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이 이겼나, 친노가 이겼나, 조선·동아 뒤틀린 논조. [뉴스분석] 내분 수습 분위기에 급당황… 김종인 내세워 국민 속였다? 문재인이 나서라

by 친일 posted Mar 23, 2016 Likes 0 Replies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김종인이 이겼나, 친노가 이겼나, 조선·동아 뒤틀린 논조

[뉴스분석] 내분 수습 분위기에 급당황… 김종인 내세워 국민 속였다? 문재인이 나서라?

정상근 기자 dal@mediatoday.co.kr  2016년 03월 23일 수요일
    

더불어민주당 내홍이 가라앉는 분위기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당무에 복귀했다. 그리고 논란의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명단은 수정됐다. 가장 큰 문제가 됐던 ‘칸막이 투표’는 폐지됐고, 대신 김종인 대표의 전략공천 지분은 인정됐다.

그런데, 이 사실을 두고 언론의 시선이 엇갈린다. 한 편에서는 김종인 대표와 중앙위원회 위원들의 뜻이 적절히 배합됐다고 평가했고, 다른 한 편에서는 친노 진영의 뜻이 관철됐다고 평가했다.

관점1. 왜 친노의 뜻이 관철됐을까?

조선일보는 23일 1면 ‘김종인 포장 뜯어내고 운동권 본색’ 기사와 3면 ‘흔들고, 밀어붙이고, 어르기…친노패권 작동법 보여준 48시간’ 제하 기사에서 이번 비례대표 후보 변경 결과가 ‘친노의 패권으로 이뤄진 운동권 위주’ 명단이라고 평가했다.

128891_166767_1247.png
조선일보 3월23일자. 3면.
중앙일보는 4면 ‘비례 밥그릇 뺏길 위기에, 진보패권세력이 김종인 흔들어’기사로, 동아일보는 1면 ‘뒤집힌 야 비례순번 김 “내이름 빼” 반격’과 2면 ‘친노 백기투항 요구…오늘 비대위 참석 김, 거취 표명할 듯’ 기사를 통해 조선일보와 같은 평가를 내렸다.

근거는 무엇일까? 조선일보의 경우 홍창선 공천관리위원장과 김 대표 측, 비주류 측 인사라는 취재원들의 ‘말’이다.

조선일보 기사의 근거

홍창선 공천관리위원장 “중앙위를 석권한 사람들이 세 과시를 하면서 김 대표에게 ‘당신은 이제 없어도 돼’라고 행동한 것과 마찬가지”

김 대표 측 관계자 “친노‧운동권이 숨죽이고 있다가 지역구 공천이 끝나니 본색을 드러낸 것”

당 비주류 관계자 “김 대표라는 화장이 총선 뒤에 지워질 줄 알았는데 너무 일찍 지워졌다”

한 당직자 “친노패권주의라는 것이 바로 이런 것” “비례대표 명단을 친문‧친노 인사로 채우라는 명령은 아마 없었을 것 그러나 그런 드러나는 명령 없이도 일사불란하게 움직일 수 있는게 친노 패권의 힘”

128891_166766_1246.png
동아일보 3월23일자. 2면.
동아일보는 대체로 ‘익명의 취재원’이 기사의 근거다.

동아일보 기사의 근거

김 대표의 한 측근 “공천이 거의 완료되자 비대위와 중앙위원회가 본색을 드러내며 친노의 당으로 가기 위해 대표를 굴복시키려 한다고 느끼고 있다. 김 대표가 완강하다”

김 대표 측 핵심 관계자 “중앙위에서 결정한 비례대표 안은 절대 받을 수 없는 안”

당 밖의 김 대표 측근들 “당내 기득권 세력들은 바뀌지 않는다는 것이 드러났다”

중앙일보도 취재원의 증언을 근거로 사용했다. 다만 익명의 관계자가 아닌 김종인 대표의 말을 직접 들었다.

중앙일보 기사의 근거

김종인 대표 “중앙위의 비례대표 순위를 보니 결국 (운동권 세력이) 다 짜고 해 놓은 것이더라. 나는 웃음밖에 나오는게 없다”

유인태 의원 “당이 ‘친노 패권’이라는 프레임에 묶여 있지만 실상은 ‘진보 패권주의’가 야당의 오랜 기득권 층”

관점2. 왜 김종인 대표의 뜻이 관철됐을까?

