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54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회주의 베트남도 ‘검정’ 채택.. 한국은 왜?UN, 베트남에 ‘국정 폐지’ 권고.. 네티즌 “누가 종북인지 모르겠네” 비판
나혜윤 기자  |  balnews21@gmail.com
폰트키우기폰트줄이기프린트하기메일보내기신고하기
승인 2015.10.21  10:06:40
수정 2015.10.21  10:16:44
트위터페이스북네이버구글msn

사회주의 국가인 베트남이 역사 과목을 포함한 전체 교과서를 국정에서 ‘검정’으로 전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베트남마저 검정제를 채택함에 따라, 우리정부의 국정화가 세계적 추세를 거스르는 시도라는 비판이 예고된다.

20일 <한겨레>에 따르면, 베트남 공산당 기관지의 인터넷판인 <베트남 공산당 전자 신문>의 기사를 확인한 결과 베트남 정부는 지난 4월20일 ‘하나의 교육과정과 다양한 교과서’를 핵심으로 하는 전면적인 교육과정·교과서 개편안을 비준한 것으로 밝혀졌다.

<베트남 공산당 전자 신문>은 기사에서 “정부가 비준한 교과서 개편안으로 더이상 유일한 독점 교과서 체제가 존재하지 못하게 된다”며 “개편안에 따라 2018~2019 학년도에, 하나의 표준교육과정 틀 안에 많은 출판사들에 의해 다양한 교과서들이 나와 각급 학교에서 가르치게 된다”고 전했다.

  
▲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에서 교복을 입은 인헌 고등학교 학생들이 정부의 국정 교과서에 반대하는 집회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 = 뉴시스>

기사는 팜민학 전 베트남 교육개발부 장관의 말을 인용해 “이것은 선진 교육 추세에 완전히 부합하는 것”이라며 “학생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교과서와 교육 프로그램에 중점을 둔 개편안은 학생들의 적극성과 주도성, 창조성을 발휘하게 하여 자기 주도형 학습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겨레>에 따르면, 베트남은 지금까지 교육부 산하 교육과정연구소와 국가에서 경영하는 교육출판사가 교육부의 지휘와 감독을 받으며 교과서의 집필·발행·배급을 관장해왔다. 그러나 경제 부문 개혁·개방 이후 교과서 발행의 국가 독점에서 오는 폐해를 인정하고 국외 기관들과 협력해 교육개혁 방안을 마련해왔다.

특히 베트남은 그동안 한국을 ‘모범’으로 삼아 교육과정과 교과서 발행체제 개정 작업을 추진해온 것으로 알려졌다고 <한겨레>는 전했다.

방지원 신라대 역사교육과 교수는 <한겨레>에 “베트남은 검정 전환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몇년 전 사절단을 보내 한국의 교육개혁 성과와 교육제도를 살피기도 했다”며 “베트남은 공산당의 통제가 강한데도 아이들의 경쟁력과 창의력을 위해 교과서를 다양화해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됐다. 창의·융합 인재를 기르겠다는 박근혜 정부가 국정 교과서로 회귀하는 것은 세계적 추세에 너무도 역행하는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해당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베트남보다 못한 나라”(메*), “진짜 *팔리네요.”(더블**), “북한=대한민국”(캬*), “선진국이 몇 군데 안 되는군요”(이제******), “진정 누가 빨갱이인지 모르겠네요”(카라*), “이쯤 되면 새누리당은 기득권 정당일 뿐 아니라 파시즘 정당이라고도 봐야죠”(겨울**), “북한을 따라가는 거야말로 종북 아닌가”(태연*), “반기문은 한국에 권고 안하나”(셀라***), “전 세계는 거의 다 빨갱이들”(양***), “남북 단일화 교과서 가도 될 듯”(뽑*) 등의 비판 반응들을 보였다.

한편, UN 인권이사회는 지난 3월 베트남 정부에 ‘국정 교과서 폐지’를 권고한 보고서를 채택했다

  • ?
    시사인 2015.10.21 00:33

    베트남, 유엔 권고 받아들여 '국정교과서 폐지'

    한국만 '시대착오적 국정화'로 국제적 웃음거리 될 판

    2015-10-20 22:30:16
    국정교과서를 채택하고 있던 베트남이 역사 과목을 포함한 전체 교과서를 ‘검정’으로 전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국정교과서를 폐지하라는 유엔 권고를 받아들인 것으로, 이로써 아시아에서 국정교과서를 고수하는 나라는 북한, 방글라데시에 이어 국정화를 강행하려는 우리나라뿐일 전망이다.

    20일 <한겨레>에 따르면, 베트남 공산당 기관지의 인터넷판인 <베트남 공산당 전자 신문>의 기사를 확인한 결과, 베트남 정부는 지난 4월20일 ‘하나의 교육과정과 다양한 교과서’를 핵심으로 하는 전면적인 교육과정·교과서 개편안을 비준했다.

    <베트남 공산당 전자 신문>은 이날치 기사에서 “정부가 비준한 교과서 개편안으로 더이상 유일한 독점 교과서 체제가 존재하지 못하게 된다”며 “개편안에 따라 2018~2019 학년도에, 하나의 표준교육과정 틀 안에 많은 출판사들에 의해 다양한 교과서들이 나와 각급 학교에서 가르치게 된다”고 전했다. 

