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최장집 "새누리, 보수적이되 민주적이어야 산다"
"종북 등 배제적 언어 쓰면 안 돼…보편 인권 말하는 보수 돼야"
| 2016.04.25 20:03:05
f_3.jpg
t_3.jpg
k_3.jpg
s_3.jpg
p_3.jpg
r_3.jpg
크게
작게
f_3.jpg
t_3.jpg
k_3.jpg
s_3.jpg
p_3.jpg
r_3.jpg
크게
작게
10022_1449071334.jpg
relative_41.png

"이번 선거의 교훈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의 유권자들은 보수와 진보를 떠나 '민주적 규범은 무조건 지켜 져야 한다'는 컨세서스(사회적 합의)가 있다는 것을 일깨워 준 것이다." 

진보 진영의 대표적 지성인 최장집 고려대학교 명예교수가 25일, 새누리당 20대 국회의원 당선자들 중 일부를 만나 한국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보수 정당이 나아가야 할 길과 극복해야 할 문제들을 주제로 강연을 했다.  

최 교수는 이번 4.13 총선에서 새누리당이 참패하게 된 이유로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민주주의 규범 무시'를 지목하며 삼권분립을 위한 노력과 국가주의에서 벗어난 인권 존중 정신, 대기업 중심 정당에서의 탈피, 평화 지향적인 남북 관계 조성 노력 등을 주문했다. 

'2016 민의에 응답하라'는 제목으로 열린 이날 강연은 가칭 새누리당 혁신모임(간사 황영철 당선인)의 주최로 국회 의원회관에서 진행됐다. 강연에는 김승희 김영우 나경원 박인숙 심재철 오신환 이이재 이주영 이학재 정병국 하태경 황영철 당선인 등이 참석했다. 

"삼권분립이 민주주의 근간인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


최 교수의 이날 강연은 크게 두 덩어리로 나뉘어 있었다. 새누리당의 총선 패배 이유와 더 좋은 보수 정당이 되기 위해 새누리당이 지향해야 하는 가치들에 대한 설명으로 구분된다. 이를 최 교수는 "보수적이되 민주적이고, 보수적이되 자유적이고, 보수적이되 다원주의적이고, 보수적이되 평화적인"이라는 표현으로 요약해 제시했다. 

최 교수가 지목한 새누리당의 가장 큰 총선 패배 이유는 '민주주의 규범 경시'였다. 

공천 파동을 낳은 수직적 당·청 관계, 정당 정치를 외면한 일방적인 여당 주도의 국회 운영, 대통령을 비롯한 정치인들의 책임 윤리 상실 등으로 보수 성향의 유권자들마저 투표장으로 나가지 않았다는 것이 최 교수의 분석이다.  

그는 이날 "민주주의는 제도 운용이라는 절차적 측면과 그 과정에서 만들어진 정책의 결과 및 효과라는 실체적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 두 면 모두에서 새누리당에 좋은 점수를 주기가 어렵다"면서 "무엇보다 비판적으로 말하고 싶은 것은 대통령의 책임 윤리"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이어 "임기 후반을 맞이한 대통령이 자신의 세력을 확대·유지하기 위해 당의 자율성을 존중하지 않고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은 민주주의 원리와 규범에 어긋난다"면서 "민주주의를 움직이는 기본적 근간이 삼권분립이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라고 비판했다.  


최 교수는 또 "기본적인 (민주주의) 규칙들이 정부 국회, 여야 간, 여당 내에서 노골적으로 무시되고 지켜지지 않았고 그 중심에 새누리당이 있었다"면서 그 결과 "특히 보수적 성향의 도시 중산층 투표자들이 투표장으로 나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번 선거의 교훈은 민주화 이후 한국 사회의 유권자들이 보수와 진보를 떠나 민주주의 가치와 규범에 대해 확고한 컨세서스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면서 "유권자들은 여-야 갈등이나 보수-진보 갈등은 민주주의라는 컨세서스 위에서 전개되어야 한다고 명령하고 있다"고 말했다.  


art_1461581392.jpg

▲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가 25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가칭 새누리당 혁신모임에 참석해 강연을 시작하기 전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과거로 후퇴하다 권위주의에 가까워진 것 아닌가 아슬아슬"


따라서 새누리당이 '혁신'을 위해 우선 다져나가야 하는 가치는 '민주주의'다. 

