회에서 거의 거론되지 않는다.

 

다행히도 최근 서울대 학생들이 “기업 살인”의 직접적인 책임이 있으리라고 판단되는

황창규 전 삼성전자 사장의 초빙교수 임용에 반대해 ‘침묵의 카르텔’에 균열을 일으켰다.

그러나 과연 지금도 버젓이 자행되고 잘 사건화되지 않는 기업의 탐욕에 의한 살인을 방지하기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삼성전자의 제품들이 얼마나 많은 ‘을’들의 고통·질병·사망을 대가로 해서 만들어지는지를 뻔히 알면서,

우리가 수십명의 노동자들을 죽인 이 기업에 대한 불매운동이라도 제대로 해봤는가?

계속 죽어나가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우리가 개인 책임을 과연 느낄 수 있는가?

 

일본의 패전 이후에 나중에 자유주의자들 사이에서 ‘사상의 왕’으로 통하게 된 비평가 마루야마 마사오는

 전시 천황제 파시즘 시기의 일본을 “무책임의 체계”라고 규정했다.

모든 사람이 다 대가부장인 천황에게 충성만 해야 하는, 주체성이 거의 결여된,

개인이 아닌 ‘구성원’인 만큼, 아무리 끔찍한 악행을 저질러도 주체적이지 못한 ‘시스템의 나사’들은

이 악행을 ‘개인으로서의 나’의 책임이라고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마루야마의 서구 중심주의적인, 자유주의적인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분석이 전전 일본의 중요한 측면을 폭로했음에 틀림없다.

 ‘가족국가’ 틀 안에서는 자율적 개인이 불가능한 이상, 책임 있는 개인도 당연히 없다.

한데 ‘가족국가’와 이미 사이 멀어진 신자유주의 시대의 대한민국이라고 해서 과연 얼마나 다른가 싶다.

이유는 다르지만, 우리에게도 자율적 개인도, 책임의식이 있는 개인도 거의 없는 것 같다.

 

우리는 ‘개인’이라기보다는 ‘전사’들이다. 이북 주민들에게 ‘수령의 전사’ 되는 것이 강요된다면,

우리에게는 ‘생존 전사’ 되는 것이 사회적으로 강요된다.

살아남기 위해서, 부적응자들을 철저하게 걸러내는 사회에 어떻게든 제대로 편입하기 위해서 매일매일 처절한 싸움을 벌여야 한다.

이 싸움에서는 전우라고는 없다.

 

혹시 메가스터디라는 학원 재벌의 이 광고 문구를 기억하는가:

“새 학기가 시작되었으니 넌 우정이라는 그럴듯한 명분으로 친구들과 어울리는 시간이 많아질 거야.

그럴 때마다 네가 계획한 공부는 하루하루 뒤로 밀리겠지.

근데 어쩌지? 수능 날짜는 뒤로 밀리지 않아. 벌써부터 흔들리지 마.

친구는 너의 공부를 대신해주지 않아.”

실은 이 단순해 보이는 텍스트는 박정희 시절의 “국민 총동원”, “군대에 갔다 와야 남자가 된다”,

 “하면 된다”, “잘살아보세”만큼이나 오늘날 대한민국의 ‘국시’를 그대로 잘 표현한다.

 

사회의 규율에 자신을 완벽하게 맞추어서 자신의 몸값을 무조건 높여야만 하는 우리의 ‘생존 전사’들에게는

‘우정’ 같은 개념은 허용되면 안 된다. 대타적인 ‘정’이 통하지 않는 상황에서 ‘생존 전사’의 정신세계를 다스리는 것은 낙오의 공포다.

혹시나 누군가가 성공하고 내가 밀리면 어쩌나 하는 공포감이다.

 

사회가 유발한 생존 공포에 빠진 이들에게는 어떤 대타적인 책임을 느낄 만한 여지가 전시의 일본 군인만큼이나 없다.

오늘은 이용가치 높은 그 누군가에게 아부 못하고, 내일 공부를 망치고 모레 스펙 쌓을 일을 못하게 되면 ‘나’부터 망하는데,

백혈병에 걸려 죽는 삼성 노동자나 독거노인, 제작사들이 함부로 부리는 영화판 스태프들을 생각할 여유라도 있겠는가?

실은 생존 공포라는 부자연스러운 상태에 빠지게 된 사람들에게 “사회적 책임을 져라”고 요구한다는 것 자체는 어쩌면 지나치게 가혹할는지도 모른다.

 

생존공포증은 엄연히 ‘병리적 상황’이기 때문이다. 사회적으로 유발된 병리적 상황이다.

생존공포에 빠져 그저 경쟁에서 살아남아 일정한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는 것만을 꿈꾸는 사람은 사회적 부조리를 거부할 줄 아는

자율적 개인이 될 수 없다.

 

그러나 바로 이것이야말로 이 사회의 ‘주류’가 간절히 열망하는 사항이다.

