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6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조선일보 “5·18에 관한 한 전두환은 책임 없다”

[아침신문솎아보기] “광주 수습 3개월 뒤에 대통령 됐기 때문”… 계엄사령관 이희성 일방 주장 전달

김도연 기자 riverskim@mediatoday.co.kr    2016년 05월 16일 월요일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29998



이희성 계엄사령군 “5·18, 전두환은 책임 없다”

[아침신문솎아보기] “광주 수습 3개월 뒤에 대통령 됐기 때문”… 계엄사령관 이희성 일방 주장 전달

김도연 기자 riverskim@mediatoday.co.kr 2016년 05월 16일 월요일

16일자 주요 종합일간지 조간에는 5‧18과 관련된 기사들이 많다.

오는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이 8년 만에 제창되는지 주목됐던 터였다.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3당 원내지도부 회동 다음날인 지난 14일,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을 만나 임을 위한 행진곡을 둘러싼 갈등과 관련해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박 대통령 입장을 재차 전달했다.


정치권은 ‘전향적인 해법’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한다.

129998_170675_0623.jpg

▲ 박승춘 국가보훈처장. (사진= 민중의소리)


한겨레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 행사의 기념곡으로 당장 지정하지 않더라도, 제창을 허용하는 방안이 절충안으로 거론된다”고 말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때인 1997년부터 정부 행사에 제창됐다. 하지만 MB 정부 때인 지난 2009년부터 공연단 합창으로 대체됐다. 일부 보수 세력들은 “북한 영화의 배경음악”이라며 색깔론부터 들이댔다.


‘임을 위한 행진곡’의 작곡자인 김종률 광주문화재단 사무처장은 한국일보 인터뷰에서 “보수단체가 주장하는 것처럼 불순한 선동가가 아니”라며 “이 노래는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민주주의를 위해 죽음까지 무릅쓴 광주시민에 대한 사랑의 노래”라고 밝혔다.


중앙일보의 반응도 흥미롭다. 중앙은 16일자 사설 “‘임을 위한 행진곡’ 논란 끝낼 때 됐다”를 통해 “‘임을 위한 행진곡’은 80년대 민주화운동을 거치며 시민들의 가슴속에 살아 숨쉬고 있는 문화유산이요, 역사”라며 “이 노래에 이념적 잣대를 대거나 ‘종북’ 논란의 소재로 삼는 건 민주화정신을 욕보이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의 기념곡으로 지정 및 제창하는 데 부정적이었던 국가보훈처는 오늘(16일)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아래는 16일자 주요 종합일간지 머리기사 제목.

경향신문 <‘총선 참패’ 한 달 만에… 청와대 인적쇄신>
국민일보 <뜨는 ‘충청맨’… 靑 비서실장에 이원종>

동아일보 <‘관리형’ 靑비서실장… ‘非朴’ 與혁신위원장>
서울신문 <비서실장에 이원종… ‘협치․소통’ 나선 靑>
세계일보 <새 비서실장 이원종… 청 “소통 적임”>
조선일보 <靑은 ‘임기말 관리’… 黨은 ‘혁신 시험대’에>
중앙일보 <대통령 “협치” 이후 첫 인사 이원종>
한겨레 <홍만표, 대검 퇴임 직후 ‘저축은행 사건’ 수임 의혹>
한국일보 <靑 비서실장에 이원종… 국정 ‘안정모드’로>


129998_170674_0433.jpg

▲ 조선일보 1980년 5월25일 7면 기사.



조선일보가 5․18을 기억하는 방식

“바리케이드 너머 텅빈 거리엔 不安感만… ‘무정부 상태 광주’ 1주”


조선일보의 1980년 5월25일자 7면 기사 제목이다. 지난해 6월 기자생활 50년을 맞았던 김대중 조선일보 고문은 당시 이 르포기사를 통해 광주를 ‘무정부 상태’로, 시민군을 ‘총을 든 난동자’로 표현했다. 역사를 거꾸로 해석한 것이다.


그는 “그 고개의 내리막길에 바리케이드가 처져 있고 그 동쪽 너머에 ‘무정부 상태의 광주’가 있다”며 “쓰러진 전주·각목·벽돌 등으로 쳐진 바리케이드 뒤에는 총을 든 난동자들이 서성거리고 있는 것이 멀리서 보였다”고 했다.


