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21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5.18 비밀문서 폭로' 미국인 "수치스럽다"
기사 관련 사진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다룬 최초의 기록물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넘어 넘어') 영문판 저자인 팀 셔록(Tim shorrock)이 26일 국회 정론관에서 열린 '넘어 넘어' 영문판 재출판을 위한 국회의원 공동성명 발표 기자회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팀 셔록은 5·18민주화운동 당시 미국 행정부 고위 관리들과 전두환 신군부 사이에 오간 비밀 전문(이른바 '체로키 파일')을 공개해, 5·18 진상을 규명하고 당시 미국의 5·18민주화운동 개입 사실을 밝혀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우리(미국) 정부의 잘못을 (한국 언론 앞에서) 얘기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기자회견을 하면서 정말 부끄러웠다."

26일 오전 국회 정론관 앞, 기자회견을 막 마치고 나온 미국 탐사보도 전문 언론인 팀 샤록(Tim Shorrock)의 두 눈가가 촉촉이 젖어 있었다. 실제 그는 "기자회견 내내 거의 울 뻔했다"고 말했다. 

앞서 야당 국회의원 8명은 이날 5.18 광주 민주화운동을 다룬 최초의 기록물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아래 <넘어 넘어>)의 영문판 재출간을 촉구하기 위한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미국 정부, 전두환의 7공수여단 광주시민 폭행 결정 알면서도 지지"

지난 1999년 미국 UCLA대학에서 아시아태평양 기록물 시리즈로 출판한 <넘어 넘어>의 영문판 <광주일지><Kwangju Diary : Beyond Death, Beyond the Darkness of the Age>는 UCLA, UC샌디에고, 워싱턴주립대, 시카고대, 보스턴대 등 10여 개의 미국 대학에서 한국학 관련 교재(coursework)로 쓰였다. 

그러나 UCLA 아시아연구소 출판담당자가 은퇴하고, 아시아태평양 기록물 시리즈에 대한 UCLA의 재정 지원이 끊기면서, 지난 2005년 영문판이 절판됐다.

<넘어 넘어>의 유일한 영어 번역서인 <광주일지>에는 <한국전쟁의 기원>을 쓴 한국 현대사 연구의 권위자 브루스 커밍스 시카고대학 명예교수의 서문과 <저널 오브 커머스> 기자였던 팀 샤록의 기고문 '워싱턴의 시각'(The View from Washington)이 추가됐다.

팀 샤록의 기고문에는 1996년 미국 정보공개법(FOIA)에 의해 입수한 광주항쟁 관련 미국 국무부의 비밀 해제 문건 내용이 담겨 있다. 샤록은 5·18민주화운동 당시 카터 대통령의 한국 담당 비밀대책팀과 전두환 신군부 사이에 오간 비밀 전문(이른바 '체로키 파일(Cherokee file)')을 공개해, 미국의 5·18민주화운동 개입 전략을 최초로 알렸다.

커밍스 교수는 <광주일지> 서문에서 샤록이 폭로한 '체로키 파일'을 언급한 뒤, "미국은 최고위 정책 결정 과정에서 명백히 전두환과 그 일당을 지지하기로 했다"며 "광주에서 살해되거나 고문당한 젊은이들 수백 명의 피를 그들 손에 묻혔다는 것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사 관련 사진
 정의당 박원석 의원이 26일 국회 정론관에서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다룬 최초의 기록물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넘어 넘어') 영문판 재출판을 위한 국회의원 공동성명을 발표한 뒤 '넘어 넘어' 영문판 저자인 팀 셔록(Tim shorrock)에게 공동성명 영문본을 전달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이날 야당 국회의원들의 기자회견에 참석한 팀 샤록 역시 5.18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미국 정부의 역할을 설명하면서 분노를 감추지 못했다.

샤록은 "1979~1980년에 (한국에서 벌어진 일련의 사건에 대한) 미국 정부의 역할과 진실을 밝혀야 한다는 의무감을 미국 시민으로서 느꼈다"며 "제가 15년간 입수했던 정보에 따르면 1980년 5.17 계엄령 발령과 미국과 한국의 공동군사명령 체계 아래에 있었던 한국 군대를 동원한 결정에 미국 정부가 깊이 관련돼 있다"고 말했다.


