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53
조회 수 188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음 문제를 20초안에 맞추면 당신의 IQ140 입니다.

 

어제가 내일 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 일텐데...

 

Question.

그렇다면 오늘은 무슨 요일 일까 ?

 

1) 수요일 2) 목요일 3) 금요일 4) 일요일

 

대학원에서 심리학 전공을 했는데, 위와 같은 내용은 인지심리학 강의 때, 심리검사 강의 때 많이 다루었던 내용들입니다. 윗글을 읽고 그냥 지나쳤는데 여러 날 동안 관심을 끌고 있군요. “다음 문제를 20초안에 맞추면 당신의 IQ140 입니다.”라는 문장을 보면 IQ를 정말로 너무 단순하게 처리하고 있어 결국은 한 말씀 드리게 되는군요.

 

사람의 IQ는 학습이나 경험의 결과에 의해 계속 변한답니다. 그래서 부모에게서 받은 결과보다 +25정도까지 높아질 수도 있고, -25정도까지 낮아지기도 합니다. 그러니 같은 IQ로 태어나도 가장 좋은 환경에서 자란 아이와 가장 안 좋은 환경에서 자란 아이의 IQ50까지 차이를 보입니다. 그러니 좋은 IQ를 갖고 태어나게 하는 것도 행운이지만, 잘 기르는 것도 엄청 중요하겠지요?

 

또 여러 분들이 이미 아시는 것처럼, IQ 검사지 문항은 1)어휘력, 2)추리력, 3)수리력, 4)지각력(공간)을 평가하는 4영역으로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여러 분이 알고 있는 IQ의 원점수 혹은 전국 규준 점수가 140이라고 해서 IQ 140은 모두 다 동일한 사람라고 생각하시면 안 됩니다.

 

왜냐하면 140이라는 점수는 위의 네 영역의 점수를 모두 합한 것이지만, 각 영역의 점수는 모두 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은 IQ140이 넘는데도 위의 문제를 20초 안에 답을 얻을 수 없고, 어떤 사람은 IQ100정도밖에 되지 않는데도 20초 안에 위 문제의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위의 문제가 어휘력과 추리력이 좋은 사람에게 유리한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IQ140 이상이라도 추리력이 아주 취약한 사람은 어려운 문제이고, IQ100인 사람도 추리력이 뛰어난 사람은 아주 쉬운 문제입니다.

 

따라서 여러 분들이나 자녀들이 학과나 직업을 선택할 때 위의 4영역이 모두 좋아 아무 것이나 선택해도 괜찮았을 사람도 있었겠지만, 어떤 영역이 아주 취약한데 그쪽으로 학과나 직업을 선택했다면, 성공 가능성은 그만큼 떨어지고 정말 재미없고 고생만 한다는 생각을 하며 살아갈 수도 있을 것입니다.

 

IQ를 한 마디로 정의하면, “현실 대처 능력이라고 합니다. IQ 점수는 아는데 그것을 학과나 직업을 선택하는데 활용해 보신 분이 계신가요

  • ?
    석두 2016.03.20 10:10
    153님
    아~~
    이렇게 관심을 가져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아직도 중 고등학생들을 가지신 부모님들이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저는 그저 한바탕 카스다 글들과의 논쟁이 휩쓸고 지나간 후에
    글들이 별로 안 올라와서 재미로 한번 올려 보았습니다.
    140이라는 숫자도 내 맘대로 정한 것이고요
    그런데 사람들은 평소와 같이 지나가시는데 참여율은 역시 저조하네요
  • ?
    글 쓴이 2016.03.20 13:18
    석두님 말씀대로 재미있었습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이 흥미까지 끌지는 못하지요?
    흥미와 관심은 공감이 될 때 증폭되는 것이라서 그렀습니다.

    중. 고등학교 학생을 가진 학부모님들 이야기를 하셨군요.
    저는 이런 말 들으면 좀 죄송해집니다.
    지식은 다른 사람과 나누기 위해 습득하는 것인데 지금은 그렇지 못해서 그럽니다.

    제가 15년간 중. 고등학생들의 학습(교육)상담과 진로(직업)상담을 연구하고 가르치며, 실제 현장에서 상담을 한 카운슬러이거든요. IQ가 학과와 직업에도 연관시킬 수 있다는 이야기는 위의 영역 중 1/1000에도 못 미치는 이야기입니다.

    한국 학생과 학부모들은 한국이나 미국 이민 온 상태에서도 교육과 직업에 성공적이기를 기대하고 열정을 갖지요. 아무나 다는 아니지만(중학교까지는 지능이나 다른 변인들에 의해 학습 결과가 달라지기 보다는 노력(공부하는 시간)변인에 의해 결정됨), 지능이 좋은 학생은 정말로 공부를 잘하게 하는 방법이 많습니다(고등학교 이상은 지능과 학교 변인이 학업 성적에 결정적인 영향을 줌).

