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58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아니면 53.1%가 '조사해야'한다는 응답이 잘못된 것일까요?






'박근혜 7시간' 물어보니 53.1%가 “조사해야” 응답

[미디어오늘-에스티아이 공동 정기여론조사] 개헌논의 찬성 52.9%, "기본권 신장 등 포함돼야" 61.1%

김유리 기자 yu100@mediatoday.co.kr  2016년 06월 27일 월요일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일 박근혜 대통령의 7시간 행적을 조사해야한다는 여론이 응답자의 절반을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새누리당이 세월호참사특별조사위원회 조사 대상에서 청와대를 제외하면 특별조사위원회 조사 기간을 연장해주겠다는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됐다. 새누리당은 이런 제안을 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미디어오늘과 여론조사기관 ㈜에스티아이가 지난 23일부터 25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본오차 ±3.1%p, 응답률 3.5%,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해 휴대전화 RDD 방식 ARS여론조사)으로 한 정기 여론조사에서 ‘세월호 참사 당일 대통령 일정과 대응을 조사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 조사해야 한다는 응답이 53.1%, 조사하지 말아야 한다는 응답이 41.1%를 차지했다.

130721_173271_1248.jpg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지난 22일 원내대표 회의실에서 열린 당 세월호 태스크포스(TF)발족식에 참석해 “청와대를 조사 대상에서 제외해주면 특별조사위의 조사 기간을 연장해주겠다는 제안을 받았지만 거부했다”고 밝혔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새누리당과 세월호 특조위 기간 연장에 관해 몇 차례 물밑 협상을 했지만 더 이제 더는 물밑협상 만으로는 여당과 협조가 불가능하다는 판단에 보고를 드리는 것”이라며 “협상 과정에서 새누리당은 성의를 전혀 보이지 않고 시간만 보냈다”며 협상 사실을 공개했다.

새누리당은 우상호 원내대표의 주장을 정면 반박했다. 더민주와 협상에 나섰던 김도읍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지난 23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혁신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우상호 더민주 원내대표에게 청와대를 조사대상에서 빼주면 세월호 특조위 조사 기간을 연장해주겠다는 제안을 했다는 것은 전혀 사실과 다르다”며 “저희들이 임의로 연장해주겠다고 조건을 달고 연장하겠다고 한 적도 없다”고 반박했다.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는 두 야당에서 세월호 특조위 기간 연장을 제안해 상당히 깊이 있게 논의했고 잠정적인 결론에 도달할 만큼 진행됐지만 원구성 협상이 본격화하면서 야당이 더 이상 요구하지 않아 지지부진하게 현재 상황까지 왔다고 부연했다.

정부는 세월호 특조위 활동 기간이 6월말로 만료된다고 보고 있으며 이후 철수를 준비 중이었다. 세월호참사가족대책위 등은 법에 정한 활동 시한 1년6개월을 특조위가 꾸려진 지난해 8월을 기점으로 산정해야 한다며 세월호 인양 작업 이후 조사 등을 위해서라도 세월호 특조위 활동 기간을 연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는 지난 25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참사 800일 범국민 문화제를 연 이후 특조위 활동 보장을 요구하는 농성을 벌였으나 경찰과 종로구청 직원들은 지난 26일 농성장을 철거했다.

정세균 국회의장이 취임 일성으로 밝힌 개헌 필요성에 다수 시민이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헌 논의에 대해 어떻게 생각 하냐는 질문에 ‘변화된 시대 상황을 반영해야 하므로 개헌 논의는 적절하다’는 응답이 52.9%, ‘민생 현안 해결과는 동떨어져 있으므로 개헌 논의는 부적절하다’는 응답이 29.3%로 집계됐다.

130721_173269_5332.jpg
▲ 정세균 국회의장 사진=포커스뉴스 


특히 개헌 논의 방향에 대해서는 정치권의 ‘원포인트’ 개헌보다는 기본권과 경제민주화 등 폭넓은 개헌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헌 범위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 61.1%는 ‘국민 기본권 신장, 경제 민주화 등도 포함하는 전면적 개헌이어야 한다’고 답했다.

130721_173274_1442.jpg

특히 모든 정당 지지층에서 개헌 논의가 적절하다는 응답이 높게 나왔으며 자신을 ‘진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일수록 ‘보수’라고 답한 응답자보다 ‘적절하다’는 응답이 높게 나왔다.

정치권이 주장하는 5년 단임제를 4년 중임제나 의원내각제, 이원집정부제 등 권력구조를 개편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한다는 논의 범위에 대해서 동의한 응답자는 20.8%에 그쳤다. 개헌 논의 범위에 대해 잘 모르겠다고 한 응답은 18.1%였다.