자율적 개인이라면 약간이라도 이윤율을 높이기 위해서 위험물질을 다루는 반도체 노동자들에게

보호구조차 제대로 지급해주지 않는 자본시스템을 받아들일 수 없을 터인데 말이다.

 

우리 사회는 공통의 책임의식을 공유하는 자율적인 개인들 사이의 연대만이 살릴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연대까지의 길은 아직 멀고도 멀다.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대 교수·한국학
  • ?
    김원일 2013.09.09 16:39

    지난 유월엔가 퍼왔던 글입니다만

    충분히 다시 한 번 읽어볼 가치가 있는 글입니다.

    감사합니다.


    우리는 ‘개인’이라기보다는 ‘전사’들이다. 이북 주민들에게 ‘수령의 전사’ 되는 것이 강요된다면,

    우리에게는 ‘생존 전사’ 되는 것이 사회적으로 강요된다.

    살아남기 위해서, 부적응자들을 철저하게 걸러내는 사회에 어떻게든 제대로 편입하기 위해서 매일매일 처절한 싸움을 벌여야 한다.

    이 싸움에서는 전우라고는 없다.

  • ?
    꼴통 2013.09.09 16:51

    죄송합니다

    실수를 저질러 죄송합니다

    그러면 내려야 할는지요 ?

    글이 너무 마음에 와 닿아서 옮겨본 것입니다.

    앞으로는 잘 살피도록 주의하겠습니다

    죄송합니다.

  • ?
    김원일 2013.09.09 19:26

    아이고, 실수라니요!

    무슨 그런 말씀을!

    제가 좋아서 퍼왔던 글을 또 한 누리꾼이 다시 퍼오셨으니 저는 기쁠따름입니다.

    위 댓글에서 말씀드렸듯이 좋아서 한 말입니다.

    이런 "실수"는 얼마든지 하셔도, 아니, 하실수록 좋습니다! ^^

    절대로 내리지 마세요! :-)

  • ?
    꼴통 2013.09.09 21:56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 박 노자 교수님을 좋아하고

    또한 그 분의 글들을 애독하는 독자입니다.

    한국 \에 거하는 자보다 더 예리하게

    현실을 직시하시는 혜안에 놀라울 따름입니다.

    용납하심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 ?
    김원일 2013.09.10 04:51

    아닙니다, 제가 감사합니다.

    저도 박노자 교수의 글을 아주 좋아합니다.

    제가 가장 신뢰하는 논객 중 하나입니다.



  • ?
    김원일 2013.09.10 06:16

    그리고 이 누리가 "용납" 못 하는 글은 올리신 저런 종류의 글이 아닙니다.

