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왼쪽부터).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왼쪽부터).
탐사보도팀 취재 마쳤지만 보류돼
KBS “메르스 때문에 순연된 탓”
<한국방송>(KBS)이 탐사보도팀이 취재한 ‘이승만·박정희 정부 시절 친일행적자 훈장 수여’ 관련 내용을 담은 프로그램의 방송을 뚜렷한 이유 없이 몇달째 미루자, 취재·제작진이 성명서를 내며 반발하고 나섰다. 이인호 케이비에스 이사장을 비롯한 보수진영에 대한 케이비에스 경영진의 눈치보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8일 케이비에스 ‘제작진 및 탐사보도팀 일동(8명)’은 사내 게시판에 ‘무엇이 그리 두려운가’란 제목의 성명을 올려 “지난 4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 뒤 훈장을 받은 전체 70여만명의 훈포장 명단을 최초 입수해 분석한 끝에, 대한민국 정부가 친일행적자와 일제식민통치를 주도한 일본인들에게 훈장을 수여했다는 사실과 특히 이승만·박정희 정부 시절 친일파들에게 가장 많은 훈장을 수여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며 “하지만 6월·7월로 잡혀 있던 방송 일정이 계속 밀리더니 결국 방송 예정 목록에서 사라졌다”고 주장했다.

해당 보도는 애초 케이비에스1 티브이 시사보도 프로그램 <시사기획 창>에 <간첩과 훈장>, <친일과 훈장> 두 편으로 나누어 6월과 7월에 두차례 방영될 예정이었다. <간첩과 훈장>은 최근 조작으로 드러난 각종 공안사건 수사 관계자들이 훈장을 받은 사실을 밝힌 내용이다. <친일과 훈장>은 친일파에 대한 훈장 수여 사실을 다룬다.

기자들은 성명서에서 “문제가 제기된 것은 <친일과 훈장> 편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기자들은 ‘5월말 메르스 때문에 방송이 7월말로 밀렸을 때는 이해할 수 있었다’면서 “하지만 6월말 ‘이승만 정부 망명요청설’ 보도 이후 7월 초순부터 (회사 쪽) 분위기가 달라졌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케이비에스 관계자는 “성명서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 메르스 때문에 방송이 순연된 탓에, 원고가 지난주 수요일에 왔고 데스킹(기사 손질)을 보고 있는 단계”라고 해명했다.

이정국 기자 jglee@hani.co.kr                                             한겨레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