샤록은 1980년 5월 22일(미국 시간) 백악관에서 있었던 회의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5월 21일 광주시민들은 계엄령으로부터 도시를 해방시켰다"라며 "그러나 미국 정부는 전두환이 7공수여단을 동원해 광주시민들에게 굉장한 폭력을 가했음을 알고 있었음에도 이러한 결정을 지지해 주었다"고 밝혔다.

그는 "당시 미국 정부는 한국 군대가 미국의 국가 안보 이익에 맞도록 유지할 것을 결정했다"며 "저는 미국 시민으로서 미국 정부가 한국의 민주주의 편을 든 것이 아니라 군사정부의 편을 든 것에 대해 굉장한 수치심을 느낀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그래서 제가 기고했던 글이 포함된 <넘어 넘어>가 재출판될 것이라는 소식에 굉장히 기뻤다"며 "(광주항쟁의 진실은) 한국에 계속 더 알려질 필요가 있고, 동시에 미국에도 잘 알려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과 미국의 아주 오래된 관계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 역사에서 미국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잘 알아야 한다"는 점도 부연했다.

샤록은 이날 기자회견에 권은희 새정치민주연합(아래 새정치연합) 의원이 참석한 것에도 큰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지난 대선 당시) 내부고발자 역할을 한 분과 함께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 영광스럽게 생각한다"며 "왜냐면 미국에서는 내부의 안 좋은 사실을 고발하는 내부고발자가 아주 극소수밖에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가 하는 기밀스러운 행동이 미국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널리 알리는 일은 더욱 더 위험스러운 일이 되어 가고 있다. 현재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어느 역대 대통령보다 내부고발자를 더 많이 검거한 대통령이다. 미국의 많은 기자들은 이런 것이 미국의 민주주의를 기본적으로 침해하는 행위라고 생각하고 있다."

기사 관련 사진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다룬 최초의 기록물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넘어 넘어') 영문판 저자인 팀 셔록(Tim shorrock)이 26일 국회 정론관에서 열린 '넘어 넘어' 영문판 재출판을 위한 국회의원 공동성명 발표 기자회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샤록은 끝으로 "<넘어 넘어> 재출간에 같이 동참할 수 있는 것에 대해 매우 감사하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재출간 프로젝트에 적극적인 지원을 하겠다"고 다짐했다. 
 
 
 


"<광주일지> 절판 부끄러운 일... 광주시 등 공공기관 나서야"

<광주일지> 재출판을 위한 국회의원들의 공동성명은 박원석 정의당 의원의 제안으로 이뤄졌다. 박 의원 측은 최근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광주일지> 저작권자 설갑수씨를 만나 재출판에 대한 협조를 요청한 뒤, 광주광역시를 지역구로 두고 있는 국회의원들에게 동참을 호소했다. 이날 공동성명에 참여한 의원은 박 의원을 비롯해 강기정, 권은희, 김동철, 박주선, 박혜자, 장병완 등 새정치민주연합 의원과 천정배 무소속 의원 등 8명이다.

이들은 공동성명서에서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 민주화, 인권운동사에 남는 역사적 '사건'인 5.18 민주화운동의 가장 중요한 기록물 중 하나인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의 유일한 공식 영문판인 'Kwangju Diary'(광주일지)가 절판되었다는 것은 매우 부끄러운 일"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우리는 대한민국 정부와 광주광역시를 비롯한 공적 기관이 'Kwangju Diary'의 재출판을 위해 나서도록 할 것"이라며 "특히 우리는 빠른 시일 내에 'Kwangju Diary'가 재출판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련 기관이 하루속히 예산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각 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이 2016년도 예산안을 수립하고 있는 만큼 관련 기관이 사업계획을 수립하도록 한 뒤, 예산안 국회 심의 과정에서 영문판 재출판 관련 예산을 추가해 관철하겠다는 것이다.