    저는 초등학교 때 딱 한 번 지능 검사를 해본 뒤 학교를 다니지 못해 더 이상 지능 검사를 해본 적이 없었습니다. 제 지능 검사 점수가 153이라는 숫자만 기억했었지요. 그런데 나중에 학교를 다녀야 하겠다는 생각을 갖고 중. 고등학교 검정고시를 1년 반 만에 해치우고, 바로 대학을 가 4년 동안 성적이 탑이라 장학금을 받고 학교를 다녔습니다.

    중. 고등학교, 대학(한국은 대학을 조기에 졸업할 수 없어 꼬박 4년 다님)을 5년 반 만에 졸업을 했습니다. 공부를 해보니 재미있어 그 다음에 대학원을 3군데 더 다녔습니다. 그러면서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이 어떻게 하면 공부를 잘 할 수 있는가? 그리고 그것과 연관된 직업은 어떻게 선택하여야 하는가? 그런 것이었습니다.

    아래 ‘바다’님의 “자랑”이란 글을 읽어보니 저는 우리 아이들에게 정말 나쁜 아빠였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저는 자녀들이 공부 잘하고 열심히 하는 것에 대해 단 한 번도 칭찬을 한 적이 없었거든요.

    그래서 아이가 대통령상을 받아도 부모에게 보여주지 않아 가방 안에서 종이가 헤어졌지요. 고등학교 때 SAT Ⅰ 2,400점 만점을 받아도, SAT Ⅱ 7과목 모두 800점 만점을 받아도 자랑하지 못했지요. 오히려 한인 신문기자가 SAT Ⅰ 2,400점 만점 받은 것 신문에 써주겠다고 그렇게 해도 되냐고 아빠에게 물었다 심하게 꾸중만 당했지요.

    어쨌든 생물학적으로(기질적으로) 공부를 잘 하게 태어난 아이들이 있는가하면, 그 반대인 경우도 있지요. 그래서 세상은 부모가 지식이 많고 적고, 돈이 많고 적고, 직업이 좋고 나쁘고를 떠나 공평하지 않게 태어난답니다. 그러니 후천적으로 우리가 자녀들에게 도울 수 있는 것이 있다면, 열심히 도와야 하겠지요. 그런데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도와야 할지를 거의 모르고 있지요. 그래서 자녀들은 그 상태 그대로인 경우가 ????????????

