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청와대 검사의 검찰 복귀가 우려되는 까닭

사설

스크랩인쇄작게크게

“검사의 법무부 및 외부 기관 파견을 제한하고 법무부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변호사 또는 일반직 공무원이 근무하도록 하겠다.”

2012년 12월 박근혜 대통령은 이 같은 대선공약을 발표했다. 검사가 검찰과 권력기관을 오가는 관행을 없애 정치권력의 외압을 차단하겠다는 취지였다. 특히 검사가 청와대 근무 후 검찰에 복귀하는 관행을 없애겠다는 뜻으로 풀이됐다.

하지만 지난 13일자 검찰 인사는 대통령의 공약이 무색해질 정도였다. 권정훈 민정비서관이 법무부 인권국장, 이영상 행정관이 대검 범죄정보1담당관, 박태호 행정관이 대검공안부 검찰연구관에 임명되는 등 청와대에서 돌아온 검사들이 요직을 맡았다.

1997년 시행된 현행 검찰청법(44조의2)은 검사가 대통령비서실에 파견되거나 대통령비서실의 직위를 겸임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검사가 정치적 영향으로부터 독립해 공정하게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적어도 김대중 정부 때는 이 법 조항을 지키려고 노력했다. 민정수석과 사정·민정비서관 등 자리엔 검사 출신이 아니거나 검사직에서 퇴직한 지 상당 기간 지난 사람을 앉혔다. 그러나 노무현 정부 들어 현직 검사가 형식적으로 사직한 뒤 청와대에 근무하는 편법을 쓰기 시작했다. 9명의 검사들이 사직서를 내고 청와대에서 근무했는데 이들 중 4명은 노무현 정부 집권 중에 검찰에 복귀했다. 다른 4명은 이명박 정부 출범에 맞춰 검찰로 돌아갔다. 청와대 근무 후 검찰에 복귀하지 않은 사람은 신현수 사정비서관 한 명뿐이었다. 이명박 정부도 집권 기간 22명의 검사들이 사직서를 내고 청와대에서 근무했는데 모두 검찰로 돌아갔다. 박근혜 정부 역시 편법적인 검사의 청와대 파견을 유지하고 있다. 오히려 청와대를 갔다 오면 요직으로 영전하는 루트가 공식화되고 있다. 예전에는 청와대 근무를 마치면 요직보다는 고검·법무연수원 등 눈에 띄지 않는 자리로 가는 경우가 많았다.

청와대 파견 검사의 검찰 복귀를 비판하는 논거는 검찰의 독립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다. 검찰의 존재 이유는 권력형 비리, 특히 ‘살아있는 권력’을 견제하는 일이다. 엘리트 검사가 청와대와 검찰을 순환하는 관행을 그대로 둘 경우 정치권력의 입맛에 맞게 검찰이 순치(馴致)될 우려가 있다. 검찰의 권력 남용도 문제지만 검찰이 정치권력의 눈치를 살피느라 제 역할을 못하게 된다면 훨씬 심각한 일이다. 이런 점에서 대검 중수부를 폐지한 이후 권력형 비리에 대한 검찰수사가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원인을 곰곰이 살펴봐야 한다.

19대 국회에서 검사의 편법적인 청와대 근무를 제한하는 법안 3건이 발의돼 계류 중이다. 모두 야당 의원들이 발의한 법안들이다. 그런데 19대 국회 임기가 끝날 때까지 법안이 통과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지금 야당도 집권했을 때 편법 운영을 해놓고 여당 의원들의 지지를 끌어낸다는 게 어려울 수밖에 없다.