130721_173275_1519.jpg

박재익 에스티아이 연구원은 “정세균 신임 국회의장이 개헌 필요성을 재차 언급한 이후 1987년 이후 손보지 못한 헌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지지 정당을 가리지 않고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재익 연구원은 그러면서 “시민들은 권력구조만 논의하는 그들만의 개헌이 아니라 기본권을 신장시키고 경제불평등을 해소키실 수 있는 사회경제적인 개헌을 원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총선 후 여소야대 국면에서 야 3당의 공조에 여론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를 국정화하는 정부에 맞서 야 3당이 국정 교과서 사용을 금지하는 내용의 법안을 추진 중이다.

야 3당의 국정교과서 금지 법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46.4%는 찬성한다고 답했다. 반대한다는 의견은 35.8%였으며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사람은 17.8%였다. 연령대별로는 19~29세, 30대, 40대에서는 ‘찬성한다’는 응답이 과반 이상이었다.

130721_173272_1320.jpg

반대로 50대와 60대 이상에서는 ‘반대한다’는 응답이 더 높게 나왔다. 야3당 지지층에서는 ‘찬성한다’는 여론이 최고 77.5%(정의당 지지층, 더민주 지지층은 71.0%, 국민의당 지지층은 52.7%)로 나타났다. 새누리당 지지층에서는 반대가 54.7%로 집계됐다.

130721_173270_5332.jpg
▲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사진=포커스뉴스 


지난 4월 총선 직전 중국 내 북한식당 종업원의 국내 입국 사건에 대해서 ‘북한 식당 종업원이 자발적으로 탈북한 사건이라고 생각한다’는 응답이 52.6%였으며 ‘국정원이 관여한 총선용 북풍 공작사건이라고 생각한다’는 응답은 27.4%였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도 20%에 달했다.

자발적 탈북 사건이라는 시각이 다수였지만 ‘북풍 공작사건’으로 보거나 판단을 유보한 층도 상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내년 대선 가상 대결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3.1%로 1위로 올라섰다. 지난달 같은 조사에서 1위를 차지했던 반기문 UN 사무총장은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할 경우를 가정한 여론조사에서 새누리당의 지지율 하락과 같은 그래프를 그렸다. 반기문 사무총장 이달 지지율은 지난달보다 4.9%p 빠진 31.8%를 기록했다.

130721_173286_0828.jpg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지난달 같은 조사보다 2.2%p 빠진 16.5%로 내려앉았다. 최근 김수민 의원과 박선숙 의원 등이 연루된 당 리베이트 문제가 불거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박재익 연구원은 “반기문 사무총장 지지율은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하지만 지난달 방한이라는 반짝 이벤트 후 한 달 동안 새누리당 지지율과 동반 하락했다는 점에 주목해야할 것”이라며 “대선 확장력을 보여줘야 할 시기 해외 거주라는 약점을 극복할 수 있을지가 관심사”라고 말했다.

안철수 대표의 지지율 하락에 대해 박재익 연구원은 “정당 지지율과 대선 지지율이 모두 떨어졌다”면서도 “호남 지지율이 떨어지기는 했지만 샘플 수가 적어 정확한 호남 민심의 변화를 가리기에는 역부족이다. 조금 더 지켜봐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는 35.2%, 부정평가는 60.5%로 지난 5월 조사에 비해 긍정평가는 2.5%p 하락했고 부정평가는 0.8%p 상승했다. 정당 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 31.2%, 새누리당 29.3%, 국민의당 15.9%, 정의당 5.8% 순이었다.

지난 5월 여론조사로 비교하면 더민주만 3.4%p 상승하는 데 그쳤을 뿐이다. 새누리당은 김희옥 비대위원장의 탈당파 복당 이후 내홍, 국민의당은 김수민 의원 리베이트 의혹 검찰 조사 등 영향 때문에 각각 2.9%p, 4.4%p 하락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거지 2016.06.27 03:17
    53.1%가 죽자고 달려드는 것처럼 보이지는 않는다. 당연한 것 아닌가. 박정희라면 7시간 동안 어디 가서 숨어 있었을까?
  • ?
    박성술. 2016.06.27 10:59

    나는 한평생 자유로운 시간에 던져저 있는 사람이다
    그렇기 때문에 스스로 내 삶의 시간 을 조율 한다 는것이 너무도 무섭고 힘이든다

    대통령 이란 직책이 자유로운 시간 인가?
    그렇지 않다 고 한다
    그러면 대통령 의 시간을 누가 관리 하는가 ?

    님인가?
    그렇다면 남들의 관리평가 퍼 오지 말고
    님이 관리한것 올리시기 바란다
    대톨령 의 시간을 왜 내게 묻는가 ?

