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71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학교선 못 배우는, 내 아이에게 가르칠 것들

 

정신과 의사의 좋은 아빠 도전하기(4)

미국 노스케롤라이나 채플힐이란 곳에서 연수를 하고 있을 때의 이야기입니다. 평소 친하게 지냈던 Y 선생님의 딸인 고등학생 수진이가 어느 날 한 로봇 인형을 들고 집에 왔습니다. 학교에서 내준 과제라면서 말입니다.

그 인형은 밤새 불규칙하게 울었습니다. 어떤 때는 안고 얼러줘야 그쳤고, 기저귀를 갈아주어야 하기도 했으며, 어떤 때는 우유병을 물려야 울음을 그치곤 했습니다. 시도 때도 없이 칭얼대는 인형을 돌보느라 수진이는 거의 잠을 자지 못하고 밤을 꼬박 샜습니다.

인형 속에는 칩이 내장되어 있어 수진이가 얼마나 자신을 잘 보살펴 주고 있는지 저장되고 있었습니다. 만일 수진이가 귀찮다고 그 인형을 제대로 돌보지 않고 팽개쳐 놓으면, 칩의 기록으로 인해 수진이는 성적을 나쁘게 받게 된다고 했습니다.

Y 선생님과 저는 도대체 이 과제의 의도가 무엇일까 궁금했습니다. 인형을 통해서 부모님의 노고를 생각하고 효심을 키우라는 의미 정도로 생각했습니다. 나중에 알게 되었는데, 미국 사회의 미혼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트라고 합니다. '아기를 키운다는 것은 노동과 책임이 따르는 것'이며 '섹,스란 준비가 되었을 때 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을 학생들에게 교육시키기 위해 전국적으로 도입된 프로젝트였던 것입니다.

좀 쇼킹한 일이었습니다. 순결을 지켜야 한다느니, 도덕적으로 옳지 못한 일이니 훈계 식 교육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듯 했습니다. 준비 안된 상태에서 애 낳으면 이렇게 고생한다는 것을 아이들이 체험으로 알게 만드는 것입니다. 도덕적 설득이나 야단치기보다, 사실을 근거로 아이들에게 교육을 시킨다는 면에서 섬뜩하기까지 했습니다.

얼마 전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과학 교과서를 본 적이 있습니다. 우리가 중학교 때 배웠던 내용과 별반 달라지지 않았더군요. 그 중에 반가운 내용이 있었습니다.

"활 석 방 형 인 장 석 황 강 금"

기억 나십니까? 중학교 때 입이 닳도록 외웠던 모오스 경도계 입니다. 돌맹이들을 단단한 순서로 나열한 것입니다. 활석, 석고, 방형석... 등등. 너무도 열심히 외워서 30년이 지난 지금도 제 입에 붙어있습니다. 그런데 생각해 보니 실제로 그 돌들을 보게 되면 뭐가 뭔지 모를 것 같았습니다. 더 황당한 것은 OECD 가입국이자 세계 10대 무역국가에 살고 있는 현재의 아이들도 그 돌은 직접 보지 못한 채 돌 이름만 운율에 맞춰 외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아이들을 키우면서 실용적인 지식을 가르치려고 노력을 해야 할 듯 합니다. 학교에서 그 역할을 못하면 집에서 부모가 해야 합니다. 집에서 반드시 가르쳤으면 좋은 내용 몇 가지를 적어봅니다.

1. 돈 관리 하는 법

필자는 자녀에게 금융 지식을 가르치고 싶습니다. 어른이 되어 보니, 내 집 마련하고, 대출을 갚아나가고, 재태크를 하고, 노후준비를 하는 것이 참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정작 우리는 이런 내용을 학교에서 배우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아직 초등학생인 저희 아이들에게 제가 가르치고 싶은 것은 돈에는 두 가지가 있다는 점입니다. '자산'과 '용돈'이 다른 것이라는 개념입니다. 똑같은 돈이 아니라 돈에 라벨이 붙어있는 것입니다. 자산은 불어나는 돈이고 용돈은 쓸 수 있는 돈입니다. 자산은 아이들이 평생 불려나가도록 관리하는 돈입니다. 아이들이 어릴 때는 돌이나 명절 때 어른이 주는 돈들을 펀드나 청약 저축 등으로 묶어 두었습니다.