김 고문은 1997년 5·18 취재 후기를 모은 ‘5·18 회고록’에 실린 ‘악연으로 만났지만 그래도 사랑하는 광주’라는 제목의 글에서 “그 기사를 쓰지 말았어야 했다는 후회를 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이 르포는 ‘왜곡’의 전형으로 꼽힌다.


광주에 대한 조선일보의 태도는 36년이 지난 지금도 달라 보이지 않는다. 16일자만 봐도 어느 정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언론이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가닥” 등으로 기사 제목과 주제를 잡는다면, 조선일보는 “‘임을 위한 행진곡’ 5‧18 기념곡 지정 어려울 듯”으로 부정적 이미지를 강조한다. 아래는 16일자 관련 기사 제목 모음.



129998_170673_0315.jpg

▲ 조선일보 16일자 6면.



경향신문 <5‧18기념식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가닥>
국민일보 <여야 협치 시험대 정국 중심된 ‘5‧18광주’ 야권 잠룡 총출동>

서울신문 <‘임을 위한….’ 제창 허용 가닥 보훈처, 오늘 발표 예정>
동아일보 <협치 첫 과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허용할 듯>

세계일보 <올 5‧18기념식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되나>
조선일보 <‘임을 위한 행진곡’ 5‧18 기념곡 지정 어려울 듯>
중앙일보 <보훈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여부 오늘 발표>
한겨레 <5‧18기념식서 ‘임을 위한 행진곡’ 8년 만에 제창될 듯>
한국일보 <임을 위한 행진곡, 5‧18 기념식 ‘제창’ 가닥>



이날 조선일보는 31면 인터뷰 기사의 제목을 “全斗煥은 12‧12와 상관있고 5‧18과는 무관”으로 뽑았다. 광주민주화 운동 당시 계엄사령관이었던 이희성의 입을 빌려 전두환에 면죄부를 줬다는 평가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희성은 지난 1997년 4월 ‘12·12 군사반란 및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재판’에서 내란 목적 살인 혐의 등으로 징역 7년을 선고받았다가 사면됐다.


그는 이날 조선일보 인터뷰에서 “전두환 보안사령관은 5‧18과는 무관하다”며 “그는 12·12와는 상관있지만 5‧18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광주에 관한 한 전두환 책임은 없”으며 “광주가 수습되고 3개월 뒤 그가 대통령이 됐기 때문”에 책임자로 지목됐다는 주장이다.

그는 5‧18에 대한 책임이 자신과 국방장관(주영복)에 있다면서 ‘누가 발포 명령을 했느냐’는 질문에 대해 “1996년 재판 당시 광주 현지까지 내려가 조사를 벌였으나 발포 명령을 내린 지휘관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다만 5월27일 전남도청 재진입 작전은 적극적이었다”며 “도청 지하실에 TNT와 수류탄 등 무기가 있었고 무장한 주동 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북에서 이를 이용 안 할 리가 있었겠느냐”고 말했다.



129998_170672_0158.jpg

▲ 조선일보 16일자 31면.



조선일보가 가해자 일방의 주장을 ‘교정’ 없이 있는 그대로 싣다보니 인터뷰 자체가 전두환의 해명으로 채워진 꼴이 됐다. 인터뷰어(인터뷰를 하는 사람)는, 조선일보 최보식 선임기자다.


전두환을 5‧18에서 분리하려는 시도는 전두환 회고록 발간 소식과 함께 눈에 띈다. 전두환 측근 인사를 통해 “(계엄군의 발포 명령에) 직접 개입하지 않았다”는 내용이 회고록에 담길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고 5·18 민주묘역을 방문할 것이라며 군불을 지피고 있는 것.


전남일보는 지난달 사설을 통해 “전두환씨는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신군부의 최고 실세로 계엄사 지휘 계통까지 모든 것을 관할하고 있었다는 것이 정황으로 드러났다”며 “소준열 계엄사 전남‧북 분소장은 ‘공수부대 기 죽이지 말라고 당시에 전 씨가 친서까지 보냈다는 사실을 1990년대 초반 본보 취재진에게 증언했다”고 밝혔다.



129998_170676_0842.jpg

▲ 전남일보 2016년 4월25일자 사설.