  • ?
    김균 2016.06.28 11:39
    박성술 장로님
    사람들은 관음증에 관심많아요
    나 역시도 그래요
    7시간이나 얼굴도 안 보이던 대통령이 느닷없이 나타나서
    아이들 구멍조끼 입었는데 아직도 못 건져요? 하는 멘트를 날릴 때
    장로님과 가족만 빼고 전국민이 정신이 몽롱했었어요
    엄마 앗 뜨거워
    그래서 7시간이 관심의 대상이 된 거요
    롯데호텔의 vip room에서 누굴 만났는지는 몰라도 롯데호텔 이름도 심심찮게 나오네요
    나중에 밝혀집니다 그 때가서 후회하지 않도록 입 닫고 계세요
    비서실장도 모른다고 한 행방을 우리 모두가알게 될 날 기대하세요
    진짜 재미있는 탐성소설이라니까.....
  • ?
    박성술. 2016.06.29 00:41
    집식구 하루종일 울었습니다
    제가 섬 출신 이고 기울어져 가는 그 뱃머리 잠길때 함께 울었습니다
    아래 "술술" 이라는 분이 통분하는
    대통령 7시,
    그리고 내 호작질 그림 ,
    그것이 "있는개념" 이 될려면 나도 발광질 해야 되겠지요 ?
  • ?
    명랑 2016.06.27 13:07
    앞으론 해당 사항만 짤라서 올리시면 좋겠네요
    읽어 보기도 좋고 시간 .공간 절약에
    이런기사 않좋아 하는분 배려도 하시고요.
  • ?
    술술 2016.06.27 17:47
    박성술 님이 남긴 글을 보면 어떤 때 해탈하신 분 같기도 하고(좀 달리 표현하면 개념이 없어 보이기도 하고), 무심한 분 같기도 해서(무책임 한 분 같기도 하고 해서)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시고 사는가 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물어봤던 것입니다.