아이들이 어느 정도 크니 명절 때 받은 돈을 쓰고 싶어합니다. 그 돈의 70%는 자산으로 묶어두고, 30%는 용돈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교육을 합니다. 일단 자산으로 묶인 돈은 저축을 하게 하고 그 통장의 액수가 늘어나는 것을 느끼게 합니다. 자산은 물건을 사는 데에는 절대로 쓸 수 없습니다. 대신 주식이나 펀드 등 투자를 위해서는 쓸 수 있습니다. 투자를 해서 손해를 보는 것도 좋은 교육인 듯 합니다. 어릴 적 적은 돈으로 투자 손실을 경험하는 것은 아이가 평생을 살아가는데 피가 되고 살이 되는 경험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는 법

고등학교 동문회에 나가보면 공부 잘했던 친구들이 꼭 성공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공부 못했던 아이들 중 사업에 크게 성공한 친구들을 보게 됩니다. 그 친구들이 생색을 내면서 동문회 식사비를 다 계산하는 것들을 보면서 인생은 성적순이 아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렇다고 공부 잘 하는 것이 필요 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공부를 잘 하건 못하건 사업에 성공한 사람들은 몇 가지 특성이 있을 것입니다. 그 중에 제가 주목하는 것은 다른 사람들의 마음을 읽는 능력입니다.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는 능력은 리더십, 영업능력, 친화력 등의 기초가 됩니다.

아이들에게 다른 사람의 마음 읽는 법을 가르치는 방법 중 제가 생각한 방법은 TV 드라마를 같이 보는 것입니다. 요즘 우리나라 TV 드라마는 수준이 높습니다. 웬만한 미드(미국 드라마)보다 재미있습니다. 국내 드라마 작가들의 심리학적 재능은 세계적인 수준인 듯 합니다. 정신과 의사인 저보다 몇 배 더 인물들의 섬세한 감정을 잘 터치해냅니다. 그래서 재미있습니다.

드라마를 아이들과 같이 보면서 주인공이 왜 저 때 저런 말을 했을까? 주인공은 어떤 생각을 하고 저런 행동을 할까? 의견을 나누다 보면 의외로 아이들과 대화를 재미있게 이어 나갈 수 있습니다.

3. 이성교제 하는 법

인생에서 좋은 배우자를 만나는 것도 정말 중요한 선택이자 투자인 듯 합니다. 결혼 생활이 불행하면 다른 쪽에서 아무리 큰 성공을 거둬도 그리 행복하지 못한 삶을 살게 되는 것 같습니다.

아내 친구들 중에는 싱글일 때 이 남자 저 남자 양다리 걸치며 어장 관리한다고 친구들에게 욕 먹었던 분들이 결혼을 잘 한 사례가 종종 있습니다. 결혼 후에는 가정에 충실한 현모양처가 되어 있는 모습을 보면서 아내는 살짝 배 아파하는 모양입니다.

실제 해외에서 발표된 논문 중 더블데이트를 했던 사람이 더 행복한 결혼생활을 영위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지금은 많이 달라졌지만,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정조 관념이 중요한 반면, 양다리 걸치는 어장관리에 대해서는 관대했습니다. 미국은 반대입니다. 성적으로는 개방적이어서 이성의 과거에 대해서는 관대하지만, 한번에 두 명 이상 데이트 하는 더블데이트는 도덕적으로 매우 안 좋게 봅니다. 신의가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왜 더블데이트 한 사람이 더 잘 살까? 우리나라에서는 왜 어장 관리한 사람들이 더 결혼을 잘 할까? 궁금합니다. 그 이유를 두 가지로 해석해 보건 데, 첫째는 여러 사람을 만나보았기 때문에 결혼에 대한 환상이나 기대 수준이 낮기 때문입니다. 둘째는 여러 사람을 만나는 동안 알게 모르게 이성을 유혹하는 기술을 갈고 닦았다는 점입니다. 이성을 유혹하는 기술이 충분히 발달되어 있으니 정작 좋은 이성을 만났을 때 내 사람으로 만들 수 있는 법이겠지요.

필자는 자녀들에게 이성친구가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아이들이 이성친구가 생기면 관심을 가지고, 그 아이를 집으로 초대해서 같이 사귀는 것도 좋은 방법 같습니다. 어려서부터 자꾸 이성을 접하면서 자연스럽게 이성을 대하는 매너가 생기고, 훗날 결혼 적령기가 되었을 때 자기가 원하는 이성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기술을 갖출 수 있었으면 합니다.

