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논문 일부를 올려본다. 

지금 기독교가 없어져 가는데 지성소 문제나 따지고 있는 것이 너무도 안타깝게 여겨진다.

망해가고 있는 기독교가 다시 살아날 수 있는 길은 무엇인가? 이 문제는 여기서 다루지 않는다.

--------------

점점 좁아지는 기복적 ․ 유신론적 종교의 입지


21세기 탈현대 사회에서 전통적인 종교는 그 설 자리를 점점 잃어가고 있다. 한 때 영적으로, 심리적으로, 사회적으로, 정치적으로 인류의 풍요로운 삶을 위해 공헌한다고 여겨지던 종교가 이제 그 역할을 제대로 못할 뿐 아니라 심지어는 오히려 역기능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믿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특히 기복 일변도의 전통 종교나 정치화, 기업화, 귀족화, 폭력화 된 종교는 사람들에게 감동은커녕 많은 경우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사실을 가장 극적으로 보여주는 비근한 사례 몇 가지를 소개한다. 첫째, 최근 서양 독서계에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던 책으로 옥스퍼드 대학교 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의 <만들어진 신>, 미국의 저널리스트 크리스토퍼 히친스(Christopher Hitchens)의 <신은 위대하지 않다>, 스탠퍼드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UCLA에서 인지 신경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샘 해리스(Sam Harris)의 <종교의 종말>, 보스턴의 터프스 대학교 인지과학자 다니엘 데네트(Daniel Dennett)의 <마술을 깨다> 등이 있다. 이른바 반종교 이론의 ‘기수(騎手) 4인방(Four Horsemen)’으로 불리는 이들은 모두 나름대로의 입장에서 종래까지의 종교가 얼마나 반지성적이고 독선적이고 맹목적이고 파괴적인가 하는 것을 보여주려 하고 있다. 이처럼 종교를 반대하는 책이 이전에 없었던 것이 아니지만 우리가 특별히 주목해야 할 점은 전에는 주로 소수 지성인들 사이에서 논의되던 것이 최근에는 이런 책이 베스트셀러로 일반 독서층에 널리 펴져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둘째, 2008년 10월에는 종교 문제를 주로 다루는 미국의 코메디언 빌 마(Bill Maher)가 만든 Religulous라는 영화가 나와 현재 많은 관객을 동원하고 있다. 이 제목은 ‘종교’라는 말 ‘Religion’과 ‘웃기는, 어처구니없는’이라는 뜻의 ‘ridiculous’라는 말을 합쳐 만든 합성어이다. 제목이 말해 주듯, 종교라는 것이 얼마나 웃기고 어처구니없는 것인가, 얼마나 비합리적고 이기적인가 하는 것을 스스로 종교적으로 성실하다고 주장하는 종교인들과의 인터뷰를 통해서 폭로하는 영화다.


셋째, 최근에 들어 매주 종교의식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계속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에도 비슷하겠지만, 손쉽게 캐나다의 통계를 보면, 1985년 조사에서 매주 종교의식에 참여한다는 사람의 비율이 3명중 1명(30%) 꼴이었으나 2005년에는 5명중 1명(21%)으로 줄어들었다. 종교에 전혀 관심이 없다고 하는 사람의 비율도 과거 11%에서 22%로 2배가 늘어났다. 현재 서양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자라는 ‘종교’는 무신론 종교라는 말까지 있다.


더욱이 종교의식 불참율이 젊은 층에서 높다. 미국에서 나온 어느 연구 결과에 의하면, 미국 청소년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지역에 따라 69%에서 94%가 교회를 떠나고, 그 중에서 다시 돌아오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것이다. 성공회 주교 존 셸비 스퐁(John Shelby Spong) 신부는 미국에서 제일 큰 동창회는 ‘교회 졸업 동창회(church alumni association)’라는 재치 있는 말까지 할 정도다.


넷째, 비록 종교에 속한 젊은이라도 종교적 가치가 실생활에 거의 반영되지 않고 있다고 하는 사실이다. 다시 미국 어느 통계에 의하면 그리스도인 가정의 자녀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했는데, 성서의 세계관을 가지고 살아가는 청소년이 15%였다고 한다. 그리스도인이라 하는 청소년들과 비그리스도인 청소년들을 비교한 결과, 종교를 가지고 있거나 없거나 일상적인 윤리 생활에서 실질적으로 별 차이가 없다는 점이 밝혀졌다. 특히 미국의 경우 이른바 제1세계에서 그리스도인들의 수가 제일 많은 나라지만, <소유의 종말> 등의 책을 쓴 제레미 리프킨(Jeremy Rifkin)에 의하면, 아직도 사형 제도를 고집하는 등, 유럽 국가에 비해 그리스도의 정신이 실사회에서 적용되는 정도가 가장 낮은 나라라는 것이다.