    솔직히 박성술 님이 무슨 작품 세계를 탐구하는 지는 모르나, 만일 님의 사고 세계를 알면서 님의 작품을 감상한다면 참 많이 안타까울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03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53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65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52
15105 한 작은 교회가 세월호를 기억하는 방법 작은교회 2015.04.14 253
15104 한 일본인의 희생이 유대인 30,000 명을 구하다 5 옮긴자 2012.11.21 1375
15103 한 여인의 일곱 번째 남자 6 아기자기 2011.02.08 3746
15102 한 여름밤의 꿈-내용 수정 17 fallbaram. 2016.08.11 294
15101 한 여름밤의 꿈-One Summer Night's Dream 10 fallbaram. 2016.08.09 210
15100 한 신학자가 말하는 안철수 2012.08.04 2538
15099 한 신학도의 비보를 알리며 2 passer-by 2011.09.13 2558
15098 한 사람이 그리스도인으로 대한민국에 산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이명박 대통령을 보면 알 수 있다. 이해해 2011.09.23 2535
15097 한 사람도 빼놓지 말고 모든 사람에게 <재림이 매우 촉박하다>고 알려야 합니다 4 예언 2015.02.21 263
15096 한 번만 할 수도 있다는 롬니의 갬블 (로스 도하ㅌ 강철호 2012.09.06 4334
15095 한 번 구원은 영원한 구원인가? 구원의 확신의 충격적인 실체-교리개혁은 바로 이런 것을 말하는 것이다. 7 눈뜬장님 2016.08.08 191
15094 한 밤의 불청객 바다 2016.02.28 103
15093 한 목사가 목격한 사형수 8명의 최후 2 김원일 2012.09.11 3211
15092 한 명 바뀌었을 뿐인데. 서초타운 2012.05.01 2267
15091 한 때는 양심적이었지.. file 푸른송 2012.05.06 1933
15090 한 때 안식일교회 목사였던 사람이... 16 김주영 2012.02.20 2136
15089 한 대학생은 이렇게 말했다. 3 김원일 2012.12.12 924
15088 한 눈에 보는 청와대 ‘정윤회 문건 유출’ 파문 저고리 2014.12.19 416
15087 한 놈이라도 목숨걸고 싸워야" 노란리본 2014.08.16 548
15086 한 놈만 팬다 1 김균 2014.05.21 830
15085 한 건축가의 죽음 5 southerncross 2014.02.27 1232
15084 한 개인의 과거와 신상에 관한 글 삭제했습니다.--수정 1 admin 2012.03.29 2512
15083 한 가지 사실을 두 가지로 해석하는 법-시골생활님께 김균 2013.07.30 1478
15082 한 가지 물어 보려고요 3 로산 2011.12.11 1192
15081 학식이 있는 사람이 실패를 많이 하는 이유 4 예언 2014.11.14 518
15080 학생증을 손에 꼭 쥐고 발견된 학생들이 많았었다는 기사들로 미루어 !! 슬픈현실 2014.04.25 1050
15079 학생증 쥐고 간 아이들을 위한 조사: 조연희 김원일 2014.04.28 1998
15078 학생들 마음에 등을 달아주는 예수 같은 스님(수정) 5 西草타운 2012.05.29 2162
15077 학생님에게 뒤늦게 답변을 올립니다.. 2 김 성 진 2011.07.16 1668
15076 학생, 청년 전도법 1(수정: 마지막 댓글에 첫째 천사의 기별과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에 대한 명쾌한 설명 추가) 13 최종오 2012.07.15 3461
15075 학살의 종범 대한민국 학피아들의 나라 말아먹기 1 김원일 2014.06.10 906
15074 학부모의 절규"떠날 거예요....나 대한민국 국민 아닙니다" 1 내나라를버립니다 2014.04.23 835
15073 학부모 눈물의 행진. 청와대 2014.04.19 702
15072 학문과 상황에 관해 - 남십자성 님을 환영하며 13 김주영 2012.11.08 1511
15071 학교선 못 배우는, 내 아이에게 가르칠 것들 1 비올라 2016.04.24 71
15070 학교 홍보지 전락…대학언론은 정말 '노답'인가 겸양 2015.06.19 257
15069 학교 급식 이데로 좋은가? 단체급식 2012.06.29 2352
15068 하현기선생님 36 대표 2016.02.07 342
15067 하현기님! 16 file 대표 2016.02.11 182
15066 하현기님 헛 제삿밥 같은 헛교수에게 발렌타인데이에 드리는 달달한 선물입니다! 3 file 대표 2016.02.14 65
15065 하현기님 통일은 이렇게 시작하는 것입니다 통일로 2016.02.20 34
15064 하현기님 통일도 중요하지만 이 목사님 석방을 위한 탄원기도가 더 절실해보입니다. 11 대표 2016.02.18 126
15063 하현기님 9 돌배 2016.02.16 101
15062 하현기님 9 대표 2016.02.17 105
15061 하현기님 1 대표 2016.02.19 82
15060 하현기 선생이 (사)평화교류협의회 회원들에게 보내신 이메일에 여러분의 의견을 묻습니다. 적극적인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2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5.12.11 114
15059 하현기 선생님께(3) 진실은무엇인가 2016.02.19 26
15058 하현기 선생님께(2) 1 진실은무엇인가 2016.02.19 41
15057 하현기 선생님께(1) 2 진실은무엇인가 2016.02.19 65
15056 하현기 선생님! ...꼭 보시고 생각의 폭을 넓혀 보세요^^ 1 개성공단과사드 2016.02.19 46
15055 하현기 님, 접장님, 욕나오내요. 5 한마디 2016.02.14 142
15054 하하하하하 1 fallbaram 2014.12.15 585
15053 하찮은 사람의 5과 교과 2 민아 2015.05.03 200
15052 하찮은 들 풀... file 소리없이... 2016.08.07 112
15051 하지만 신앙은 궁극적으로 하나님과 씨름하는 겁니다. 김원일 2016.01.23 120
15050 하이고, 큰일이다 !!! 내가 아담스 대학 출신이란 사실을 RICHARD 학장님에게 들켰다 !!! (수정2) 3 김 성 진 2010.11.24 2494
15049 하용조 목사 장례예배 울음속에서 폭소(퍼옴) 김기대 2011.08.04 1997
15048 하와를 유혹한 뱀은 <날개있고 금빛광택이 눈부신 아름다운 동물>이었습니다 예언 2015.03.24 193
15047 하와가 선악과를 따먹지 않았다면 - 빠다가이님 2 김주영 2011.01.06 1331
15046 하여간 미국이나 한국이나 ㅉㅉㅉ 3 김주영 2011.10.19 1869
15045 하얀 비단에 싸인 밤 행복한고문 2013.03.20 1963
15044 하얀 목련 - 양희은 "하얀 목련이 필때면 다시 생각나는 사람/ 봄비내린 거리마다 슬픈 그대 뒷모습..." 1 serendipity 2014.03.31 1427
15043 하시마 섬의 민낯과 한국의 진상 한국 2015.09.14 147
15042 하시디즘 알기 제자 2011.05.20 2138
15041 하버드대학 박사 학위 논문- 일요일 휴업령 11 그날이오면 2014.11.22 545
15040 하버드 특강 - [공리주의의 문제점] 1 반달 2012.07.25 3176
15039 하박국의 딜레마 - Oslo fantasia 2 아기자기 2011.07.26 1994
15038 하물며....스다는 어떤가 하물며 2014.12.18 400
15037 하문하답: 교인들 간의 고소문제 2 33 file 최종오 2016.07.19 535
15036 하문님에게 답글, 영어권 자녀들을 위한 아스파탐 관련 자료들 2 건강 2010.11.30 2553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