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실향민 개성공단 기업인의 산산이 부서진 꿈

by 뉴즈 posted Feb 17, 2016 Likes 0 Replies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인터뷰] 실향민 개성공단 기업인의 산산이 부서진 꿈
(주)창신개성 박창수 대표
옥기원 기자 ok@vop.co.kr    최종업데이트 2016-02-15 18:08:17    
 

“죽고 싶은 심정입니다”

70대 기업인의 온몸이 파르르 떨렸다. 정부의 개성공단 중단 통보에 이은 북한의 공단 내 남측 인원 추방 조치까지 긴박했던 며칠 간의 기억을 되새기며 그는 말했다. “희망이 사라졌습니다. 꿈이 짓밟혔어요”

‘돈이 아니라 꿈을 위해 개성으로 갔다’는 (주)창신개성 박창수(70) 대표를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건물에서 만났다.


박창수 창신개성 대표를 15일 오전 개성공단기업협회 사무실이 있는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건물에서 만났다.
박창수 창신개성 대표를 15일 오전 개성공단기업협회 사무실이 있는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건물에서 만났다.ⓒ민중의소리

 

실향민 기업인의 간절한 꿈 “개성서 세계 최고 제품 만들고 싶었다”
“두고 온 북한 노동자들이 가장 큰 손실”

박창수 대표는 평양에서 태어났다. 5살 때 부모를 따라 남쪽으로 내려왔지만, 평양은 고향에 대한 향수가 있는 곳이었다.

“2000년대 초에 개성공단이 조성된다는 이야기를 듣고 무조건 공장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나이도 있어서 외국에서 하는 것보다 북한에서 마지막 사업을 하면 좋을 것 같았어요. 한민족이잖아요. 40년간의 비결을 전해주고 싶었어요. 그러던 중 2010년에 같은 업종 공장이 매각돼 나오는 것을 매입해 개성공단에서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냄비 및 철제 용기를 만들어 수출하는 박 대표는 140만불을 투자해 개성공단 사업을 시작했다. 북한 직원은 150여명 정도로 규모는 크지 않았지만, 차차 생산설비를 키워가며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었다.

“공공사업장에서만 일하던 노동자들이라서 처음에는 책임감이란 게 없었어요. 수출 사업의 특성상 품질이 좋고 생산성도 높아야 해 처음에는 (북측 노동자들과) 마찰이 있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노동자들과 신뢰가 쌓였고, 이제는 제 건강까지 걱정하는 등 서로 정이 많이 쌓였어요.”


개성공단 내 사업장에서 북한 노동자들이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자료사진)
개성공단 내 사업장에서 북한 노동자들이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자료사진)ⓒ사진공동취재단


지난 6년의 시간 동안 창신개성은 점점 발전했다. 높아지는 노동자들의 숙련도에 비례해 제품의 품질과 생산성도 높아졌다. 박 대표는 “한국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제품보다 북한에서 만드는 상품의 품질이 더 좋을 정도”라고 설명했다. “가장 아까운 건 북에 두고 온 노동자예요. 제품과 설비는 또 만들면 되지만, 수년 동안 가르친 노동자들과 함께 일할 수 없다는 게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가장 큰 손실입니다.”


천문학적 가치, 개성공단 차버린 정부
기업인들까지 종북몰이 “서운해”··· “꼭 개성에 돌아가겠다”

박 대표는 개성공단 사업을 시작한 이후 ‘매 순간이 살얼음판’이었다고 회상했다. 사업을 시작한 지 1달여만에 이명박 정부의 5.24 대북 제재 조치가 시작됐고, 박근혜 정권 시절인 2013년에는 5개월 넘게 공단 가동이 중단됐다.

“이명박·박근혜 정부 들어 대북 관계에 매 순간 긴장이 이어졌지만, 좋아질 거라 믿었습니다. 개성에서 세계 최고 품질의 제품을 만들자는 꿈만 생각하면서 참고 견뎠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힘들 것 같습니다. 모두 다 끝난 것 같습니다.”

그는 “개성공단 폐쇄가 장기화 될 것 같다”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공단 폐쇄 과정에서 정부의 조치가 더 원망스럽다”고 덧붙였다.

“최소한 개성공단 중단 여부를 기업인들과 미리 상의만 했더라도 이 정도의 반발이 없었을 겁니다. 공장을 운영하는 사업자에게 공단 문을 닫겠다는 이야기를 사전에 해주는 건 당연한 상식 아닙니까? 그런 정부가 기업인들을 북한의 핵개발에 자금을 댄 가해자로 몰아가고 있는 상황도 정말 서운합니다. 11년간 개성공단에서 들어간 임금 누계액이 약 6190억원이고, 연단위로 나누면 550억원, 월로 환산하면 50억원 정도입니다. 임금노동자들의 생활비로도 빠듯한 비용의 총액을 모두 합쳐 핵개발에 썼다는 종북 여론을 조성하는 건 정말 이해할 수 없습니다.”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대회의실에서 개성공단기업협회 긴급총회가 열렸다.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대회의실에서 개성공단기업협회 긴급총회가 열렸다.ⓒ기타


“지난 8년 동안 대북관계를 유지해 온 우리 개성공단 기업인들에게 정부가 이러면 안 됩니다. 남북관계 냉각기에도 우리는 5만3천명의 북측사람들과 직접 접촉하면서 관계를 유지했어요. 개성공단의 이런 가치는 돈으로 환산할 수 없습니다. 현 정부는 천문학적인 가치를 가진 개성공단을 제발로 차버린 겁니다.”

박 대표는 ‘개성공단입주기업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비대위원을 맡아 정부의 피해 보상과 남북 당국의 개성공단 회생 노력을 촉구하기 위한 활동을 시작했다. “살아생전 다시 개성에서 사업을 하고 싶다”는 소원을 이루기 위해서다.

“사업을 시작했는데 이렇게 마무리할 수 없어요. 다른 기업인들은 (공단이) 다시 열려도 안 간다고 말하지만 저는 꼭 갑니다. 돈을 벌겠다는 게 아니에요. 개성에서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제품을 만들어 꿈을 이룰겁니다.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함께 일했던 노동자들을 개성에서 다시 만날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