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8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짐승의 표를 정확히 알려면

먼저 짐승이 누구인지를 알아야합니다.

중요한 것은 인간의 생각대로 판단하지말고

하나님의 말씀인 오직 성경에서 짐승의 정체를 찾아야 합니다.

자! 그럼 <짐승의 표>에서의 <짐승>의 정체를 밝혀봅시다.

 

13:1 내가 보니 바다에서 한 짐승이 나오는데  

뿔이 열이요 머리가 일곱이라

그 뿔에는 열 면류관이 있고 그 머리들에는 참람한 이름들이 있더라

 

 13:2 내가 본 짐승은 표범과 비슷하고

그 발은 의 발 같고

그 입은 사자의 입 같은데 용이 자기의 능력과 보좌와 큰 권세를 그에게 주었더라

 

계 13:3 그의 머리 하나가 상하여 죽게된 것 같더니

그 죽게 되었던 상처가 나으매

온 땅이 이상히 여겨 짐승을 따르고

 

 

 

<사자,곰,표범,열뿔>을 해석하는 방법이 무엇일까요?

여러분 마음대로 해석하지 말고 성경으로 성경을 해석해야 정확합니다.

성경어디에 <사자,곰,표범,열뿔>이 나옵니까?

성경연구를 좀 하신 분이면 바로 다음 성경절이 생각나실 겁니다.

 

단 7:4 첫째는 사자와 같은데  

단 7:5 다른 짐승 곧 둘째는 과 같은데

단 7:6 그 후에 내가 또 본즉 다른 짐승 곧 표범과 같은 것이 있는데...머리 넷이 있으며

단 7:7 ...그 다음에 본 넷째 짐승은 무섭고 놀라우며...또 열 뿔이 있으므로

 

위의 네 마리 짐승의 해석은 성경자체에 나와 있습니다.

여기서는 지면관계상 자세히 못하지만

다니엘 2장의 네개의 나라가 위의 네 짐승과 같습니다.

그 네 나라는 느부갓네살왕의 나라인 바벨론

그 이후에 순서대로 세계사에 등장하는 바사(=페르시아),헬라(=그리스),로마를 가리킵니다.

 

 

그러니까 <짐승의 표>에서의 <짐승>

다니엘 7장에 나오는 네 짐승을 짬뽕시켜 합해놓은 모양입니다.

다니엘 7장의 표범은 머리가 넷이므로

네 짐승을 합해놓으면 계시록 13장 1절처럼 머리가 일곱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짐승의 표>의 <짐승>

네 짐승을 합해놓은 것이므로

<바벨론,페르시아,그리스,로마>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계 13:3 에서처럼

머리 하나가 상하여 죽게된 것 같았다가

그 죽게 되었던 상처가 나아야하고

그후 온 땅이 이상히 여겨 짐승을 따라야 합니다.

 

 

이와 같은 특징에 맞는 세력이 무엇인가요?

바로 교황권(=천주교)입니다.

그 이유를 설명해 드릴께요.

 

1.천주교는 바벨론처럼 우상을 만듭니다...마리아상 등을 만듦

그래서 천주교의 십계명

하나님의 십계명 우상을 만들지 마라고 하는 둘째계명을 삭제했습니다.

 

2.천주교는 페르시아처럼 태양신예배일인 태양의 날(=일요일)에 예배합니다.

그래서 천주교의 십계명

하나님의 십계명제칠일안식일을 지키라는 네째계명주일을 지키라로 바꿨습니다.

 

3.천주교는 그리스철학을 받아들여 영혼불멸설을 믿습니다.

성경을 깊이 연구해보면

사람이 죽으면 몸으로부터 영혼이 빠져나와 바로 천국이나 지옥을 가는 것이 아닙니다.

사람몸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영혼은 없습니다.

성경에 쓰여있는 영혼의 의미는 뇌세포에서 일어나는 정신작용(생각,마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사람이 죽으면 빠져나오는 영혼이 없이 완전히 죽는 것입니다.

그리고 예수님재림때 의인의 부활이 있는 것입니다.

재림후 천년이 지난후 악인의 부활이 있고 악인은 형벌받은후 다시 죽어 소멸해 없어집니다.

 

4.천주교는 로마정치제도와 유사하게 교황,추기경,주교,신부 등의 통치제도를 만들었습니다.