독자들에게 이런 통계숫자를 소개한 미국 어느 보수주의 목회자 자신도 젊은이들이 ‘놀라운 숫자로’ 교회를 떠나는 이런 현실을 개탄하면서, 무슨 특별한 일이 일어나지 않는 한, 지금의 젊은 세대가 결국은 ‘그리스도인으로서는 마지막 세대(the last Christian generation)’가 될 것이라는 우려를 나타냈다.


오늘 독립적으로, 그리고 깊이 사고하는 사람들 중에는 종교가, 특히 그리스도교가, 이런 식으로 ‘배타적, 반지성적, 문자주의적, 광신적, 독선적, 독단적, 무비판적, 심지어 폭력적인 특성’을 드러내는 것을 보면서, 종교가 이럴 정도로 부정적일 수 있는가 의아해한다. 이런 이들 중 지금 현재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이런 그리스도교에 계속 머물러 있을 수 없다고 느끼는 이들이 많고, 비그리스도인이라면 이런 식 그리스도교에는 도저히 들어갈 수 없다고 생각하게 된다. 어떤 이들은 그리스도교를 포함하여 아예 종교 자체를 없이해야 인류가 더욱 평화롭고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다는 주장까지 서슴치 않는다. 이래저래 이른바 주류(mainline) 그리스도교는 점점 쇠퇴하는 실정이다.

 

한국 불교는 어떨까? 그리스도교의 형편에서 참고할 것이 많지 않을까? 몇 년 전 남양주에 있는 큰 절의 큰 스님과 대화할 기회가 있었는데, 그 스님은 단도직입적으로 “재래식 의미의 ‘종교’로서의 불교나 기독교는 그 수명을 다했다. 밭에 나가 밭 갈고 있는 농부에게 물어보라. 뭔가 빌어서 객관적으로 달라지는 것이 있는가 하고.” 하는 요지의 발언을 했다. 정곡을 찌르는 말이 아닌가 여겨진다. 최근 달라이 라마도 종교를 넘어라는 책을 통해 인간의 윤리적이고 행복한 영적 삶을 위해서는 더 이상 종래까지의 인과응보적이고 기복적인 종교를 통해서는 불가능하고 오로지 비종교적 접근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제3의 길


그러면 이런 식 종교, 특히 이런 식 그리스도교를 받아들일 수 없다면, 그대로 비종교인, 비그리스도인이 된다는 뜻인가? 현재 서양의 많은 젊은이들은 “I am not religious, but I am spiritual.” 혹은 “I am spiritual, but not religious.”라는 말을 많이 한다. 자기는 비록 전통적인 기성 종교의 설명체계나 종교 예식에서 의미를 찾지 못해 이를 거부하지만, 그렇다고 삶의 영적 차원이나 더 높은 가치를 거부하거나 거기에 무관심하다는 뜻이 아니라는 것이다. 오히려 이런 영적 가치에 대해 더욱 큰 관심과 열의를 나태나고 있지만, 전통적인 종교는 자기의 영적 추구에 도움을 주지 못하거나 오히려 방해가 된다는 뜻이다. 2010년 4월 USA Today 지 제1면에 미국 Y세대(197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까지 태어난 젊은이들) 중 72퍼센트가 자기들이 religious 보다 spiritual이라고 대답했다. Roger Housden, Keeping the Faith Without a Religion (Boulder, CO: Soundstrue, 2014), vii. 저자는 “이 숫자는 매일 불어나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면 그리스도교 전통은 아무 가치도 없는 것으로 취급되다가 결국 그 명을 다하고 말 것인가? 반드시 그렇지만은 아닐 것이라 본다. 미국 성공회 주교 존 쉘비 스퐁 신부는 기독교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Why Christianity Must Change or Die)라고 하는 베스트셀러 책을 썼다. 그리스도교가 변화되지 않으면 죽지만, 변화되면 죽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셈이다.


