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문화] 팽목항

by 요한 posted Feb 05, 2015 Likes 0 Replies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삶과 문화] 팽목항

수정: 2015.02.05 20:46
등록: 2015.02.05 20:00

팽목항은 내 개인적으로 조금 사연이 있는 곳이다. 10여 년 전, (우리가 살다 보면 한번씩 그렇듯이) 인생의 어떤 기로에 서있었는데, 그래서 태어나서 처음으로 절에 박혀있어 보았는데, 남들은 무언가를 곧잘 깨닫고 나오곤 하던 그곳이 나에게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았다. 한 달 만에 절을 나서던 날 스님이 물었다. “이제 집으로 가시나요?” 나는 대답했다. “길로 갈려고 합니다.” 스님은 무슨 말인가 더 하려다가 합장을 했고 나도 같이 따라 했다.



그곳에서 나는 남쪽으로 걸었다. 바짜야나(카마수트라의 저자로 알려져 있다)가 했다던 “네가 걷고 있는 것은 길이 아니다. 그것은 너의 발자국이다”라는 말을 떠올리고 있었는지 지금은 기억이 가물거린다. 천년 사찰의 고요함보다는 길 자체가 차라리 편하군, 이런 생각은 했었다. 아무튼 나는 종일 걸었고 밤이 되면 녹슨 마름모꼴 쇠창살에 커다란 분홍 꽃무늬 커튼이 있는 여인숙에서 자고 날이 새면 또 걸었다. 충청도를 벗어나고 전라북도를 지나 결국 도착한 곳이 진도 팽목항이었다. 그곳을 목표로 했던 것도 아니었다. 가다 보니 그랬다.


바닷가란 총 들고 지키는 국경보다 더 시퍼런 경계다. 경계란 돌아서는 것을 강요하는 곳이다. 나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남도석성까지 갔다 왔다를 되풀이 하다가 결국 바다를 건너버리기로 마음먹었다. 그 뒤로도 몇 번 팽목항을 찾아갔고 그럴 때마다 나와 아무 상관없이 서있던 조도 주민들과 낚시꾼들을 바라보며 인생의 한 순간에 대해 생각하곤 했다.


지난 가을 다시 혼자 팽목항엘 찾아갔다. 그 동안 텅 비어있는, 오로지 내 개인의 장소였던 방파제에는 끝도 없는 노란 리본들이 혼령처럼 바람에 나부끼고 있었다.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 눈앞에 일어나버렸기에 홀로 한숨이나 짓던 곳이 많은 이들이 고통으로 몸부림치는 장소로 변해있었던 것이다. 나는 슬펐다. 작가는 슬픔이나 고독 같은 개념어를 쓰지 않는 버릇이 있지만, 그러거나 말거나 나는 슬프고 비통했다. 나에게 팽목항은 지난해 4월 16일 이전까지는 잊어버려도 상관없는 곳이었지만 이제는 영원히 잊을 수 없는 곳이 되어버렸다.


지난주 한국작가회의 사무실에 다녀왔다. 아동문학분과에서 주관하는 ‘천 개의 타일로 만드는 세월호, 기억의 벽’에 참가하기 위해서였다. 타일 하나하나에 그리고 싶은 그림과 원하는 문구를 적어 넣는 거였다. 많은 작가들이 참여했다. 소설가 윤정모 선생도 이제는 늙어버린 손가락을 꼼지락거리며 아이들을 그리워하는 문구를 또박또박 적어 넣으셨다. 거리가 멀어 찾아오지 못하는 회원들은 문자로 보내왔고 그것을 아동분과 회원분들이 종일 구부리고 앉아 적고 그렸다. 나는 “우리가 믿는 것은 미움의 힘”이라고 적었다. 희망은 생활계획표처럼 무기력한 것이기 때문에.


듣자니 4ㆍ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가 출범도 하기 전부터 파행을 겪고 있다고 한다. 세월호특별법에 합의한 여당이 딴죽을 걸고 정부는 기다렸다는 듯이 공무원들을 철수시키면서 특위 설립준비단이 ‘개점휴업’ 상태에 빠졌다는 것. 사무처 운영과 진상조사에 필요한 예산으로 산정된 241억원 규모의 예비비 사용을 두고 김재원 새누리당 의원은 “세금 도둑” 발언도 했다.


단원고 학생, 학부모들이 일반 시민들과 세월호 사고의 조속한 진상규명과 인양을 촉구하기 위해 20일간 도보를 하고 있는 중이다. 2월 14일에 팽목항에 도착할 예정이고 그 날 기억의 벽도 세워진다. 유가족 중 한 분은 이렇게 말했다. “우리 세월호 유가족도 대한민국 국민이다. 국민이 차디찬 바닷속에 수장되어서 기다리고 있는데 당연히 인양을 해서 가족들 품에 보내드려야 하지 않나. 국가는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책임질 의무가 있다. 그런데 그 책임과 의무를 안 한다고 하면 국가는 필요가 없지 않겠나?”


이 발언에 대한 정부의 대답이 순간 환청처럼 들린다. ‘니들 아니어도 국민 많아.’ 대통령의 눈물과 그 많던 반성과 다짐들은 어디로 갔을까. ‘첫끝발 개끝발’이 나는 뒷골목 화투판에서나 나오는 소리인줄 알았다.

한창훈 소설가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