박원석 의원은 "설갑수씨나 브루스 커밍스 교수 등은 재출간을 위해 아무 조건 없이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며 "반면 우리 정부나 광주광역시, 5.18 재단 등 유관 공공기관에서는 아직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고 있어 안타깝다. 광주광역시를 비롯한 공적 기관이 적극적으로 나서주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이날 야당 국회의원 8명이 발표한 공동성명 전문이다.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영문판 재출판을 위한 국회의원 공동성명

35년 전인 1980년 5월 대한민국 광주에서 전두환 신군부의 총칼에 민주주의를 염원하는 수 천 명의 시민들이 죽거나 다치는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비극적이고 부끄러운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오늘날 그 희생은 고통과 절망으로 이어진 것이 아니라, 한국의 민주주의가 꽃피우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자유와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한 한국인들의 자랑스러운 역사로 기록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5.18 민주화운동은 우리가 민주주의와 국민을 위한 정치를 펴는 데 큰 교훈을 주었습니다. 일찍이 김대중 전 대통령께서는 대통령 취임 뒤 처음으로 지난 1998년 8월 광주 망월동 묘역을 찾으셔서 "나는 광주 시민들과 5.18 영령들을 배신할 수 없었기 때문에 독재자들의 살해 협박에도 결코 굴할 수 없었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는 이처럼 중대한 의미를 지닌 5.18 민주화운동의 현장을 가장 생생하게 기록한 기록물입니다. 특히 이 책의 영문판인 <Kwangju Diary: Beyond Death, Beyond the Darkness of the Age> (이하 'Kwangju Diary')는 지난 1999년 미국에서 출판되어 전 세계에 5.18 민주화운동과 한국의 민주주의를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우리는 아무런 대가 없이 'Kwangju Diary'의 출판을 위해 수년 동안 애를 쓰신 설갑수(Kap Su Seol)님, 닉 매머타스(Nick Mamatas)님, 그리고 'Kwangju Diary'에 훌륭한 글을 써주신 브루스 커밍스(Bruce Cumings) 교수님과 팀 셔록(Tim Shorrock) 님에게 존경과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최근 우리는 'Kwangju Diary'가 10여 년 전 절판되었다는 안타까운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 민주화, 인권운동사에 남는 역사적 '사건'인 5.18 민주화운동의 가장 중요한 기록물 중 하나인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의 유일한 공식 영문판인 'Kwangju Diary'가 절판되었다는 것은 매우 부끄러운 일입니다.