전남일보는 “전씨가 당시 계엄군의 발포 명령자가 아니라면 명백한 증거와 함께 명령자의 실명을 공개해야 한다”며 “최규하 대통령이나 이희성 계엄사령관 등에게 책임을 돌린다면 비겁하다”고 했다.


이어 백 번 양보해서 발포 명령자가 따로 있다고 해도 광주 학살에 대한 최종 책임은 신군부의 우두머리인 그에게 있다”고 덧붙였다.


‘74세’ 새 청와대 비서실장 이원종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이원종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 위원장(74)을 새 청와대 비서실장에 임명했다.


또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에 안종범 현 경제수석(57), 경제수석에 새누리당 강석훈 의원(52)을 임명하며 “임기 말 친정제체를 강화했다”는 평이 나온다. 안종범‧강석훈 수석 모두 ‘친박’이라는 것.



129998_170677_1014.jpg

▲ 경향신문 16일자 1면.



일단 이 신임 비서실장은 충북 제천 출신으로 민‧관선 충북도지사를 3차례 지냈고, 서울시장, 서원대 총장까지 역임했다. ‘전문 행정가’라는 평가가 따라붙는다. 이번 청와대 인사 개편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동아일보는 “4‧13총선 패배 책임과 관련한 ‘인적 쇄신’ 논란을 일단락 짓겠다는 의지로 보인다”며 “다만 예상했던 만큼 ‘개편의 폭’은 크지 않았고 오히려 친정(親政) 체제를 강화하는 내용이었다”고 평했다.


이어 “이 비서실장은 전임 이병기 전 비서실장처럼 ‘대선 공신’도 아니”라며 “이 전 실장보다 나이가 5세 많은 행정가 출신으로 ‘관리형’이 될 가능성이 높다. ‘실세’ 수석비서관들과 이른바 ‘청와대 3인방’ 사이에서 제 목소리를 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고 전했다.


이 신임 비서실장이 충청권이라는 데 언론들은 주목했다. 이 실장을 포함해 같은 날 새누리당 혁신위원장에 임명된 김용태 의원(대전)과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충남 공주) 모두 충청 인사들이라는 것.


세계일보는 “여소야대의 척박한 정치지형 속에 청와대와 당을 새롭게 바꾸고 내년 대선 승리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해야 하는 중차대한 임무가 이들 충청권 인사들에게 달린 셈”이라고 평가했다.


이 때문에 언론들은 ‘반기문 대망론’을 다시 꺼내고 있다. 이 신임 비서실장은 청와대 춘추관에서 이와 관련한 질문에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는) 같은 고향인 정도”라며 말을 아꼈다.



문고리에 밀려 떠나는 이병기?

이병기 전 실장이 사의를 표명한 표면적 이유는 ‘건강상태 악화’라고 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동아일보에 “건강검진에서도 여러 가지가 좋지 않은 신호가 있어 물러나는 것으로 안다”고 했지만 동아일보는 “업무에 대한 무력감과 비서실을 장악하는 데 한계에 부닥쳤다는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고 풀이했다.


실제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15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 실장은) 야당과 비공식적 소통을 했고 이해와 협력을 구하려고 노력했다”며 “그런 그도 세간에서 염려하던 그 벽을 넘지 못하고 퇴임한다”고 했다.


그 벽이 이재만‧정호성‧안봉근 등 청와대 ‘문고리 권력 3인방’이 아니겠냐는 추측이 쏟아졌다.



129998_170678_1126.jpg

▲ 동아일보 16일자 4면.



동아일보는 이 전 실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지난해 ‘성완종 메모’에 이름이 오른 걸 계기로 전면에 나서 업무를 챙기는 데 한계를 보이기 시작했다. 증거불충분으로 무혐의 처분을 받긴 했지만 상처를 입은 것이다. 이후 이재만 총무비서관, 정호성 부속비서관, 안봉근 국정홍보비서관 등 이른바 ‘청와대 3인방’을 비롯한 핵심 참모들에게 둘러싸여 제 역할을 찾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급기야 이 전 실장은 청와대 인사위원장을 겸하고 있지만 자신도 모르는 인사가 발표되는 경우까지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에게 소통 확대 등을 건의하기도 했지만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진 않았다는 후문이다.”