위의 소개한 내용들이 모두에게 적용될 만큼 바람직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부모의 입장에서 학교나 학원에서 못 배운 지식, 인생을 살아보면서 중요한 지식이라고 느꼈던 점들을 아이들에게 가르치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만은 확실합니다.  - 배지수 - 


소아청소년의 정신, 학습, 사회성 증진을 추구하며 소아청소년 심리 및 정신상담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펌글


  1.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Date2014.11.30 By김원일 Views10403
    read more
  2.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Date2013.04.06 Byadmin Views36653
    read more
  3.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Date2013.04.06 Byadmin Views53665
    read more
  4. 필명에 관한 안내

    Date2010.12.05 Byadmin Views85452
    read more
  5. 한 작은 교회가 세월호를 기억하는 방법

    Date2015.04.14 By작은교회 Views253
    Read More
  6. 한 일본인의 희생이 유대인 30,000 명을 구하다

    Date2012.11.21 By옮긴자 Views1375
    Read More
  7. 한 여인의 일곱 번째 남자

    Date2011.02.08 By아기자기 Views3746
    Read More
  8. 한 여름밤의 꿈-내용 수정

    Date2016.08.11 Byfallbaram. Views294
    Read More
  9. 한 여름밤의 꿈-One Summer Night's Dream

    Date2016.08.09 Byfallbaram. Views210
    Read More
  10. 한 신학자가 말하는 안철수

    Date2012.08.04 By Views2538
    Read More
  11. 한 신학도의 비보를 알리며

    Date2011.09.13 Bypasser-by Views2558
    Read More
  12. 한 사람이 그리스도인으로 대한민국에 산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이명박 대통령을 보면 알 수 있다.

    Date2011.09.23 By이해해 Views2535
    Read More
  13. 한 사람도 빼놓지 말고 모든 사람에게 <재림이 매우 촉박하다>고 알려야 합니다

    Date2015.02.21 By예언 Views263
    Read More
  14. 한 번만 할 수도 있다는 롬니의 갬블 (로스 도하ㅌ

    Date2012.09.06 By강철호 Views4334
    Read More
  15. 한 번 구원은 영원한 구원인가? 구원의 확신의 충격적인 실체-교리개혁은 바로 이런 것을 말하는 것이다.

    Date2016.08.08 By눈뜬장님 Views191
    Read More
  16. 한 밤의 불청객

    Date2016.02.28 By바다 Views103
    Read More
  17. 한 목사가 목격한 사형수 8명의 최후

    Date2012.09.11 By김원일 Views3211
    Read More
  18. 한 명 바뀌었을 뿐인데.

    Date2012.05.01 By서초타운 Views2267
    Read More
  19. 한 때는 양심적이었지..

    Date2012.05.06 By푸른송 Views1933
    Read More
  20. 한 때 안식일교회 목사였던 사람이...

    Date2012.02.20 By김주영 Views2136
    Read More
  21. 한 대학생은 이렇게 말했다.

    Date2012.12.12 By김원일 Views924
    Read More
  22. 한 눈에 보는 청와대 ‘정윤회 문건 유출’ 파문

    Date2014.12.19 By저고리 Views416
    Read More
  23. 한 놈이라도 목숨걸고 싸워야"

    Date2014.08.16 By노란리본 Views548
    Read More
  24. 한 놈만 팬다

    Date2014.05.21 By김균 Views830
    Read More
  25. 한 건축가의 죽음

    Date2014.02.27 Bysoutherncross Views1232
    Read More
  26. 한 개인의 과거와 신상에 관한 글 삭제했습니다.--수정

    Date2012.03.29 Byadmin Views2512
    Read More
  27. 한 가지 사실을 두 가지로 해석하는 법-시골생활님께

    Date2013.07.30 By김균 Views1478
    Read More
  28. 한 가지 물어 보려고요

    Date2011.12.11 By로산 Views1192
    Read More
  29. 학식이 있는 사람이 실패를 많이 하는 이유

    Date2014.11.14 By예언 Views518
    Read More
  30. 학생증을 손에 꼭 쥐고 발견된 학생들이 많았었다는 기사들로 미루어 !!

    Date2014.04.25 By슬픈현실 Views1050
    Read More
  31. 학생증 쥐고 간 아이들을 위한 조사: 조연희

    Date2014.04.28 By김원일 Views1998
    Read More
  32. 학생들 마음에 등을 달아주는 예수 같은 스님(수정)

    Date2012.05.29 By西草타운 Views2162
    Read More
  33. 학생님에게 뒤늦게 답변을 올립니다..

    Date2011.07.16 By김 성 진 Views1668
    Read More
  34. 학생, 청년 전도법 1(수정: 마지막 댓글에 첫째 천사의 기별과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에 대한 명쾌한 설명 추가)

    Date2012.07.15 By최종오 Views3461
    Read More
  35. 학살의 종범 대한민국 학피아들의 나라 말아먹기

    Date2014.06.10 By김원일 Views906
    Read More
  36. 학부모의 절규"떠날 거예요....나 대한민국 국민 아닙니다"

    Date2014.04.23 By내나라를버립니다 Views835
    Read More
  37. 학부모 눈물의 행진.