그러나 정부도 지키지 못할 법은 차라리 없애는 게 낫다. 정부 스스로 법치주의 원칙을 훼손한다는 불신만 낳을 뿐이다. 검찰은 정권이 아니라 국민의 편에 서야 한다. 독립성이 무너지면 검찰은 국민에 대한 봉사자가 아니라 ‘정권의 시녀’로 전락할 수 있다. 차기 국회는 법 취지를 제대로 살릴 수 있도록 이 법을 고치는 작업에 나서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02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52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6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51
15315 해외 韓人 학자들 "세월호 시행령, 위법적 내용" 노란리본 2015.05.10 244
15314 해와 달의 징조? 6 김운혁 2014.03.31 1205
15313 해와 달의 징조 2 김운혁 2014.07.21 755
15312 해야 하고 할 수 있는 일. 3 목요클럽 2013.11.27 1586
15311 해아래 새것이 없나니”(전1:9) 11 김균 2013.07.26 1308
15310 해수부 공무원이 세월호 유가족 고발 ‘사주’…‘배후’ 있나? 진실한근혜씨 2016.01.24 45
15309 해볼까? 해 보자! 3 2015.05.02 141
15308 해병대 면접과 교황권 12 아침햇살 2012.04.02 3960
15307 해방 신학에 대한 내 견해 2 로산 2010.11.27 2059
15306 해방 70년 특별기획 '친일과 망각' : 1부 친일 후손 1177 광복 2015.08.19 112
15305 해맑은 미소 아침이슬 2015.09.23 125
15304 해군함정, 세월호 사고 인지하기 전에 현장에 있었다? 4 민의 2015.10.03 150
15303 해결했습니다 2 로산 2011.10.25 1455
15302 해,달,별 창조.. 답답하네요. 김금복님의 말을 들으세요. 11 김금복 2013.01.24 2683
15301 해 넘어가고 어둠 덮히니 익영 2011.03.19 5048
15300 항상 미국이 문제아야 미국 꺼져라 미국미국미국미국미국미국미국미국 꼴도 보기 싫은 미국미국미국미국미국미국 확 망해라 민주주의를 가장한 강도 노략질 국가 미국 1 중요사항 2014.09.17 663
15299 항문성교와 건강 위험 1 의문 2016.07.05 136
15298 합회발 유언비어 2 - "부시와 오바마도 일요일 법을 제정해야 함을 안다" 1 단장 2015.02.21 442
15297 합법인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정보공개청구'를 해 사실 정보를 얻어 싸우세요. 2 file 정말 오래만 2016.03.08 88
15296 함세웅 신부 “조선일보 없애달라 하느님께 기도한다” 기도 2015.05.26 217
15295 함께할 줄 아는사람 2 잠수 2014.12.16 488
15294 함께 걸어요 우리 2015.08.31 85
15293 함께 얼싸안고 5 file 박성술. 2016.06.20 176
15292 할일이 없으니 1 팍팍한 이 2014.12.18 398
15291 할아비와 손녀의 대결 효녀 2016.01.07 99
15290 할아버지와 손자 1 할아버지 세대 2014.10.18 453
15289 할아버지 00가 자꾸 때려요 1 김균 2014.05.06 1111
15288 할수 있는게 이것 뿐이다 투표 2014.06.03 925
15287 할수 없는 이 의인 5 justbecause 2015.01.24 440
15286 할매여, 나는 그대의 된장찌개보다 예수의 소주 한 잔이 그립다. 9 김원일 2012.10.27 1603
15285 할매수녀의 귀환 4 여적 2016.02.02 134
15284 할매녀언아, 듣거라. 5 하나님 2014.03.25 1301
15283 할매 듣그라 (FB(fallbaram) 듣그라! 에 대한 대답) 2 fallbaram 2014.03.24 1162
15282 할매 니 머라카노. 니 노망 묵었나. 똥인지 된장인지도 모르는 이 할망구야. 9 김원일 2012.10.27 1773
15281 할만큼 했거든 !!! 9 김 성 진 2012.07.13 3894
15280 할례, 금기 음식, 안식일 3 해람 2012.10.24 1633
15279 할렐루야!!! 아리송 2012.12.19 1182
15278 할렐루야! 삼육외국어학원교회 선한사마리아 2011.10.15 2099
15277 할렐루야 핸드벨 앙상블 - 민스다 모든 가족에게 드립니다. . 1 잠 수 2010.12.23 2278
15276 할렐루야 1 나그네 2011.02.18 1707
15275 할레와 행위에 대해서 올립니다 2 하주민 2014.10.20 508
15274 할 일 없는 행정위원들이 한 일들 2 arirang 2010.11.25 1475
15273 할 일 드럽게도 없네..!!! 2 김 성 진 2011.06.02 1486
15272 할 수 있는 한 나쁜 짓은 다 하고 살자 8 김균 2013.06.26 1512
15271 한탄스러운 현실 17 김운혁 2014.07.19 787
15270 한치 앞도 못 내다 본 선지자 7 로산 2011.09.21 1924
15269 한철호장군의 천안함 설명 국민진실극 2011.03.28 6291
15268 한지붕 세가족 (퍼옴 신완식의 목양노트) 4 새소망 2012.01.23 1932
15267 한일장신대 차정식 교수, 심리학적으로 김철홍교수 비평 신장 2015.11.07 157
15266 한인 안식교인 으로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사람들 11 아기자기 2014.12.21 783
15265 한인 분들이라면 필요한 곳 file 지은이 2011.03.26 8319
15264 한이 서린 승리의 피아노 연주 최종오 2012.07.04 1920
15263 한심한 기자들 시사인 2013.10.06 1801
15262 한심한 기독교인들 로산 2010.12.18 2283
15261 한심두심님, 한 가지는 맞았고 3가지는 틀린다고 아뢰는 바입니다( 건강과 예언 전도 문제) 3 KT 2011.06.17 1714
15260 한세대만 지나면 스다는 해산! 6 exadventist 2014.05.29 860
15259 한성보목사님 주안에서 잠드심 3 동명사 2010.12.06 3018
15258 한선교의 국고보조금 부정수급 의혹...손 놓은 수사기관 친일청산 2016.01.18 83
15257 한상일 - 웨딩드레스 "당신의 웨딩드레스는 정말 아름다웠소/춤추는 웨딩드레스는 더욱 아름다웠소 ......" serendipity 2014.03.23 1507
15256 한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 3 도데체 2012.06.08 2107
15255 한번 죽을것인가? 두번 죽을 것인가? 5 김운혁 2015.08.28 175
15254 한번 장로이면 영원한 장로인가? 5 발해를 꿈꾸며 2010.11.14 6515
15253 한번 잘못 배우면 깨어나기가 2 바이블 2013.02.01 2085
15252 한번 읽어 보세요.(펌) 1 박희관 2013.11.28 1635
15251 한번 웃고 삽시다. 바이블 2011.11.21 1028
15250 한번 오기 시작한 비는 결국 쏟아지고 만다. (When it rains, it pours!) 6 student 2011.12.06 1516
15249 한번 보시면 좋습니다. 1 바이블 2012.10.20 2402
15248 한번 보세요. 바이블 2013.01.11 2449
15247 한번 반등한 죽은 고양는 다시 밑으로 추락한다. student 2011.12.25 1251
15246 한번 반등한 죽은 고양이는 다시 밑으로 추락한다 2 student 2011.12.27 136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