사설의 평가는?

언론사 사설들의 반응은 대체로 부정적이다.


조선일보는 신임 이원종 비서실장에 대해 “전임자보다 다섯 살이 많은 74세로, 국민 입장에서는 도저히 대통령의 변화 의지를 읽기는 힘든 인사”라고 혹평했다.


이 신문은 ‘반기문 대망론’에 대해서도 “반 총장 본인이 세(勢)가 기울어가는 당에 들어가 친박에 업혀 대선 주자가 되는 것에 고개를 쉽게 끄덕일 가능성도 작거니와 청와대가 차기 대권 문제에 개입해 성공한 사례도 없다”고 비판했다.


동아일보는 “이병기 전 실장은 청와대 3인방의 ‘문고리 권력’에 눌려 조용한 관리에 그쳤다”며 “총선 민의가 박 대통령의 일방통행 국정 운영을 심판한 만큼 이번에는 이 신임 실장 같은 가신그룹 출신보다는 직언도 마다하지 않을 외부 인사를 택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신임 실장에 대해서는 “행정의 ‘달인’일지언정 여소야대 정국에서 안보 경제 복합 위기를 헤쳐 가야 할 박근혜 정권 4년 차 청와대를 이끌 내공의 소유자로 여길 사람은 없다”며 “결국 대통령의 ‘말씀’이나 받아 적는 관리형 청와대로 계속 가겠다는 뜻”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129998_170679_1233.jpg

▲ 조선일보 16일자 사설.


한국일보는 “전임 이병기 실장도 친화력 면에서는 결코 뒤지지 않는다는 평을 들었으나 박 대통령의 불통 이미지를 개선하는 데는 이렇다 할 역할을 하지 못했다”며 “비서실장 개인의 친화력과 소통 역량이 출중하다 해도 대통령이 이를 활용하지 않으면 무의미하다는 뜻”이라고 비판했다.


경향신문은 “비서실장 교체를 통해 총선 민의를 수용하는 모양새를 취하되, 핵심 수석에 ‘진박(진실한 친박)’을 중용함으로써 임기말 친정체제를 강화한 것”이라고 총평했다.


이어 “지금은 비서실장에게 행정적 역량이 필요한 때가 아니다. 여소야대 정국에서 협치를 실현하고 안보·경제·노동·복지 등 국정과제를 풀어갈 정치적 역량이 요구된다”며 “적임자인지 의문이 드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안종범 경제수석과 새누리당 강석훈 의원이 각각 청와대 정책조성수석과 경제수석에 임명된 것에 대해서도 “안 수석의 자리 이동은 전형적인 회전문 인사”라며 “강 의원은 이번 총선에서 재선에 도전했으나 당내 경선에서 탈락한 인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대통령이 그를 ‘낙천 친박 구제용’으로 발탁했다는 의심을 지우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홍만표, ‘저축은행 사건’ 수임 의혹

정운호 네이처리퍼블릭 대표의 도.박 사건을 수임했던 홍만표 변호사가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에서 수사하던 저축은행들로부터 수임료로 추정되는 돈을 변호사 개업 직후부터 받았다고 한겨레가 보도했다.


검사장 출신인 홍 변호사가 검찰에 영향력을 행사해 정 대표가 두 차례나 무혐의 처분을 받은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주목되는 보도였다. 검찰은 홍 변호사를 소환해 어떤 역할을 했는지 조사할 예정이다.


한겨레에 따르면, 홍 변호사는 개업 직후부터 2012년 말까지 옛 현대스위스저축은행(현 에스비아이(SBI)저축은행)으로부터 32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고 국세청에 신고했다.



129998_170680_1323.jpg
▲ 한겨레 16일자 2면.


한겨레는 “매달 200만원꼴로 액수가 적은 것을 고려하면 자문료로 보이는 측면도 있다”면서도 “변호사들이 많게는 10분의 1까지 매출을 축소 신고하는 관행에 비춰보면 실제 수임료로 받았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뿐만 아니다. 홍 변호사는 보해저축은행을 자회사로 거느린 보해양조로부터 2011년 4분기와 2012년 4분기에 각각 1억원과 2억원을 받았는데, 한겨레는 이를 수임료로 보고 있다.