    Date2014.04.19 By청와대 Views702
    Read More
  38. 학문과 상황에 관해 - 남십자성 님을 환영하며

    Date2012.11.08 By김주영 Views1511
    Read More
  39. 학교선 못 배우는, 내 아이에게 가르칠 것들

    Date2016.04.24 By비올라 Views71
    Read More
  40. 학교 홍보지 전락…대학언론은 정말 '노답'인가

    Date2015.06.19 By겸양 Views257
    Read More
  41. 학교 급식 이데로 좋은가?

    Date2012.06.29 By단체급식 Views2352
    Read More
  42. 하현기선생님

    Date2016.02.07 By대표 Views342
    Read More
  43. 하현기님!

    Date2016.02.11 By대표 Views182
    Read More
  44. 하현기님 헛 제삿밥 같은 헛교수에게 발렌타인데이에 드리는 달달한 선물입니다!

    Date2016.02.14 By대표 Views65
    Read More
  45. 하현기님 통일은 이렇게 시작하는 것입니다

    Date2016.02.20 By통일로 Views34
    Read More
  46. 하현기님 통일도 중요하지만 이 목사님 석방을 위한 탄원기도가 더 절실해보입니다.

    Date2016.02.18 By대표 Views126
    Read More
  47. 하현기님

    Date2016.02.16 By돌배 Views101
    Read More
  48. 하현기님

    Date2016.02.17 By대표 Views105
    Read More
  49. 하현기님

    Date2016.02.19 By대표 Views82
    Read More
  50. 하현기 선생이 (사)평화교류협의회 회원들에게 보내신 이메일에 여러분의 의견을 묻습니다. 적극적인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Date2015.12.11 By(사)평화교류협의회[CPC] Views114
    Read More
  51. 하현기 선생님께(3)

    Date2016.02.19 By진실은무엇인가 Views26
    Read More
  52. 하현기 선생님께(2)

    Date2016.02.19 By진실은무엇인가 Views41
    Read More
  53. 하현기 선생님께(1)

    Date2016.02.19 By진실은무엇인가 Views65
    Read More
  54. 하현기 선생님! ...꼭 보시고 생각의 폭을 넓혀 보세요^^

    Date2016.02.19 By개성공단과사드 Views46
    Read More
  55. 하현기 님, 접장님, 욕나오내요.

    Date2016.02.14 By한마디 Views142
    Read More
  56. 하하하하하

    Date2014.12.15 Byfallbaram Views585
    Read More
  57. 하찮은 사람의 5과 교과

    Date2015.05.03 By민아 Views200
    Read More
  58. 하찮은 들 풀...

    Date2016.08.07 By소리없이... Views112
    Read More
  59. 하지만 신앙은 궁극적으로 하나님과 씨름하는 겁니다.

    Date2016.01.23 By김원일 Views120
    Read More
  60. 하이고, 큰일이다 !!! 내가 아담스 대학 출신이란 사실을 RICHARD 학장님에게 들켰다 !!! (수정2)

    Date2010.11.24 By김 성 진 Views2494
    Read More
  61. 하용조 목사 장례예배 울음속에서 폭소(퍼옴)

    Date2011.08.04 By김기대 Views1997
    Read More
  62. 하와를 유혹한 뱀은 <날개있고 금빛광택이 눈부신 아름다운 동물>이었습니다

    Date2015.03.24 By예언 Views193
    Read More
  63. 하와가 선악과를 따먹지 않았다면 - 빠다가이님

    Date2011.01.06 By김주영 Views1331
    Read More
  64. 하여간 미국이나 한국이나 ㅉㅉㅉ

    Date2011.10.19 By김주영 Views1869
    Read More
  65. 하얀 비단에 싸인 밤

    Date2013.03.20 By행복한고문 Views1963
    Read More
  66. 하얀 목련 - 양희은 "하얀 목련이 필때면 다시 생각나는 사람/ 봄비내린 거리마다 슬픈 그대 뒷모습..."

    Date2014.03.31 Byserendipity Views1427
    Read More
  67. 하시마 섬의 민낯과 한국의 진상

    Date2015.09.14 By한국 Views147
    Read More
  68. 하시디즘 알기

    Date2011.05.20 By제자 Views2138
    Read More
  69. 하버드대학 박사 학위 논문- 일요일 휴업령

    Date2014.11.22 By그날이오면 Views545
    Read More
  70. 하버드 특강 - [공리주의의 문제점]

    Date2012.07.25 By반달 Views3176
    Read More
  71. 하박국의 딜레마 - Oslo fantasia

    Date2011.07.26 By아기자기 Views1994
    Read More
  72. 하물며....스다는 어떤가

    Date2014.12.18 By하물며 Views400
    Read More
  73. 하문하답: 교인들 간의 고소문제 2

    Date2016.07.19 By최종오 Views535
    Read More
  74. 하문님에게 답글, 영어권 자녀들을 위한 아스파탐 관련 자료들

    Date2010.11.30 By건강 Views25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