이에 우리는 대한민국 정부와 광주광역시를 비롯한 공적 기관이 'Kwangju Diary'의 재출판을 위해 나서도록 할 것입니다. 특히 우리는 빠른 시일 내에 'Kwangju Diary'가 재출판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련 기관이 하루속히 예산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2015년 5월 26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02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52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6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51
405 지금 우리 모두 - 손에 손 잡고 - 노래 부르며 다시 시작할 때 입니다. 2 잠 수 2011.01.02 4128
404 맛없는 호박... 고바우 2011.04.07 4131
403 아름다운 종소리 (Ding Dong Merrily On High) 3 1.5세 2011.12.11 4136
402 [평화의 연찬 제47회 : 2013년 2월 2일(토)] ‘일본전산(日本電産)’의 성공 비결이 평화의 세상을 지향하는 우리에게 주는 기별, 이창섭 (서중한합회 삼육대학교 파견 목사, PMM 선교사로 일본에서 6년간 해외 목회하심)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01.28 4136
401 구원의 길... 6 고바우 2011.04.06 4139
400 로산님! 남대극교수 같은분 논리는 개수작 외에는 표현이 궁합니다. 7 酬酌 2013.03.03 4143
399 삐약 ~~ 햇 병아리 왔습니다. 10 푸른송 2012.05.02 4150
398 [박희관 님의 신청곡입니다]^^ 비 오는 날의 수채화 / 강인원, 권인하, 김현식 - "...음악이 흐르는 카페에 초콜렛색 물감으로, 빗방울 그려진 가로등불 아래 보라색 물감으로, 세상 사람 모두다 도화지 속에 그려진 풍경처럼 행복하면 좋겠네. 욕심 많은 사람들 얼굴 찌푸린 사람들..." 2 serendipity 2012.11.21 4151
397 민초에 빠지게 됐습니다 남우수 2012.04.02 4152
396 아무나 해석하는 골로새서 2장 16절 2 로산 2013.03.03 4154
395 잘못된 전제는 잘못된 결론을 내리게 한다...(조사심판3편) 4 student 2012.11.26 4158
394 관리자님~ 2 발랄 2012.04.02 4160
393 다윗과 골리앗 - 그 숨은 이야기 ! 16 김주영 2013.11.19 4160
392 두바이 - 인공섬의 7성급 호텔 민초2 2011.04.07 4163
391 어버이연합과 새누리당 말세님 넝마님이 같은 과가 아니기를 13 로산 2012.04.05 4163
390 김용민의 저서들 -2 『MB똥꾸 하이킥』 K김용민 2012.04.05 4163
389 4. 동성애는 정말 질병인가요?: 전환 치료의 허구성 2 김원일 2016.07.06 4163
388 미아리고개를 넘어가면서 5 로산 2012.04.18 4165
387 대한민국에서 곧 투표하실 분들께 3 김원일 2012.04.04 4171
386 [부고] 고 안순남 집사님 주안에서 잠드셨습니다 (김원일 교수님 이모님) 7 admin 2011.04.16 4173
385 김경준 기획입국 박근혜측이 요청…나꼼수 공개 1 위정자들 2012.04.01 4176
384 헬라어 (Greek)를 잘 아시는 분에게 . . . (조회 56-수정) . . (김균 장로님 참조 바람) 5 반달 2010.12.05 4179
383 4대종단 종교인 시국선언 동시 생중계 중입니다 종교의길 2012.04.05 4181
382 집창촌에 웬 박꽃 ? 19 김주영 2012.03.29 4183
381 빈배님, 성경편명가(?) 가락이 맞는지요? 2 file 데이브 2011.05.31 4188
380 조재경님 때문에 지금 난리났다 !!! 7 김 성 진 2010.12.20 4194
379 도올 김용옥 교수의 종교비판 / 도올 김용옥 - "모든 문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종교비판입니다... 시민단체들이 정치인들만 감시하는 것이 아니라, 더 썩은 이 사회의 정신적 뿌리를 좀 먹고 있는 무서운 종교의 해악에 대해서 우리는 날카로운 비판의 눈을 항상 유지해야 합니다." serendipity 2012.11.08 4194
378 천재지변과 종말 30 Windwalker 2011.03.13 4224
377 이정희 남편 심재환, "김현희 가짜다라는 판단 바꾸지 않는다" 1 잊었거나모르고지내는것 2012.03.31 4227
376 북두칠성(北斗七星)이 , 인간(人間)으로 오다 ◑...《"해월유록(海月遺錄)에서》 文 明 2013.03.05 4229
375 정말 말세는 말세로다 - doomsday 님 6 김주영 2012.04.02 4236
374 우리는 성경을 우상화 시키지 않은가 5 고고민 2010.12.17 4237
373 여기 몇 K 님들이 좋아 하는 사람 7 말세 2012.04.03 4251
