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도 심란해서 장자에게 물어본다

by fallbaram posted May 08, 2014 Likes 0 Replies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기성자가 왕을 위하여 싸움닭을 키웠다.

그런 지 열흘이 지나니 왕이 물었다.
"닭이 이제 싸울 수 있겠는가?"

기성자가 아뢰었다. "아직 안됩니다.
지금은 허세만 부리고 교만하며 제 힘만 믿습니다."

열흘이 지나 다시 묻자 여쭈었다. "아직 안됩니다.
다른 닭의 울음소리를 듣거나 모습을 보면
당장 덤벼들 것처럼 합니다."

열흘이 지나 재차 묻자 이렇게 고했다. "안됩니다.
다른 닭을 보면 노려보면서 성난 듯이 합니다."

열흘이 지나 재삼 묻자 기성자가
이렇게 아뢰었다. "거의 되었습니다.
싸울 닭이 소리를 질러대도 아무런 내색을 하지 않습니다.
멀리서 바라보면 나무로 만든 닭 같습니다.
싸움닭으로서의 덕이 갖추어졌습니다.
감히 상대하지 못하는 상대방 닭이 도망가 버립니다."


사는 동안에는 누구나 싸워야한다. 삶은 치열한 경쟁 그 자체다. 싫든 좋든 이건 선택의 영역이 아닌 다 그렇고 그런거다. 그와 동시에 항상 자신과 싸워야 한다. 나를 이기지 못하고서 싸움터에 나설수 없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경우가 그렇듯이 자신과의 싸움에서 지는 쪽은 거의가 진다. 습관이라 그런건지 아니면 본능에 따라 그러는 건지 사람은 자신에게는 관대하며 언제나 예외조항을 두고 시의적절하게 적용하기 때문이다. 자신을 이기지 못한, 준비되지 않은 싸움은 이기지 못한다. 물론 이길때도 있다. 상대 역시 준비가 안되어있고 나보다 더 한심한 자세로 그 싸움에 임했다면 그런 결과가 어부지리 처럼 찾아올 수 있다.
아마도 운이 좋았기에 지금까지 잘 살아왔을거라 짐작해본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지금까지 목숨부지하면서 나름대로 삼세끼 잘 챙겨먹고, 지붕아래서 두발 뻗고 누워있을 수 있었던 것은 아직까지 거친 싸움터에서 무참한 패배를 경험해 보지 않은탓이리라…

병법에서 최고의 전략책으로 거론하는 것은 예외없이 싸우지 않고 이기는 방법이라 가르친다. 싸우지 않고 이기는 방법이 하도 그럴듯하여 들여다 보면 그 내용은 유치원 학동 수준에서도 이해될만큼 아주 간단한 처세술이다. 상대를 제압할 만큼의 월등한 실력을 갖추고 있으면 된다는 것이다. 지피지기백전잭승도 같은 말이다.
장자의 달생편에 목계(木鷄)라는 우화가는 병법아닌 병법의 한수를 가르친다. 즉 싸울 필요없는 싸움을 거론한다.
옛날 주나라의 한 왕이 투계를 엄청 좋아했지. 그래서 투계명인을 불러 ‘짐의 닭을 최고의 싸움닭으로 조련시키라” 명하였어. 아마 왕이 조급증이 있었나봐. 불과 열흘이 자난후에 닭의 조련상태를 물으니 명인이 하는 말이 “허장성세로 일관하여 아직 준비가 덜되었나이다.”하고 대답했데. 열흘후에 다시 재촉하여 물으니 대답하기를 “닭이 혈기등등하여 자칫 스스로 다칠까 염려되옵니다” 라고 대답했데. …정확한 진단이야… 열흘후에 또다시 물으니, 비로소 명인이 허하여 말하기를 ‘드디어 왕의 물건이 나무닭이 된듯 하옵니다. 싸움닭들이 아무리 살기를 품고 시비를 걸어와도 동요하거나 눈빛조차 흐려지지 않습니다. 그 덕이 충만하여 모습만 보고도 다른 닭들이 등을 보이고 도망칩니다.” 라고 하였다.

기실인즉 왕의 가벼운 처세를 비판하던 의미도 포함되었으리라. 인생은 그 자체가 싸움이다. 태어나자 마자 첫 숨을 내몰아 쉬기위해 용틀임하여 페속에 고인 양숫물을 밷어내는 것도 싸움이고, 눈감기 직전 긴 숨을 내보내는 것도 자기와의 싸움이다. 어느 한순간도 치열함이 결여된적이 있었던가. 만약 있었다면 그것은 인간이기를 포기한 자세요 생활이었을 것이다.