최 교수는 이날 "한국은 강력한 권위주의 국가가 위로부터 산업화를 주도한 후에야 민주화가 이뤄졌다"면서 "이런 조건 때문에 생겨난 (보수-진보 진영의) 힘 격차가 한국 보수파들이 현실에 안주하도록 하는 원천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엠비(이명박) 정부로부터 현재까지 여러 부문에서 한국의 민주주의가 후퇴해왔다고 생각한다"면서 "솔직히 말해 총선 이전까지 민주주의가 후퇴를 거듭한 나머지, 권위주의 경계로 가까워지고 있는 것 아닌가란 아슬아슬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다"고 했다. 

두 번째로 최 교수가 제시한 가치는 자유주의와 다원주의다. 이는 민주주의라는 커다란 사회 운영 원리를 떠받치는 사회적 이념이자 보조적 규범이다. 

최 교수는 "우리보다 앞서 민주주의를 발전시켰던 서구 나라들은 자유주의나 다원주의가 먼저 사회에 내면적 가치로 수용되고 자리를 잡은 뒤에 민주주의가 발전했다"면서, 그런데 한국은 "자유주의나 다원주의라는 사회적 기반을 갖지 못해 민주주의가 훨씬 취약하다"고 우선 설명했다. 

선거 제도와 같이 "민주주의를 실천할 수 있고 움직일 수 있는 최소의 요건"을 갖추고도 다원주의나 자유주의가 제대로 뿌리내리지 못한 탓에 "좋은 효과를 낳는 데 있어 서구 사회보다 훨씬 뒤떨어진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보편적 인권 확립, 자신 있게 말하는 보수가 아무도 없다"


최 교수는 특히 지난 연말 새누리당 주도로 국가정보원에 막강한 정보 수집 권한 등을 주는 테러 방지법이 국회를 통과한 것을 자유주의가 심각하게 훼손된 사례로 집어 이야기를 풀어나갔다.  

그는 "자유주의는 개인 인권과 존엄성을 존중하고 이를 중심에 두는 것"이라면서 이런 "개인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국가가 필요한 것인데, 우리는 국가를 개인에 우선하는 권위주의적 전통이 상당하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이어 "강력한 국가보안법이 이미 존재하고, 범인 체포율이 세계 최고를 자랑하며 이슬람 권역에서 멀리 떨어진 한국에서 개인의 시민권을 제한할 강력한 법(테러방지법)을 제정할 이유가 어디 있느냐"며 "보편적 인권을 확립하는 게 최고의 안보라고 자신 있게 말하는 보수가 아무도 없었다"고 비판했다.  

최 교수는 이어 다원주의의 중요성을 설명하며 새누리당에 대기업 중심성을 탈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사회적 약자들이 정치 제도권으로 들어오는 게 허용되어야 다원주의가 발전하는데, 꼭 새누리당뿐 아니라 야당도 비례대표 후보 명단을 보면 서구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 집단으로 여겨지는 노동자 농민 등 생산자 집단 대표는 보기 어려웠다"면서 이런 조건에서는 "다원주의가 발전하기 상당히 어렵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보수 정당인 새누리당이 생산자 집단들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뛰어넘어 노동자와 농민 등의 권익을 대변했으면 좋겠다"면서 "보수 정당으로서 어떤 경제 발전 정책을 추구하든 그 정책의 영향을 받는 폭넓은 이해 당사자 집단의 존재를 인정하고 타협하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당장 '비정규직 양산 정책'이라는 노동계의 강한 반발에도 노동 4법 통과 몰이에 여념이 없었던 새누리당의 모습을 지적한 것으로 풀이된다.  


"좌파라고 하면 되지 왜 종북이라 하나…배제의 언어"


마지막으로 최 교수가 새누리당에 조언한 변화 방향은 '평화 공존'을 중시하는 남북 관계 설정이다.  

최 교수는 이날 "저는 남북 민족 문제 해결에 있어 평화와 공존 외에는 다른 대안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면서 "북한을 힘으로 굴복시키려는 현재의 대북 강경 노선은 안보 위기와 전쟁의 위험성을 높이는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런 강경 대북 정책이 실제로는 '국내 정치'를 여권에 더 유리하게 끌고 가고자 적극 활용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강경 대북 정책이 결국 국내 정치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다 아시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최 교수가 지적한 대표적인 국내 정치 활용법은 '종북'이란 표현의 반복적인 사용이다. 