    자녀들에게 많이 신경 쓰며 사십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11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59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68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56
1385 [이제는 말할 수 있다] 무등산 타잔 박흥숙 1 이제는말할수있다 2016.03.16 121
1384 [단독] “세월호 학생들 생각 없어 사고 당해”. 포스텍 교수 강의중 발언 논란… 총학 등 사과 요구 반발 거세자/“납득 안되지만…” 해명글 올려/ 학생들 “진정성 없어” 분노 증폭/ 대학 “담당 교수 교체” 진화나서 포항공대 2016.03.16 48
1383 황장엽이 보는 남과북 1 하현기 2016.03.16 86
1382 부랑아와 사생아. 계명을 님, 인신공격의 개념을 이해하기가 그렇게 힘든가. 3 김원일 2016.03.16 292
1381 North Korea 1 War 2016.03.17 121
1380 IQ. 139 이상인 사람만 보세요 14 석두 2016.03.17 401
1379 자신의 애를 죽이는 이유 비정 2016.03.17 87
1378 [심상정 의원실] 심상정 화났다. 국정감사 폭풍 사자후 작렬 민초 2016.03.17 49
1377 나쁜 언어 로 사용 될때 박성술 2016.03.17 125
1376 아 윈도우 10! 1 무실 2016.03.18 151
1375 조상들의 지독한 일기쓰기 무실 2016.03.18 96
1374 민초의 어제, 오늘, 내일 김원일 2016.03.18 179
1373 올라온 광고가 어떤 때는 즉시 삭제되지 않는 이유. 김원일 2016.03.18 96
1372 親日警察・廬徳述(【韓国MBC】「今だから言える」2004.4.13) 이제는말할수있다 2016.03.18 51
1371 노무현-김정일 비밀녹취록? 대선 앞둔 '북풍' 1 선거철 2016.03.18 109
1370 노무현 자살 정권탓 돌린 아들 근거가 무엇인가? 김동길 교수. 3 김동길 2016.03.19 156
1369 이슬람은 함께 살기 어려운 종교인가? 보수 2016.03.19 80
1368 지옥은 있다: 설교를 이렇게 2 김원일 2016.03.19 188
1367 [강연] 유시민 - 한국 현대사 55년, 나는 이렇게 겪고 배웠다 현대사 2016.03.19 40
1366 자랑1 2 바다 2016.03.20 152
1365 자랑2 2 바다 2016.03.20 144
» 석두님 글이 재미 있어서 2 153 2016.03.20 188
1363 강아지 5마리 구조 동물사랑 2016.03.20 86
1362 정의로운 자본주의 1 친일청산 2016.03.20 47
1361 MBC 이제는 말할 수 있다 1회 제주 4.3사건 (1999. 09. 12방송 ) 양민 2016.03.21 42
1360 징기스칸 시사인 2016.03.21 68
1359 Red-Hunt (빨갱이 사냥) Blue 2016.03.21 135
1358 물건너 저쪽 4 김균 2016.03.21 549
1357 류효상의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3월 22일) 2 뉴스 2016.03.21 171
1356 여자여, 어떻게 살 것인가? file 김주영 2016.03.22 217
1355 한국에 재림교회가 들어온 이후-1 12 김균 2016.03.22 661
1354 사랑하는 형제 자매 여러분 ! file 구미자 2016.03.22 187
1353 완벽한 것이 아니라 점차적인것입니다. 3 오호라 2016.03.22 247
1352 MBC 이제는 말할 수 있다 5회 여수 14연대 반란 (1999 .10. 17 방송) 대전사람 2016.03.22 42
1351 만들고 올려봤어요. 9 file 난감하네 2016.03.22 214
1350 나도 통곡하고 싶다 2 김균 2016.03.22 398
1349 mix김제동의 개념강의 '종북좌파와 빨갱이들' 천재 2016.03.23 62
1348 목소리 20 바다 2016.03.23 279
1347 김종인이 이겼나, 친노가 이겼나, 조선·동아 뒤틀린 논조. [뉴스분석] 내분 수습 분위기에 급당황… 김종인 내세워 국민 속였다? 문재인이 나서라 친일 2016.03.23 84
1346 이제는 말할 수 있다 - 만주의 친일파 친일파 2016.03.23 37
1345 김 원일 교수님께! 아이피 차단 해제에 관해 알려 드립니다. 12 기술담당자 2016.03.23 279
1344 사랑하는 형제 자매 들이여 ! file 구미자 2016.03.23 56
1343 그래서 그랬군요^^ 4 민아 2016.03.23 198
1342 제 19회 미주 재림 연수회 file 새벽별 2016.03.23 76
1341 이제는말할수있다-10부 대학살 아군의손에의해 2016.03.23 41
1340 3+1=1 1 하주민 2016.03.23 95
1339 전세계를 열광시킨 영국 왕따 소년의 오디션 키즈 2016.03.23 123
1338 사랑하는 형제 자매들이여 ! file 구미자 2016.03.24 52
1337 어제 "중국인"들에 관한 글 삭제한 이유 (조회수 2 이후 수정) 김원일 2016.03.24 146
1336 아름다운 바람의 빛 깔 1 난감하네 2016.03.24 135
1335 그들이 방송을 장악한 이유 귀와입 2016.03.24 92
1334 제가 이 좋은 글을 왜 못 본거죠? 13 file 난감하네 2016.03.24 295
1333 사랑하는 형제 자매들이여! file 구미자 2016.03.24 40
1332 몰라도 너무 모르는 재림교홀짱들! 7 fm 2016.03.24 304
1331 간판이 바뀌었네요 들국화 2016.03.24 103
1330 하나의 유령이 교회를 배회하고 있다 16 아기자기 2016.03.24 443
1329 [제211회 평화모임](2016년 3월 26일(토)) ■제1부 38평화 (3:00-4:00) : 북한 리포트 김춘도. 사단법인 평화교류협의회 상생공동대표 ●제2부 평화의 연찬 (4:00-5:00) : 가까이 다가온 재앙. 최창규 사단법인 평화교류협의회 상생공동대표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6.03.24 38
1328 배부른 돼지 6 지경야인 2016.03.24 287
1327 막내동생 3 바다 2016.03.26 156
1326 심판, 천년기 - 이게 간단하지 않은 이유 11 김주영 2016.03.26 467
1325 "세월호 유가족 모욕한 후보를 심판해 달라" 이웃 2016.03.26 56
1324 1%의 독식? 90%의 착각! Mr Nam 2016.03.26 93
1323 그런데요 4 난감하네 2016.03.26 164
1322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단언컨데 없어져야 할 쓰레기입니다. 황색저널리즘 2016.03.26 70
1321 이사하기 김균 2016.03.26 231
1320 전두환 보도지침 사건 30년 "대통령 무서워" 달라진 게 없다 2016.03.26 52
1319 뉴라이트의 역사관과 같은 새누리당의 역사관을 어떻게 볼 것인가 구롸이트 2016.03.27 44
1318 정의화, “새누리당 공천은 악랄한 사천…돌아갈 생각 사라져” 고국 2016.03.27 61
1317 [김용민의 그림마당]2016년 3월 28일 3 조동이 2016.03.27 127
1316 사랑하는 형제 자매들이여 ! file 구미자 2016.03.28 77
Board Pagination Prev 1 ...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