같은 명단을 두고 한겨레는 전혀 다른 평가를 내놨다. 조선일보 등은 “친노‧운동권 이미지를 탈색하려는 김종인 대표의 뜻이 중앙위 투표를 통해 좌절됐다”고 주장했으나 한겨레는 전문직과 문재인 대표의 영입인사들의 약진을 특징으로 꼽았다. 근거는 특정인의 발언보다는 비례대표 명단을 분석한 결과다.

한겨레 기사의 근거

“19대 총선 때 비례대표 당선자(21명)의 4분의3 정도를 차지했던 ‘학생운동권‧시민단체’ 출신은 예상 당선권인 15명 가운데 5명 안팎에 그쳤다.”

“당선권 비례후보 14명의 면면을 보면 개혁 성향 사회단체 출신이 4명으로 가장 많다. 학계 출신이 2명으로 뒤를 잇고, 경제, 과학기술계 출신도 1명씩 당선권에 진입했다. 정당에 몸담은 인사 3명 가운데 2명은 정당, 1명은 언론계로 분류됐다”

128891_166768_1247.png
한겨레 3월23일자. 4면.

128891_166765_1246.png
경향신문 3월23일자. 4면.

경향신문도 비슷한 분석을 내놨다. 경향신문은 4면 ‘김종인‧중앙위 절충…소수자 배려’로 제목을 뽑았다.

경향신문 기사의 근거

“당선안정권을 비례 20번까지 넉넉하게 두고 당 대표의 전략공천 4명을(20%)을 인정하는 대신 그룹간 칸막이를 허물어 중앙위원들의 뜻이 반영되도록 한 것”

종합해보면, 한겨레‧경향신문은 중앙위원회에서 확정된 비례대표 명단을 분석했고, 조선일보 등은 김종인 대표 주변 ‘관계자’들의 말을 통해 현재의 상황을 해석했다. 더불어민주당 당헌에 따른 중앙위원회의 결정을 ‘패권’으로 해석할 수 있느냐의 근거도 조선일보 등은 당 관계자들의 말이다.

물론 분석과 취재는 모두 기사를 구성하는 요소다. ‘관계자’들의 말이 사실이라면 이들 언론이 비례대표 명단 변경을 ‘친노‧패권’으로 해석할 여지는 충분하다. 다만 ‘친노’라 불리는 당사자들에 대한 반론이 없는 점은 기이하다. 중앙일보 기사의 김종인 대표 발언 역시 '운동권 세력이'라고 중앙일보가 주석을 달았지만, 물론 그와 같이 해석할 여지도 있다.

다만 조선일보의 시선을 구성하는 전제는 다소 모호하다. 바로 ‘운동권은 안된다’는 것. 하지만 친노‧운동권의 기준이 무엇인지, 당헌에 근거한 반발이 왜 패권주의인지 이렇다 할 설명은 없다. 그냥 친노‧운동권은 원래 이렇다는, 언론으로서는 다소 낯 뜨거운 주장의 반복이다.

오히려 23일자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사설은 더민주와 김종인 대표의 결별을 원하는 ‘소망’으로 보인다. 조선일보는 사설 ‘더민주, 김종인 대표 앞세워 국민 속였다’에서 “김 대표가 자신의 뜻이 이렇게 묵살됐는데도 당에 남아 있는다면 그의 모든 행위가 비례대표로 국회의원 배지 다섯 번을 다는 신기록을 위한 것이었다는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동아일보도 사설 ‘야, 김종인 간판 말고 문재인 얼굴로 총선 치르라’에서 “이번 비례대표 공천 파동 덕분에 적잖은 국민이 김 대표를 간판으로 앉힌 문 전 대표와 친노의 속셈을 알게됐다”며 “당의 정강정책과 선거 공약까지 완전히 바꿔놓을 자신이 없다면 깨끗이 물러나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아직은 주문대로 되지 않았다. 김종인 대표는 23일 오후, 당무에 복귀했다.

이 기사를 후원 합니다.
  • 1,000원 소액결제
  • 5,000원 소액결제
  • 10,000원 이상 자유결제
  • 미디어오늘 정기구독
  • 미디어오늘 정기후원
후원하기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