    기사는 팜민학 전 베트남 교육개발부 장관의 말을 인용해 “이것은 선진 교육 추세에 완전히 부합하는 것”이라면서 “학생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교과서와 교육 프로그램에 중점을 둔 개편안은 학생들의 적극성과 주도성, 창조성을 발휘하게 하여 자기 주도형 학습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베트남은 지금까지 교육부 산하 교육과정연구소와 국가에서 경영하는 교육출판사가 교육부의 지휘와 감독을 받으며 교과서의 집필·발행·배급을 관장해왔다. 그러나 경제 부문 개혁·개방 이후 교과서 발행의 국가 독점에서 오는 폐해를 인정하고 국외 기관들과 협력해 교육개혁 방안을 마련해왔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지난 3월 베트남 정부에 ‘국정 교과서 폐지’를 권고한 보고서를 채택하기도 했다.

    특히 베트남은 그동안 한국을 ‘모범’으로 삼아 교육과정과 교과서 발행체제 개정 작업을 추진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방지원 신라대 역사교육과 교수는 <한겨레>에 “베트남은 검정 전환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몇년 전 사절단을 보내 한국의 교육개혁 성과와 교육제도를 살피기도 했다”면서 “베트남은 공산당의 통제가 강한데도 아이들의 경쟁력과 창의력을 위해 교과서를 다양화해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됐다. 창의·융합 인재를 기르겠다는 박근혜 정부가 국정 교과서로 회귀하는 것은 세계적 추세에 너무도 역행하는 결정”이라고 말했다.
    김혜영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12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202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149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028
2365 [2015년 10월 17일(토)] ▲제1부 빅데이터로 보는 이번 주의 남북평화소식 (제20회) (3:00-3:30). 최창규 (사)평화교류협의회 상생공동대표 / ■제2부 38평화 (50회) (3:30-4:30): 3중 구조로서의 우리나라 교육의 사상적 흐름과 현 정부의 교육정책. 명지원 삼육대학교 교양학부 / ●제3부 평화의 연찬 (제189회) (4:30-6:00): 제1회 역사와 인생. 최창규 (사)평화교류협의회 상생공동대표 file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5.10.16 121
2364 광화문 소녀의 작은 행동 큰 울림. 13 울림 2015.10.16 233
2363 '싸구려 은혜'를 온몸으로 거부했던 자 1 믿음 2015.10.16 142
2362 외신기자들에게 망신당한 국정화 기자회견 하니 2015.10.16 124
2361 고등학교에 국정화 반대 대자보 등장 대자보 2015.10.16 251
2360 "개신교도 사이에 한국사 유언비어, 답답하다" 1 시사인 2015.10.16 243
2359 (만국 교회) 동 영 상 을 소개합니다 (미국, 후레시노) 만국 교회 2015.10.16 150
2358 김주영님 - "눈이 있으면 똑바로 뜨고 제대로 봐라" 4 가짜판 2015.10.17 327
2357 뉴스타파 - 김무성父 김용주, '일제군용기 헌납, 징병독려' 광고(2015.9.17) 1 일제 2015.10.17 164
2356 가을엽서 야생화 2015.10.17 111
2355 벌티모어 교회 방문과 김대성 목사님 예언 전도회 26 김운혁 2015.10.17 299
2354 국정 역사 교과서가 이래서 안 되는 거야. 5 김원일 2015.10.17 190
2353 선지자가 소장한 안수목사 신임서 김균 2015.10.17 230
2352 노벨 경제학상 앵거스 디턴 한국 번역본은 사기다. 1 한국 2015.10.18 137
2351 이 가을엔 야생화 2015.10.18 100
2350 갈대 야생화 2015.10.18 222
2349 시작한 지 5년. 11월 12일 이후의 이 누리-2: 이 누리 계속 운영할 것인가 말 것인가, 그것이 질문이로다. 14 김원일 2015.10.18 340
2348 첫 국정교과서 집필진 "문교부, 유신 미화 포함 지시" 민의 2015.10.18 140
2347 [진보도 보수도 “국정화 반대”] 명분·절차 ‘억지’…학계, 철저 외면…‘불신의 늪’ 빠진 국정화 경향 2015.10.18 191
2346 ㅁㅁㅁ 신내림을 받고, 시퍼런 작두를 타는 임지영!, 강호동의 미래까지 예측을 하는 . . ㅁㅁㅁ 1 lake 2015.10.18 255
2345 뉴스타파 - MB가 심판대에 오를 날은?(2015.3.12) 책임 2015.10.18 93
2344 여기서 떠들다가 머리 식히려 2 file 김균 2015.10.18 201
