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채식주의자로 산다는 것①

by 초식이 posted Sep 25, 2015 Likes 0 Replies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국에서 채식주의자로 산다는 것①

 [REPORTAGE] 사흘간의 완전채식 체험기 ①

체험을 시작하기 전, 친환경 한식당 ‘카페 슬로비’에 사전답사를 갔다. 사진은 젓갈 안 들어간 김치와 가지오이냉국 등을 곁들인 새송이 더덕구이 정식. /한준호

완전채식을 처음 접한 건 작년 여름이었다. 혼자 스코틀랜드로 떠난 여행에서 독일인 친구 애스트리드(25·여)를 만났다. 그는 고기, 생선, 해물은 물론 달걀, 유제품 같은 동물성 음식도 전혀 먹지 않는 ‘비건(Vegan)’이었다. 하루는 바나나와 오렌지로 저녁식사를 때우고 있는 그가 걱정돼 견과류 봉지를 사서 내밀었다. 하지만 그는 뒷면의 성분 표시를 꼼꼼히 살피더니 미안한 표정으로 “먹을 수 없다”며 거절했다. ‘꿀 2% 함유’ 때문이었다. 꿀 역시 동물성 식품이라는 걸 그때 처음 깨달았다. 궁금한 마음에 “벌을 죽이는 것도 아니고 벌이 생산한 부산물()을 먹는 것뿐인데 왜 안 되냐”고 물었다. 그랬더니 “꿀을 얻기 위해 벌을 가둬놓고 착취하는 환경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우유·달걀을 먹지 않는 이유도 비슷했다. 그는 소와 닭이 꼭 도살당하지 않더라도 강제로 우유와 달걀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고통을 느낀다고 믿었다.

애스트리드가 사는 곳은 독일 바이에른주의 소도시 밤베르크다. 작은 시골마을임에도 불구하고 비건용 초콜릿, 콩 소시지, 두유크림 등 비건에게 필요한 모든 식재료를 근처 슈퍼마켓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음식점 메뉴에는 ‘비건 전용’ 표시가 돼 있는 게 일반적이다. 메뉴에 없어도 부탁하면 식물성재료(두부,콩고기등)로대체해서만들어주기도한다.

외식한번하려면장거리이동해야

그러나 한국은 사정이 다르다. 채식동호회 ‘한울벗’을 운영하고 있는 김승권 씨는 “(대전에 사는데) 주변에 완전채식을 먹을 수 있는 곳이 드물다. 보통 집에서 요리해 먹지만 가끔 외식이라도 할 때는 버스 타고 한 시간을 나간다”고 말했다. 채식 메뉴인 것처럼 적어놓고 막상 시켜보면 고기가 들어있는 경우도 많다. 캐나다에서 유학하다가 최근 한국을 방문한 대학생 정혜선 씨는 “한국은 야채만두라고 적혀 있어도 속에 돼지고기가 들어있는 식이다. 피자집에서는 점원에게 ‘고기가 들어 있지 않냐’고 물어보고 시켰는데도 속에 햄이 들어 있었다”고 말했다. 채식에 대한 인식이 낮다보니 채식주의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외국인 방문객에 대한 배려도 적다. 한 대학에서는 외국인 교환학생 환영회에서 점심식사로 햄이 든 샌드위치를 나눠줬다가 “왜 채식 메뉴를 준비하지 않았느냐”는 항의를 받아야 했다.

여러 사람의 이야기를 듣고 보니 한국에서 채식주의자로 산다는 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 조금 짐작이 갔다. 그러나 고기를 좋아하고 잘 먹는 기자로서는 그들의 고충이 마음에 와 닿지는 않았다. 매 끼니 완전채식을 한다는 게 어떤 느낌인지 궁금하기도 했다. 그래서 비건 생활을 며칠이나 견딜 수 있을지 직접 체험해보기로 했다. 사흘 아홉 끼니 동안 도전했다.
<②편에계속>



[출처] 본 기사는 프리미엄조선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Articles

4 5 6 7 8 9 10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