그가 솔로몬저축은행으로부터도 2012년 1, 2분기에 각각 600만원과 300만원을 받았다고 신고했다고 한겨레는 밝혔다.

이 기사를 후원 합니다.
  • 1,000원 소액결제
  • 5,000원 소액결제
  • 10,000원 이상 자유결제+1만원 추가+1천원 추가
  • 미디어오늘 정기구독
  • 미디어오늘 정기후원
후원하기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02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52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6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51
15245 한번 미끄러지면 끝이다. 5 무실 2014.12.19 521
15244 한발작 닥아가며 5 file 멀리서 2011.01.27 1714
15243 한반도평화포럼이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위한 국민서명운동'에 함께 합니다. 참여합시다 2014.07.07 602
15242 한반도에서 군사적 옵션은 절대로 통하지 않는다. 배달원 2014.09.12 478
15241 한반도, 8월 위기는 오고 말 것인가? 모퉁이돌 2013.08.05 1009
15240 한반도 분단, 히로시마 핵폭탄 때문이다! 민의 2015.10.03 170
15239 한민구 "軍에 친북·종북 성향 간부 존재 가능성" 흘러간노래 2014.06.28 773
15238 한미일중러는 지금 계산하기에 바쁠 것이다 1 김균 2013.04.15 1914
15237 한미연합사령관의 '기막힌' 발언, 이러고도 '주권' 말하나 1 전작권 2014.11.01 507
15236 한미 FTA와 부자들의 꼼수 서프라이즈 2011.12.03 1107
15235 한미 FTA가 핵심과 본질을 알려주는 동영상 및 각종 자료 5 한미 FTA 2012.03.14 1952
15234 한미 FTA= 뿔난 이유들 3 로산 2012.02.08 1330
15233 한미 FTA 이제 한국은 미국의 식민지다. 일본 경제평론가...(일본방송) 1 보리밭 2011.12.29 1335
15232 한명숙 인격살인 보도와 ‘노무현 데자뷰’...여론재판에 몰두하는 검찰, 알면서 받아쓰는 언론 1 주권재민 2011.01.10 1092
15231 한명숙 공대위 "결백 밝혀져…기획·조작된 사건" 주권재민 2010.12.21 2423
15230 한만선 장노님 8 fallbaram. 2015.08.10 441
15229 한마디 1 거부감 2016.09.04 373
15228 한려수도 미륵산 케이블 카 4 file 돌베개 2012.05.03 2020
15227 한달에 천만원.. 로산님에게.. 17 김 성 진 2013.03.27 1862
15226 한나라당[새누리당] "노무현 이 개새ㄲㅣ야, 육시럴 노ㅁ, 개잡노ㅁ, 불알값, 거시기 단 노ㅁ아"(내용 추가) 심판의날 2012.04.07 6014
15225 한나라당[새누리당] "노무현 이 개새ㄲㅣ야, 육시럴 노ㅁ, 개잡노ㅁ, 불알값, 거시기 단 노ㅁ아" 1 적도 2013.07.11 1509
15224 한나라당 대선불복과 막말 총정리 2 하와이 2015.02.09 340
15223 한나라당 대선불복과 막말 총정리 3 하와이 2015.04.07 202
15222 한나라당 대선불복과 막말 총정리 안성 2016.04.13 84
15221 한나라당 "노무현 이 육시럴 노ㅁ, 개잡노ㅁ 불알값을 해라, 거시기 단 노ㅁ......" 7 쌍욕 원조 2014.09.15 781
15220 한나라당 "노무현 이 육시럴 노ㅁ, 개잡노ㅁ 불알값을 해라, 거시기 단 노ㅁ......" Do 2015.05.11 285
15219 한기총..........신천지와 전면 대결 선언 새세상 2012.12.13 1211
15218 한글날 3 김주영 2013.10.09 1761
15217 한글 예언의 신 번역 오류에 대하여 16 김운혁 2014.10.25 1025
15216 한글 맞춤법 일람 1 참고 2011.07.31 1984
15215 한국판 식코 시사인 2013.12.14 1094
15214 한국천주교회 작년 대선 전면 무효화선언 논의 급물살| 2 무효화 2013.08.06 1123