그는 "왜 종북이라고 부르냐. 좌파라거나 진보라고 불려야 마땅한데 종북이라고 규정해 버리면 여기서 어떤 정치적 타협이나 협력, 동반이란 것은 나오기 어렵다"면서 "용공 친북 종북과 같은 말은 한 공동체 안에서 특정 개인을 억압하는 배제의 언어"라고 비판했다. 

최 교수는 강연을 마치며 새누리당에 과거 지향적인 보수가 아닌 혁신된 보수가 될 것을 격려했다.  

그는 "새누리당은 선택의 기로에 있다"면서 "과거의 보수로 되돌아가는 길을 밟을 것이냐 아니면 경제적으로 선진국 문턱에 이른 한국이 민주주의 자유주의라는 세계 보편적 가치에 부응하면서 한 단계 높은 수준 사회로 나가게끔 하느냐란 기로에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885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173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113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6997
1175 암/Cancer의 진상을 알아본다. 유방암으로 내 가슴에서 숨을 거둔 . . 22세의 내 딸 아이의 아픔을 . . . 암 환우 2016.04.21 132
1174 괜챦은 컴퓨터 (라즈베리 파이 3) 소개! 무실 2016.04.22 118
1173 "북풍, 야당 무대응으로 힘 잃어 군대 안 간 '특권층 안보' 끝내겠다" 1 진보 2016.04.22 88
1172 슬픈 어버이. 어버이 2016.04.22 72
1171 어버이연합의 임금인상 투쟁을 지지한다!...반어 종결자. 효의나라 2016.04.22 66
1170 [성명] 우익집단 집회사주와 매수행위에 대한 국회 차원의 진상규명이 필요하다 빈곤해결책 2016.04.22 100
1169 '부패한 목회'의 수호자들 한국교회 2016.04.22 172
1168 동성애를 죄라 기록한 성경에 대한 출판을 멈춰야 한다. 눈뜬장님 2016.04.22 138
1167 영국 평등법(차별금지법) 통과후 기독교인들이 당하는 역차별 사례1 눈뜬장님 2016.04.22 135
1166 "추혜선"씨 안식교인 최초로 ...한국 국회의원에 당선되다(호남삼육고출신) 3 변화 2016.04.23 398
1165 나도 그렇게 하고 싶어 2 아침이슬 2016.04.23 111
1164 반민특위 - 승자와 패자 (친일 악질고문경찰 하판락과 친일파들) 청산 2016.04.23 67
1163 민초를 새롭게 꾸며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14 기술담당자 2016.04.23 245
1162 교회를 매춘골 로 만드는 것들 안선민 2016.04.23 178
1161 허(虛)의 여유 1 신비 2016.04.23 91
1160 빚소리 합창 공연을 보고 들었다 - (우간다 선교후원 음악회) 10 file fm 2016.04.23 243
1159 [이제는 말할 수 있다] 투기의 뿌리, 강남공화국 1 울산 2016.04.23 75
1158 도올 “김종인? 문재인? 반신반인 영웅들은 결국 죽어요 2 돌도로사 2016.04.23 110
1157 <903호> 이상구의 엘렌 화잇에 대한 재발견 1 변화 2016.04.24 319
1156 사랑하는 형제 자매님 들이여 ! file 구미자 2016.04.24 65
1155 KBS, 라디오서 어버이연합 보도한 기자 다음날 교체 2 어용이 2016.04.24 72
1154 '농촌 목회=실패' 등식에 망치질한 두 목사 1 농촌 2016.04.24 167
1153 관리자님께 4 백향목 2016.04.24 185
1152 낭떠러지서 구해놨더니 그러게요 2016.04.24 128
1151 교회의 경건한 유령들과 엠피비언적 신앙 5 아기자기 2016.04.24 192
1150 학교선 못 배우는, 내 아이에게 가르칠 것들 1 비올라 2016.04.24 94
1149 KBS, MBC는 사탄 마귀의 대리자이다. "어버이연합 보도 ‘모르쇠’" KM 2016.04.24 97
1148 쫓겨나가기 일보직전인 두 목사들이 서로 교회를 바꾼단다. 참 한심하고 비참하다! 7 쪽파린다 2016.04.25 344
» 최장집 "새누리, 보수적이되 민주적이어야 산다" "종북 등 배제적 언어 쓰면 안 돼…보편 인권 말하는 보수 돼야" 제자리 2016.04.25 74