현재 일단의 그리스도교 지도자들은 그리스도교를 꼭 버리거나 박멸의 대상으로 여길 것이 아니라 그것을 새롭게 할 필요가 있음을 절감하기에 이르렀다. 이들은 이렇게 새롭게 태어나는 대안적 그리스도교를, 자기들 나름대로 ‘새 그리스도교(a New Christianity)’, ‘새로 등장하는 그리스도교 (the newly emerging Christianity)’, ‘새 세계 그리스도교(a New World Christianity)’, ‘뜨는 그리스도교(Emergent Christianity)’, ‘개명된 그리스도교(Enlightened Christianity)’ 등의 이름으로 부른다. 필자는 탈종교 시대에 종교가 이렇게 새로운 모습으로 새롭게 등장하는 것을 “표층종교에서 심층종교로의 심화과정”을 밟는 것이라 본다. 결국 이 시대 종교가 살아남아 사람들에게 새로운 삶을 주고 사회를 밝게 하려면 이런 심화과정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모든 각주는 생략함)


  • ?
    눈뜬장님 2016.06.23 09:40
    사람들로부터 종교를 떼내어 버리는데 사탄이 성공한 겁니다.
    그만큼 종교가 타락했다는 증거이며, 종교에 질리게 만들어
    신으로부터 돌아서게 하는데 성공했다고 봐야지요.
    반대급부로 사탄을 섬기는 종교가 늘어나는 것도 그런 맥락입니다.
    사람들은 점점 더 믿기 쉬운종교, 신비주의적인 종교,
    사람의 본능에 충실하게 만드는 종교를 좋아하는 취향으로 변해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02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52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6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51
15035 하모니카 연주곡 모음(Romantic Harmonica) , 이석화 하모니카연주 음악감상 2014.11.12 877
15034 하면 된다 아침이슬 2015.01.10 402
15033 하루의 기도 무실 2010.12.26 1730
15032 하루를 살아도 사는 맛이 나게 살며(11월 16일 출석부) 바다님 말씀 18 로산 2010.11.15 4418
15031 하루 종일 들어도 질리지 않는 연주음악, B/e/c/a/u/s/e H/e l/i/v/e/s 2 file 달수 2014.01.01 1543
15030 하루 42.6명꼴 자살…여전한 'OECD 1위' 오명 arirang 2012.09.08 1329
15029 하루 2600건…검·경, 개인 의료정보도 들춰봤다 국격을떨어뜨리다 2014.10.16 356
15028 하루 1불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file 김주영 2014.07.13 786
15027 하도 심란해서 장자에게 물어본다 2 fallbaram 2014.05.08 787
15026 하늘이 무너지면 솟아날 구멍은 없다... 9 student 2011.12.12 2923
15025 하늘이 내리신 처방이 없다.... 그래서??? 1 김주영 2010.11.20 1316
15024 하늘의학과 세상의학 2 김주영 2010.11.20 2165
15023 하늘의 전쟁 - 언젯적 이야기인가? 15 김주영 2016.03.28 378
15022 하늘을 무서워하지 않는 참람된 교황을 대적해야 합니다 3 예언 2015.09.24 154
15021 하늘에서 살고 있을 사람들이 불쌍하게도 이러고 있습니다 2 로산 2011.07.23 1621
15020 하늘에서 살고 있을 사람들이 불쌍하게도 이러고 있다 2 김균 2015.06.16 229
15019 하늘에는 영광 지상에는 평화 로산 2012.06.13 2384
15018 하늘에 죄가 있다는 논리는 또 뭐냐? 8 김균 2016.08.20 192
15017 하늘삼님 바이블 2011.09.12 1754
15016 하늘도 무너지고 땅도 꺼지고... 14 student 2011.12.15 1585
15015 하늘나라에도 야구가 있다면 가고 싶다 지대루 2015.04.25 106
15014 하늘나라에 십계명이 있을까? 15 지경야인 2014.09.29 574
15013 하늘나라는 무얼까?.....박정은 수녀의 여정은 게속된다. 1 하늘나라 2015.12.25 193
15012 하늘가는 밝은 길이 . . . . 예수공로 의지하여 . . . . 반달 2010.11.20 2362
15011 하늘 성소냐 하늘 지성소냐? 1 로산 2011.02.23 1781