372 [오늘의 천문사진] . . Saturn의 신기한 달/달들(Moon/Moons) . . 달이 몇개나 있지 ?? (지경야인 님께:) 8 반달 2012.05.01 4251
371 내가 김성섭(Justin) 연방하원의원 후보를 지지하는 이유 (수정) 2 김원일 2012.04.23 4253
370 고씨 영어 못한다 놀림에.....왠 고씨 그 고씨 아닌감? 다들 조심해요 6 로산 2012.04.03 4254
369 과부와 홀아비는 안식일에 뭐하나요. 1 바이블 2010.12.03 4264
368 목사 김대성 목사 엄덕현, 님들이여! 4 유재춘 2012.04.01 4264
367 오원춘과 끔찍한 중국 인육시장 1 사람 2012.06.15 4268
366 Blessings - Laura Story 3 19 2012.05.18 4269
365 [미국언론] 천안함사건은 오바마와 이명박 자작극 1 잊었거나모르고지내는것 2012.03.31 4276
364 빈배님... 7 snow 2011.05.11 4277
363 도올 김용옥 "박근혜 미소 속엔…" 독설 8 sunday seoul 2012.04.03 4295
362 빨갱이 교사(전교조) 식별법 28 빨갱이 2013.10.18 4295
361 말세의 말세 같은 ㄱ ㅐ 소리: 몇 K 님이 좋아하는 사람? 에라, 이 말세 같은 사람아. 15 김원일 2012.04.03 4302
360 김용민의 저서들 -1 『보수를 팝니다: 대한민국 보수 몰락 시나리오 』 K김용민 2012.04.05 4303
359 유시민의 부인 한경혜 그리고..............이정희 서프라이즈 2011.08.23 4314
358 이상구, 신계훈의 시대를 빨리 보내라-강석배-카스다에서 1 로산 2010.12.20 4316
357 어제 그제의 소용돌이 3 익명 2011.03.17 4319
356 씨애틀중앙교회 전인석 목사 부임 4 씨애틀중앙 2012.04.01 4325
355 한 번만 할 수도 있다는 롬니의 갬블 (로스 도하ㅌ 강철호 2012.09.06 4334
354 우리는 이미 구원을 누리고 삽니다! 11 고바우 2011.03.17 4335
353 주영 그리고 또 다른 "주영이" . . ㅂ ㅈ ㅎ 그리고 또 다른 " ㅂ ㅈ ㅎ " (대통령 & 목사님) 반달 2012.03.30 4335
352 지미 카터가 남침례교 교단을 떠나는 이유: 여자 문제 7 김원일 2012.04.04 4342
351 민초스다 운영방침의 필요성.. 12 김 성 진 2010.12.01 4351
350 Il Silenzio (밤 하늘의 트럼펫) - 연주/멜리사 베네마 2 잠 수 2010.12.08 4354
349 솔개 / 이태원 - "이태원 우리는 말 안하고 살 수가 없나 날으는 솔개처럼...수많은 관계와 관계속에 잃어버린 나의 얼굴아...수많은 농담과 진실속에 멀어져간 나의 솔개여 멀어져간 나의 솔개여" serendipity 2013.01.30 4358
348 [로산]이 규명하는 - 기독교의 본질은? - <부탁의 말씀> 5 반달 2012.04.02 4359
347 어떤 분들은 쉽게 가자고 합니다. 고바우생각 2010.11.13 4364
346 passerby님글 답, 하나님의 사자가 표절을 할 리가 있겠습니까? 1 KT 2011.06.28 4371
345 한국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행정목사들!! 엿 쳐 드세요!!! 나는 용감한 녀석들이다. 8 여자라서햄볶아요 2012.07.19 4372
344 대한민국의 부모와 자식 2 새마음 2011.04.03 4375
343 Reorganization of SDA on 10/20024 3 a15557 2014.01.20 4388
342 천국은 우주 안에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 천문학, 성경으로 증명함 ), 예언의신 구절 추가 5 로야ㄹ 2011.05.21 4397
341 자가당착, 어불성설, 이율배반, 자기모순, 자승자박 24 카스다 2012.03.20 4402
340 * * * 활짝피는 꽃의 아름다움을 민초 가족에게 드립니다 * * * <특별히 김성진님께> 4 반달 2012.03.30 4407
339 [기도와 독서와 토론으로 여는 평화에 관한 성찰 9번째] “너희가 평화에 관한 일을 알았더면”(김한영 장로) ♣ 김기수(2012). 『21세기 대한민국 대외전략 낭만적 평화란 없다』 : 대한민국 리스크 - 외교편. 살림출판사 평화교류협의회 2012.05.10 4409
338 Excellent Sermon by Roy Ganes(앤드류스 신학대학원 교수)!!! The Gospel According to the Sanctury!!! 1 정무흠 2011.07.25 4411
337 "국정원 직원 아이디 40개. 31만 건의 조회수…데이터 삭제 흔적 있다"......44시간 동안 문을 잠그고, 국정원 직원만 들여보내고 국정원 여직원은 그 오피스텔에서 뭘 하였을까? 2 꼴통들의행진 2012.12.16 4415
336 하루를 살아도 사는 맛이 나게 살며(11월 16일 출석부) 바다님 말씀 18 로산 2010.11.15 4418
Board Pagination Prev 1 ...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