1146 저승에 간 흥부와 놀부 3 눈뜬장님 2016.04.26 224
1145 96명 사망 참사... 법원, 27년만에 "사고 아닌 국가 잘못" 인정 2016.04.26 105
1144 사랑하는 형제 자매님 들이여 ! file 구미자 2016.04.26 68
1143 朴대통령 "소녀상 언급도 안돼" vs 日정부 "합의사항" 우기면 2016.04.26 64
1142 그런 117번, 이런 94번, 그래서 70번··· 4 우기면 2016.04.26 232
1141 중국 계림 양삭 여행 2 바다 2016.04.27 223
1140 눈먼 자들의 국가 - 박민규 (문학동네) 친일청산 2016.04.27 101
1139 유시민 명연설 노무현이 국정원 권한을 포기한 진짜 이유 1 민주화 2016.04.27 94
1138 요즘 나의 커피맛 3 이런 날도 2016.04.27 189
1137 행복한 별 빛 내리는 석촌호수의 아름다운 봄 밤 ... 9 file 난감하네 2016.04.28 208
1136 주제도 모르는 티끌이 1 하주민 2016.04.28 127
1135 사랑하는 형재 자매님 들이여 ! 1 file 구미자 2016.04.28 82
1134 곰솔목사님 보십시요. 17 시골들어가기 2016.04.28 345
1133 거리로 나온 ‘신천지’ 적반하장 시위… 시위 2016.04.29 136
1132 무감독 시험 2 바다 2016.04.30 140
1131 관리자님에게 6 지성 2016.04.30 728
1130 우리를 바꾼 청년 [전태일] 1 실크로드 2016.04.30 75
1129 한국 청소년 에이즈 환자,10년 동안 10배↑...수년 후 한국의 에이즈 환자는 10만을 돌파할 것. 3 눈뜬장님 2016.04.30 123
1128 종말론자들을 스스로 사라지게 할수있다 1 가장자리 2016.04.30 109
1127 동성애, 교황의 신세계질서와 짐승의 표 입구 [성경의 예언들 30회]- 손계문 목사 세상끝 2016.04.30 124
1126 멋지시네 대선 2016.05.01 96
1125 이 음식을 아시나요? 4 옛날 생각 2016.05.01 182
1124 사랑하는 형제 자매님들 이시여 ! file 구미자 2016.05.01 61
1123 곰솔목사님께 질문있습니다? 5 시골들어가기 2016.05.01 171
1122 프락치 - 지금도 계속되는 국가기관의 공작 그리이스 2016.05.01 73
1121 오늘의 요리 4 file 난감하네 2016.05.01 137
1120 동성애에 관한 글 삭제하려는 이유: 동성애 혐오를 혐오하기 때문이다. 김원일 2016.05.01 161
1119 기레기의 의제설정 (agenda-setting) 친일청산 2016.05.01 99
1118 4/1 '한기총, 왜 해체되어야 하는가' 서울토론회_3_손봉호(1) 봉우리 2016.05.01 111
1117 비 도 오시는데... 그냥 감상만 하시라고 올려드립니다. 6 file 난감하네 2016.05.02 204
1116 Daniel Berrigan 신부님의 서거를 애도한다. 요 아래 세상끝 님, 그 동영상 목사님도 들으시라 김원일 2016.05.02 180
1115 곰솔목사님 답을 듣고..내 부랄친구들 말을 전해 드립니다(본문질문붙임) 57 시골들어가기 2016.05.02 387
1114 스포츠로 지배하라! 5공 3S정책 스뽀츠 2016.05.02 152
1113 게시글 삭제 요청 드립니다. 4 윤태민 2016.05.02 275
1112 KASDA 권요셉님에게 부탁드립니다. 4 눈뜬장님 2016.05.03 276
1111 011회 - 언론통폐합과 언론인 강제 해직 그때지금 2016.05.03 115
1110 서울구경 2 바다 2016.05.03 178
1109 "사역자 교육" 이것은 아니겠지요 ? 11 박성술. 2016.05.04 263
1108 Al Bano & Romina Power - Felicità 상춘객 2016.05.04 136
1107 목사 아빠 “딸아, 사랑했는데”…한 인간의 완전한 실패 인간 2016.05.04 173
1106 2016년 4월 28일 뉴스타파 - 어버이연합 10년...그리고 박근혜 진박 2016.05.04 93
Board Pagination Prev 1 ...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