누구나 검투사고 누구나 전장을 누비는 장수일진데 매 전투마다 싸우지 않고도 승리를 얻을 수 있다면 이것은 상수 중에 상수일 것이다. 그러나 말이야 쉽지 그게 어디 가능한 일이겠는가. 그야말로 생사를 넘나드는 고진감래의 고통이 수반되는 자기와의 처절한 싸움에서 확고한 교두보를 다지고 난 후에야 얻을 수 있는 결과물인 것을 나도 알고 그대들고 알고 있거늘 언제 한번 그리 되었다고 자신있게 말할수 있을까.

검도에서도 ‘목계’는 중요한 덕목의 한가지로 가르치고 있다.
중단자세에서 흔들리지 않고 마음을 진정시키기란 그야말로 쉽지않다. 특히 고단자와 맞대결을 펼치기 되면 들뜨거나, 주눅들거나, 조급해하거나, 겁먹거나 하는 따위의 허접함에서 벗어나기가 무척 어렵다. 한치의 오차 없이 정확한 시차에서 순간적인 움직임으로 한칼에 적을 베어내는 것, 이것이 죽도가 가르치는 자세의 하나인데, 마음이 흐트러지고, 서두르고, 허장성세로 품세를 요란하게 하다보면 영낙없이 고수의 칼끝에서 내손목아지는 떨어져 나가고 두개골은 파열될것이다.

모든것이 비쥬얼화된 새시대, 검도수련도 비쥴어이 대세다. 유투브에 널리 펴져나가는 검도고단자들의 대결과정, 비록 투구에 가려져있고 낮은 해상도로 그들 눈빛을 읽을수는 없으나 전체적인 흐름으로 몇가지를 가늠해 볼수 있다. 평정심을 얻은자들은 이미 기세로 제압하여 별반 움직임도 없이 적을 궁지로 몰아가는 것이 보인다.
품세가 크지않아도, 속임수를 쓰지 않고서도, 그리고 화려한 솜씨를 내보이지 않고서도 상대의 마음을 훔쳐내고 불안속으로 몰아넣고 허튼 칼질을 휘두르도록 유도한다.

검도에서 진정한 목계정신을 실천하는 것은 어쩌면 불가능할지도 모르겠다. 수련 자체가 죽도를 서로 교환하는 것을 훈련과제로 삼고있으니 그저 겨누고만 있을 수는 없는일이다. 그러나 수련과정에서 그 정신을 실천할 방도가 있다고 생각한다.

목계는 사소한 시비거리에 흔들리지 말라는 뜻같다.
목계는 미세한 움직임으로 상대를 요리하라는 뜻 같다.
목계는 반드시 이긴다는 불굴의 정신을 가지라는 뜻 같다.
목계는 인생사 모든 것이 헛되고도 헛되다는 것을 가르치는 것 같다.

불현듯 누구에게 시비걸 필요가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맘과 몸속에 허망함이 꽉 들어차야 비로소 사물과 현상이 제대로 보여지는 것같다. 그것이 좋은 뜻이든 나쁜 뜻이든 무언가로 채워져 있으면 사심의 욕정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어차피 내 칼을 허공을 휘드르는 것 뿐이다. 상대와 첨예한 대결을 펼치는 그 상황에서도 실상 내칼의 목표와 목적은 허공이고 무심을 가르는 것이다.

내나이 이제 오십삼, 가까스로 되돌아 보니, 십수년간의 수고와 노력들이 결국 하찮은 싸움질이었고 그것을 이루어내는 과정이었다. 무릇 한심하다 하면서도 뿌듯함이 느껴진다. 어림석음을 알아챈다는 것은 발전이고 발판이 된다. 뿌듯함은 그나마 개똥 철학이라도 살아있음을 확인하였기 때문이다. 영~ 죽어버린줄 알았던 지성이 깨어있음을 살포시 알아챘기 때문이다. 늘상 잃어버린 것이 너무도 많다고 후회하며 살고 있었는데 그것이 다 잡념의 소산이다. 소유욕의 빈정거림에 놀아난 것이다. 앞으로 잃어야 할것들이 것이 더 많고, 이제부터는 소중하다고 여겼던 것 부터 내다버려야 한다. (구글에서 퍼온 글)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