15213 한국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행정목사들!! 엿 쳐 드세요!!! 나는 용감한 녀석들이다. 8 여자라서햄볶아요 2012.07.19 4372
15212 한국정서?미국정서? 지럴 2 빠다가이 2011.11.30 1639
15211 한국전 참전 용사인 성도에 축복 기도. 3 김재흠 2013.06.08 1633
15210 한국일보 워싱톤 디씨 광고 내용 file 김운혁 2014.04.24 1172
15209 한국일보 서화숙 기자 세월호 특강 '시민이여 독해지자' 1 SDA 2015.04.02 218
15208 한국일보 ‘삼성전자 백혈병 보상’ 사설, 고치고 고치고 권고 2015.07.26 188
15207 한국인이리면 꼭봐야할 동영상 대한국민 2015.04.15 151
15206 한국인의 해학 왈수 2014.04.02 931
15205 한국인의 영어를 망친 문법과 재림교인의 신앙을 망친 율법 7 fallbaram 2014.08.21 785
15204 한국인은 모두 3 바다 2011.02.01 1728
15203 한국인 급한 성질 Best 10 , 공감 100% `大폭소` 6 로산 2012.03.24 1808
15202 한국이 헬조선인 60가지 이유...박근혜정권에서 보도된 것. 5 2015.12.26 461
15201 한국이 얻어맞으면 미국이 원하는 것을 다 해준다’ 로산 2010.12.09 2068
15200 한국이 바로 하나님 계신 나라? 로산 2013.03.06 2948
15199 한국이 놀라운 60가지 ...당신은 어떠십니까? 울림 2015.12.02 108
15198 한국의 휴거 사태 때 나에게 전화했던 라시에라 기독교사 교수: 이 누리 "주류"들에게 11 김원일 2014.12.19 677
15197 한국의 축구 어린 유망주, 이를 어떻게 헤쳐나갈까. 하는 짓이 꼭 조선일보같네. 반칙왕 조선일보 !!! 박지성 2015.05.23 208
15196 한국의 종교 미래를 말하다 행복한고문 2013.04.18 1920
15195 한국의 적그리스도는 국정원. 국정원 해명 또 거짓…"다른 목표물 감염 가능" 지하방 2015.07.21 165
15194 한국의 의료보험 정말 좋은것인가? 5 배달원 2014.08.11 641
15193 한국의 안식일교인수는 얼마일까? 발해를 꿈꾸며 2010.11.14 6537
15192 한국의 신흥종교 김균 2014.10.09 532
15191 한국의 사드 배치, 아베 신조가 웃는다 3 file 친일치적 2016.02.22 60
15190 한국의 모 정당 2 로산 2011.10.29 1233
15189 한국의 금요일 오후에 읽어보는 두편의 돌아온 라이언 킹에게 딸랑거리는 잔혹사 3 김균 2013.06.27 1798
15188 한국의 간디 함석헌 12 빈배 2011.10.11 2419
15187 한국을 이제는 이용하고 버리겠다는 미국 10 배달원 2014.10.24 940
15186 한국은 기독교가 나라를 망하게 할겁니다 기독교 2014.06.13 856
15185 한국연합회장도 사찰당했다…재림교회 강력 반발 연합회장 5개합회장도 사찰 2012.06.11 2245
15184 한국연합회장님은 쿠바에 한 번 다녀올 일이다. 10억? 무슨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 6 김원일 2014.10.15 619
15183 한국연합회장 어쩔려나? (카스다 펌.전용근님 작성 글) 3 1000명목사 2014.11.18 627
15182 한국연합회의 헛발질 6 불조개 2016.07.02 287
15181 한국연합회의 인정을 받기는 싫고 재림교회는 되고 싶고. 3 로산 2012.04.26 2297
15180 한국연합회의 속임수와 거짓말. 1 여자라서햄볶아요 2012.07.28 2347
15179 한국연합회 종교자유부장 및 연합회 이단 이설 대책위 귀하 1 로산 2012.04.27 2461
15178 한국연합회 사업방향 ‘지역교회 강화’ 방향 2016.05.24 100
15177 한국연합회 발표문을 보면서...(고00 건) 2 필리페 2012.03.25 2132
15176 한국연합회 목회부에서 자급선교자들에게 십일조를 보내지말라고 교회지남에 캠페인광고했던거 기억하십니까? 1 정만섭 2016.07.03 222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