    반복되어 퍼온 글도 아닙니다. 가끔 있는 일입니다. 모든 누리꾼이 모든 글을 읽거나 기억할 수는 없으니까요.
    또 저의 호불호가 "용납"의 기준도 물론 아닙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14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64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78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62
9435 기가막혀 탱크 2013.08.26 1803
9434 안타까운 탈북자 이야기 2 이흥모 2013.08.26 1988
9433 개와 고양이 -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6 아기자기 2013.08.26 1773
9432 檢 "원세훈, 댓글 민간요원 동원·관리 직접 지시" 1 모퉁이 돌 2013.08.27 1963
9431 여성 고무신에 좌우가 없는 이유는? file 아기자기 2013.08.27 2257
9430 金氷三 (김빙삼)옹 > 다시 보는 예언 ㅋㅋㅋㅋ 1 金氷三 2013.08.27 3004
9429 당신의 00가 궁금하다. 2 음모 2013.08.28 1866
9428 말할 수 있는 사회. 1 프로젝트 2013.08.28 1782
9427 매우 정치적이신 연합회장님? 6 김주영 2013.08.28 1889
9426 느낌 아니까 1 탱크 2013.08.28 2158
9425 전우가 남긴 한마디의 허성희와 최종오가 독도에서 만나다! 1 file 최종오 2013.08.28 1984
9424 머저리들2. 2 박휘소 2013.08.29 1937
9423 영기(靈機; Intelligent) 와 영기(靈氣; Reiki) 1 5 무실 2013.08.29 1892
9422 [평화의 연찬 제77회 : 2013년 8월 31일(토)] ‘우리의 책임과 의무’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08.29 1526
9421 김종찬 - '산다는 것은'(1995) 1 serendipity 2013.08.29 2296
9420 머저리들3. 3 박휘소 2013.08.29 1715
9419 슬픔이 기쁨에게 4 좋은말씀 2013.08.30 1961
9418 유명 목사님의 육성 사랑고백(Happy Losers) file 최종오 2013.08.31 1933
9417 내 앞에서 화살에 맞았다며 아파할 때... 4 file 아기자기 2013.09.01 1780
9416 Try to remember 2 바다 2013.09.01 1608
9415 베리칩 받으면 지옥 갈까요? 2 jhdh 2013.09.02 1864
9414 인본주의 2 김균 2013.09.03 1377
9413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 2 김균 2013.09.03 1505
9412 '이석기 사건' : 종북 사냥에 대해 가장 잘 쓴 글 중 하나 김원일 2013.09.03 1744
9411 사회원로들...“국정원, 이석기 수사 여론호도용으로 악용말것 1 모퉁이 돌 2013.09.03 1353
9410 사상의 자유와 매카시즘 안티매카시즘 2013.09.03 1431
9409 노벨문학상에 추천된 허성희의 독도찬가(허성희와 최종오 진행) file 최종오 2013.09.03 2207
9408 탄자니아 다종교가 평화로운 이유는 김다해 2013.09.04 1725
9407 입이 백개라도.... 여기에, 그 잘난 입을 가진 분들 다 어디 갔나???? 9 User ID 2013.09.04 1958
9406 유신의 추억 망령 2013.09.04 1529
9405 [꼭 퍼가주세요]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꼭 봐야 할 동영상 <백년 전쟁> 망령 2013.09.04 1646
9404 종교 너머 아하! 재림교회에 침투한 종교다원주의.... 2 file 마린 2013.09.04 1863
9403 아씨 노씨 그리고 아씨 단군왕검 4 김균 2013.09.04 1856
9402 선사와 크리스찬 4 김균 2013.09.04 1451
9401 관리자님께 - 실종신고 2 아기자기 2013.09.04 1853
9400 세계의 알몸을 보라 3 삼식유파 2013.09.05 1697
9399 나는 꼴통이다 꼴통 2013.09.05 1732
9398 메카시즘의 광기 ( 펌글 ) - 한겨레 신문에서 7 꼴통 2013.09.05 1480
9397 평화의 연찬 제78회 : 2013년 9월 7일(토)]‘우리 역사 속에 나타난 선비들의 책임과 의무’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09.05 1624
9396 생각하고 살아가자 꼴통 2013.09.05 1296
9395 국정원 직원, '박근혜 대선캠프' 홍보글 직접 퍼날랐다 1 거지 2013.09.06 1867
9394 용감한 아가씨 그리고 아름다운 참빛 2013.09.06 2128
9393 영국도 등돌린 美 시리아 공습, 한국은? 다락방 2013.09.06 1582
9392 천암함 상영중단. 3 암흑기 2013.09.06 1707
9391 천사1515의 외침. 외침 2013.09.06 1945
9390 머저리들4(잔치는 끝났다) 박휘소 2013.09.07 1853
9389 닭털~~ 닭털의부활 2013.09.07 1567
9388 '천안함' 측 "상영중단 통보, 민주주의 후퇴" 처남 2013.09.07 1720
9387 생각할수록 우습기만 하네. 또라이 편식쟁이들만의 게시판... 3 달수 2013.09.07 1847
9386 그리스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로 살아가는 것 꼴통 2013.09.07 1669
9385 징그러운 목사님들 꼴통 2013.09.07 1910
9384 쉼도 그 곳에서는 쉬어간다 . - 원철 스님 꼴통 2013.09.07 1935
9383 더듬이가 긴 곤충 되어 거짓말을 타전하다 4 아기자기 2013.09.07 1855
9382 천국에 가려면... 3 박희관 2013.09.08 1474
9381 "나는 왜 이석기 체포동의안에 찬성했나" 모퉁이 돌 2013.09.08 2115
9380 나는 오늘 국정원에 신고 당했다 2 안티매카시즘 2013.09.08 1482
9379 권순호목사 vs 안드레아 보첼리 file 최종오 2013.09.08 3327
9378 천국과 지옥 - 박희관님에게 화답 1 김주영 2013.09.09 1535
9377 Herem or Hesed southern cross 2013.09.09 1251
9376 한국 천주교회가 심상치 않다 4 꼴통 2013.09.09 2027
9375 독도는 한국 땅 한국은 일본 땅 꼴통 2013.09.09 1843
» 우리가 ‘개인’이 되지 못하는 이유 6 꼴통 2013.09.09 1767
9373 User ID 님에게 5 꼴통 2013.09.10 1378
9372 백조가 되어 날아간 학림다방 달팽이와 거위의 고해성사 2 아기자기 2013.09.10 1534
9371 예수가 목사 안반가워한다 1 김균 2013.09.10 1435
9370 생태계는 말한다 김균 2013.09.10 1602
9369 어디서 살면 제일 좋을까요? 2 김균 2013.09.11 1840
9368 어느 국문학 교수는 이렇게 말했다. 김원일 2013.09.11 1694
9367 때가 되면 보여 주리라. 7 박희관 2013.09.11 1459
9366 기가막혀 기가막혀 기가막혀 1 꼴통 2013.09.11 2385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