15010 하늘 성소가 정결해진다는 의미 (장문입니다. 관심있는 분들만 클릭하세요) 29 file 엘리야 2016.07.08 222
15009 하느님께 따질 것이 아니라 김원일 님에게 따지기 13 빈배 2011.08.06 3048
15008 하나의 유령이 교회를 배회하고 있다 16 아기자기 2016.03.24 443
15007 하나의 벽을 넘어서 3 고문 2013.06.14 2293
15006 하나의 몸에 두개의 머리.이들 삶에 경의를 표하다. 3 여자라서햄볶아요 2012.08.09 2941
15005 하나씩 드러나는 진실. 도널드그레그대사 2014.10.10 457
15004 하나도 맞는 게 없다 로산 2011.02.16 1660
15003 하나도 거룩하지 않은, 그러나 소금 같은 변호사 박준영 2 의인 2015.12.19 193
15002 하나님처럼 온전하기 4 김균 2014.11.23 393
15001 하나님이 점지하신 대통령 후보 2 김주영 2011.08.27 1524
15000 하나님이 이상황을 예측 했다면 사랑일수 밖에 없다. 바이블 2011.09.11 1792
14999 하나님이 영원하라 명하신것은 반드시 영원함(오디오) 김운혁 2016.05.21 17
14998 하나님이 세우신 정당 한나라당의 죽음의 거래 "한나라당 디도스 공격, 1억 원 돈 거래 드러나" 트라이앵글 2011.12.14 1518
14997 하나님이 세우신 것을 교회가 무너뜨렸다! 5 김주영 2011.12.11 1906
14996 하나님이 부담스러워하는 헌금 13 강남 2011.01.19 1620
14995 하나님이 봉인해 놓으셨던 진리들에 대하여 1 김운혁 2014.10.27 461
14994 하나님이 되라는 말이 아니다. 9 김원일 2014.06.06 1036
14993 하나님이 나를 믿으시네 1 무실 2015.04.25 130
14992 하나님의교회서 말하는 안식일은 어떤날일까? *안상홍증인회만 지키는 절기 안식일 2015.12.11 116
14991 하나님의교회 안상홍님 2 그분 2015.08.14 311
14990 하나님의 피로 세운 안식일 영문 번역에 대해 김운혁 2014.07.21 695
14989 하나님의 편애 3 southern cross 2014.01.10 1280
14988 하나님의 토사구팽 (안식일 이야기) 12 fallbaram 2013.12.17 1352
14987 하나님의 젖가슴 김원일 2013.06.20 1769
14986 하나님의 자유 해람 2015.09.15 81
14985 하나님의 인을 받고자 하는 분들에게 김운혁 2014.10.31 480
14984 하나님의 인, 짐승의 표 개념 완전정복(기관장님 언급) 2 최종오 2012.12.30 1639
14983 하나님의 율법? - 웃기는 소리 6 범재신론 2014.09.25 70257
14982 하나님의 위대한 사랑의 기념비 = 안식일 12 김운혁 2014.03.29 971
14981 하나님의 용서 5 fallbaram 2015.06.15 197
14980 하나님의 예지와 예정 3 질문1 2012.10.26 1503
14979 하나님의 약속과 우리의 믿음 - 바람, 바다 님께 6 김주영 2011.12.03 1330
14978 하나님의 심사에 통과하지 못하는 교인 예언 2014.11.23 409
14977 하나님의 소원... 고바우 2011.04.21 2072
14976 하나님의 비밀이 그종선지자들에게 말씀 하신바와 같이 응하는 시기(계 10:7) 김운혁 2015.07.23 178
14975 하나님의 법은 완벽하게 지킬수 있는가 없는가? 석국인 2014.10.30 437
14974 하나님의 말씀은 어디에 있는가 8 southerncross 2014.07.31 718
14973 하나님의 뜻이라는 분들 진짜 하나님의 뜻이나 알까 로산 2013.02.21 2621
14972 하나님의 뜻 하주민 2014.11.19 487
14971 하나님의 뗑깡, 연인의 뗑깡, 그 진정한 의미--이렇게 좋은 설교 4 김원일 2012.11.16 1927
14970 하나님의 나라의 원칙인 무아의 정신은 사단이 미워하는 것이다. 2 푸른송 2012.09.29 1412
14969 하나님의 나라는 주권재민이 아닌 주권재왕(主權在王)이라 굴복지 않을 수 없으나 양심을 위하여 하라 1 purm 2010.12.20 2375
14968 하나님의 나라는 말에 있지 아니하고 오직 능력에 있음이라 5 청지기 2016.08.11 148
14967 하나님의 귀한 은총이 충만하소서 - 메리 크리스마스(12월24일 출책할까요? -한국) 7 잠 수 2010.12.23 3027
14966 하나님의 교회 분당성전 구입.축하 할 일. 2 축하 2015.05.17 355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