 

5.천주교는 1798년 나폴레옹군대에 의해 교황이 사로잡혀

머리하나가 상하여 죽게된 것 같았다가

 

6.천주교는 1929년 뭇솔리니로부터 바티칸을 돌려받아 정치를 하는 국가로 독립하여

그 죽게 되었던 상처가 나았고

7.그후 온 땅이 이상히 여겨 짐승(=교황)을 따르는 상황입니다.

 

 

그러므로 <짐승의 표>에서의 짐승교황권을 가리킵니다.

그리고 짐승의 짐승의 권위를 나타내는 표를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짐승인 교황권의 권위를 나타내는 표짐승의 표입니다.

그럼 교황권의 권위를 나타내는 것이 무엇일까요?

일요일준수교황권의 권위의 표(=짐승의 표)입니다.

 

'회심자를 위한 카톨릭 교리 문답서'에서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다.

문: 어느 날이 안식일인가?
답: 토요일이 안식일이다.
문: 우리는 왜 토요일 대신 일요일을 지키는가?
답: 카톨릭 교회가 "라오디게아 종교회의"에서

그 존엄성을 토요일에서 일요일로 옮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개신교회들이 일요일을 지키는 것 

천주교회에 대한 그들의 충성을 보이는 표가 된다

(1868년 Catholic Press, 225). 

 

 

짐승의 표가 있다면

반대로 하나님의 표도 있습니다.

성경에 하나님의 표가 나와 있습니다.

 

출 31:13 너희는 나의 안식일을 지키라 이는 나와 너희 사이에 너희 대대의 표징이니

나는 너희를 거룩하게 하는 여호와인 줄 너희로 알게 함이라
출 31:17 이는 나와 이스라엘 자손 사이에 영원한 표징이며

나 여호와가 엿새 동안에 천지를 창조하고 제칠일에 쉬어 평안하였음이니라 하라

 

결론 ; 짐승의 표일요일준수이며

하나님의 표제칠일안식일준수입니다.

 

 

<계 13:16 모든 자 곧 작은 자나 큰 자나 부자나 빈궁한 자나 자유한 자나 종들로  

그 오른손에나 이마에 표를 받게 하고>

 

해석: 가까운 장래에

미국(=계시록 13장의 땅으로부터 올라온 새끼양같은 짐승)에서

일요일휴업을 강요하는 여론이 시작되어 나중에는 법으로 제정되고

세계로 확대될 것입니다.

 

짐승의 표를 이마(=뇌의 전두엽=판단,결정을 함)에 받는다는 의미는

일요일준수를 하기로 판단하고 결정한다는 의미이고

오른손(=노동)에 받는다는 의미는 일요일에 노동을 금한다는 의미입니다.

 

 

계 14:12 성도들의 인내가 여기 있나니

저희는 하나님의 계명(=제칠일안식일을 포함한 십계명)예수믿음을 지키는 자니라

 

일 2:4 저를 아노라 하고 그의 계명을 지키지 아니하는 자는

거짓말하는 자요 진리가 그 속에 있지 아니하되

 

요일 5:3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은 이것이니

우리가 그의 계명들(=십계명)을 지키는 것이라

그의 계명들은 무거운 것이 아니로다

 

예수님의 공로를 믿음으로 구원받지만,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것(약 2:26)입니다.



신약성경에 나오는 새 계명은
옛계명인 십계명과 같은 것임을
다음 성경구절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요일 2:7 사랑하는 자들아
내가 새 계명을 너희에게 쓰는 것이 아니라
너희가 처음부터 가진 옛 계명이니
이 옛 계명은 너희의 들은 바 말씀이거니와