2343 종교인 과 역사 교과서 6 박성술. 2015.10.19 184
2342 오늘 벽소령에서 1 file 김균 2015.10.19 220
2341 정신무장님 참고하시라고요 8 김균 2015.10.19 297
2340 광화문 소녀(숙녀)의 작은 행동 큰 울림2. 3 울림 2015.10.19 150
2339 "운이 좋게도 가장 행복한 나라에서 태어났어요"라고 말하는 국민들 울림 2015.10.19 135
2338 고려대도.. 2 안암골호랑이 2015.10.19 169
2337 클났다 접장님 며느리감들 넘 많다 2 눈물 2015.10.19 291
2336 "토론 없고 실패 없는 한국 교육, 노벨상 어렵다" 1 교포 2015.10.19 143
2335 웃기는 짬뽕들..ㅎㅎ 3 중화루 2015.10.19 293
2334 유시민 기업강의 대의민주주의와 참여정치 진정성 2015.10.20 128
2333 이미 몰래몰래 미리 만들고있었다. 4 청개구리 2015.10.20 244
2332 고 최종동집사 부고 및 장례 일정 김 성범 2015.10.20 168
2331 전용근과 함께 걷는 음악산책 ' 잠 들기전 나를 한번 생각 하세요 ' 전용근 2015.10.20 159
2330 ‘북한식 대자보’ 시사인 2015.10.20 126
» 베트남도 ‘검정’ 채택.. 한국은 왜? 1 시사인 2015.10.20 154
2328 이젠 우리만 남았다 김균 2015.10.20 209
2327 <재림신문 8489호> 상처투성이 한국사회 1 젊음 2015.10.21 130
2326 100년 4 김균 2015.10.21 238
2325 국정교과서? 국정안교교과는? 4 김주영 2015.10.21 274
2324 2천년 묵은 마 28:1의 번역 오류 36 김운혁 2015.10.21 245
2323 부정선거 거짓대통령 2015.10.21 129
2322 서울대도 ‘국정교과서’ 집필거부 동참 1 국정화반대 2015.10.21 123
2321 일베 수준으로 글을 올리는 진보 누리꾼들께 2 김원일 2015.10.21 251
2320 사랑해라. 시간이 없다 1 개울물 2015.10.22 148
2319 서기 30년,31년 달력 비교. 14 김운혁 2015.10.22 155
2318 박정희의 정체 1 역사 2015.10.22 196
2317 광화문 교복소녀의 작은 행동 큰 울림 작은소녀 2015.10.22 130
2316 싸바톤 시리즈 1탄 (눅 4:16) 3 김운혁 2015.10.22 164
2315 최종오의 하(何)문하답 - 34 총회기념 방송 3(안식교인이 안식교회를 신랄하게 비판하다.) file 최종오 2015.10.22 201
2314 박정희의 정체 7 file 국사 2015.10.22 216
2313 [표창원] 2013.3.29(금) "한국사회에서 정의란 무엇인가" 서울강연 행복한사람 2015.10.22 106
2312 싸바톤 시리즈 2탄 (골 2:16) 8 김운혁 2015.10.22 245
2311 너무나 가소롭고 한심하다. 일갈 2015.10.22 176
2310 개신교 목회자 190명 "강동원 의원이 옳다" 1 총체적부정 2015.10.22 209
2309 P목사와 김운혁님의 토론 내용 10 재림촌 2015.10.22 385
2308 (1) 제삼일= 단수, 서수 (2) 삼일후 =복수, 기수의 비밀을 푸는 열쇠 2 김운혁 2015.10.23 183
2307 싸바톤 시리즈 3탄( 막 16:9) 1 김운혁 2015.10.23 116
2306 싸바톤 시리즈 4탄 ( 눅 18:12) 1 김운혁 2015.10.23 140
2305 싸바톤 시리즈 5탄( 연구 마무리 설명) 1 김운혁 2015.10.23 139
2304 “박정희, 오히려 외조부께 친일행적 고백” 현대사 2015.10.23 178
2303 복음서 2 전체국가 2015.10.23 116
2302 해외 한국사 교수와의 Interview 한국사 2015.10.23 126
2301 [2015년 10월 24일(토)] ▲제1부 빅데이터로 보는 이번 주의 남북평화소식 (제20회) (3:00-3:30). 최창규 (사)평화교류협의회 상생공동대표 ■제2부 38평화 (50회) (3:30-4:30): 3중 구조로서의 우리나라 교육의 사상적 흐름과 현 정부의 교육정책. 명지원 삼육대학교 교양학부 ●제3부 평화의 연찬 (제189회) (4:30-6:00): 역사와 인생(제1회). 최창규 (사)평화교류협의회 상생공동대표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5.10.23 146
2300 朴 "녹음 안돼요. 청와대를 뭘로 알고" 4 고약한 사극 2015.10.23 238
2299 싸바톤 시리즈 6탄(눅4:16,눅 13:16, 눅 14:5, 눅 24:1) 1 김운혁 2015.10.24 155
2298 [북콘서트] 민경국 교수 『자유민주주의란 무엇인가』 칸툰 2015.10.24 234
2297 싸바톤 시리즈 7탄 ( 막 15:42) 1 김운혁 2015.10.24 90
2296 싸바톤 시리즈 8탄 ( 싸바씬 복수 여격 총정리) 1 김운혁 2015.10.24 106
Board Pagination Prev 1 ...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