현재 짐승의 표를 받은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가까운 장래에 일요일이 강요될 때
일요일을 높이고 제칠일안식일을 무시하게 되면
십계명에 불순종하는 것이 되고 짐승의 표를 받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02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52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6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51
55 몹시 부럽습니다, 고바우님.. 4 김 성 진 2010.11.15 3792
54 기술 관리자 님 2 관리자 2010.11.15 4686
53 자진 삭제해주신 분께 감사를 김원일 2010.11.15 4125
52 유재춘 2010.11.15 4547
51 하루를 살아도 사는 맛이 나게 살며(11월 16일 출석부) 바다님 말씀 18 로산 2010.11.15 4418
50 인사드립니다. 1 반고 2010.11.15 5149
49 카스다와 이 누리의 대결구도 3 김원일 2010.11.15 4837
48 너무 까불다가 5 로산 2010.11.15 6100
47 호스트와 반가운 분들께 1 나비 2010.11.15 5695
46 카스다에 대해서.. 4 바이블 2010.11.14 6132
45 오메 손가락이 부끄러붜라 12 바다 2010.11.14 5797
44 쥔장, 관리자, 그리고 누리꾼 2 김원일 2010.11.14 5713
43 의사와 뉴스타트와 하나님의 관계.. 고바우생각님에게.. (수정) 5 김 성 진 2010.11.14 5442
42 한국의 안식일교인수는 얼마일까? 발해를 꿈꾸며 2010.11.14 6537
41 한번 장로이면 영원한 장로인가? 5 발해를 꿈꾸며 2010.11.14 6515
40 실험정신 1 새소망 2010.11.14 6319
39 민초스다에 거는 기대 주변인 2010.11.14 9879
38 변화의 물줄기 3 노을 2010.11.14 6060
37 기술 관리자님께 3 김원일 2010.11.14 7171
36 오늘은 내가 반달로 떠도 무실 2010.11.14 6269
35 주변에서 맴돌기 2 자유인 2010.11.14 6508
34 출석도장은 이렇게 하는 겁니다 ^^ 바다 2010.11.14 6917
33 고기도 굽나요 1 붕어빵 2010.11.14 8100
32 카스다, 그리고 이제는 민초스다.. 4 김 성 진 2010.11.14 10978
31 이 누리가 양보할 수 없는 원칙 하나: 삭제에 관한 이야기 4 김원일 2010.11.14 9063
30 예언(예지)과 예정의 차이에 대한 질문!!! 4 고바우생각 2010.11.14 8106
29 자유토론의장이 되길 1 익명 2010.11.14 8524
28 벌써 새벽 한 시여서... 1 김원일 2010.11.13 15265
27 신뢰와 모험: 이 누리의 기본 철학 5 김원일 2010.11.13 14899
26 IP 주소에 관해 알리는 말씀 김원일 2010.11.13 14256
25 We Pray to Thee / The King's Heralds 1.5세 2010.11.13 13259
24 민초스다 2 익명 2010.11.13 41984
23 민초들을 위한 사이트 개설을 환영합니다.. 익명입니다 2010.11.13 13127
22 새 집 마련을 축하합니다. 코스모스 2010.11.13 11677
21 집들이 축하드리며 질문하나 드립니다. 5 파란하늘 2010.11.13 7152
20 날고파(날아 가고파) josh 2010.11.13 4945
19 아스다 혹은 유스다 !! 익명 2010.11.13 4814
18 반갑고 기쁘고 고맙습니다 snow 2010.11.13 4958
17 나도 한 마디 제안하면... 3 바다 2010.11.13 5415
16 흠~ 좋네요! 1 노을 2010.11.13 5664
15 실명제보다 더 무서운 것 3 arirang 2010.11.13 4994
14 울화통 치민다!!!!!!!!!!!!!! 8 울화통 치미는 자 2010.11.13 4513
13 어떤 분들은 쉽게 가자고 합니다. 고바우생각 2010.11.13 4364
12 @ 축하드립니다 ! ! . . 스다에 올리고 . . 가저왔습니다. 1 반달 2010.11.12 5226
11 실명제 arirang 2010.11.12 5471
10 뭉치면 살고 헤어지면 죽는다 유재춘 2010.11.12 5335
9 축하를 하면서.. 3 바이블 2010.11.12 5331
8 *~하늘에 영광 이누리에 축복있으라~* 2 유재춘 2010.11.12 6031
7 아름다운 설악산 단풍 3 1.5세 2010.11.12 5384
6 쥔장님, 민초스다라는 간판이라도 답시다.?^^ 2 김민철 2010.11.12 7796
5 축하합니다. 2 1.5세 2010.11.12 7470
4 감사합니다. 바오밥 2010.11.12 5277
3 짜자잔 5 김주영 2010.11.12 6111
2 자유로운 게시판이 되길 기원합니다 1 박훈(필명) 2010.11.12 5330
1 민초 스다 누리에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10 김원일 2010.11.12 32670
Board Pagination Prev 1 ...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