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213 추천 수 0 댓글 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누리는 재림교회에서도 열린 사람들이 주로 모이는 곳입니다.

그런데 앞뒤, 꽉 막힌 중세 신학 (신앙이 아니고),

아니면 미 서부시대 교회 사조에 빠져 있는 사람들이 가끔 보입니다.

지금 21세기를 살아가는 마당에 한 귀퉁이가 무너지면 다 무너진다는 불안감 때문인지

새로운 (새롭다기 보다는 사실 예수의 Original) 관점은 무조건 거부하는 모양새입니다.

 

현재 호주 시드니에서 택시 운전을 하는 지성수 목사의 글인데,

요즘은 글 한자락 쓰기도 버겁기도 하고,

제가 하고 싶은 말을 적확하게 짚어내서 여기에 소개를 드립니다.

밑줄은 제가 요점을 강조하기 위해 임의로 친 것입니다.

 

왜 이런 목사를 (교단을 막론하고) 단 위에서는 볼 수 없는 것인지...

물론 어느 교단에서든지 단 위에 서기도 전에 아마 짤렸을 가능성이 크겠지요.

 

포스트모던 영성이란 무었인가?

19 세기 말에 "신은 죽었다!"고 니체가 외쳤을 때 아직 중세 시대의 잠이 덜 깬 사람들은

마치 불이야!’하는 외침에 자다가 깬 사람들처럼 깜짝 놀라서 '무슨 일인가? ‘고 허둥댔다.

그러나 니체 자신은 꿈에도 몰랐겠지만 니체의 이 외침은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시대의 문을 열게 되었던 것이다.

니체가 "은 죽었다(Gott ist tot)"고 선언 했을 때 의미하는 "은 기독교적인 하나님과 

플라톤의 형이상학적 세계를 통칭"한다.

따라서 이 죽었다는 것은 플라톤 이래의 형이상학적 세계,

특히 기독교적 최고 價値가 무너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니체가 부정한 것은 자체가 아니라, 偶像神, 곧 기독교의 超越的 有神論이라고 생각한다.

니체는 기독교가 현실을 부정하고 來世를 내세우며,

인간의 본능과 생명력을 억압하고, 노예 의지와 노예 도덕을 주입하여

인간이 주체적으로 가치를 창조할 기회를 박탈한다고 비판한다.

그 때까지의 타락 -구원의 패러다임의 기독교는 인간의 삶에 적대적일 수밖에 없다는 선언이다.

즉 니체는 자연스럽고 즐거워야 될 인간의 본성이 기독교에 의해서

죄스러운 것으로 매장되었다고 본 것이다.

기독교에 의한 죄의식의 강조는 땅 보다 하늘을, 정의보다 감정을,

재능의 발전보다 금욕을, 표현보다 억압에 방점을 두게 된다.

 

기독교 안에 이러한 니체의 비판에 대해서 답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언제나 역사에는 비주류가 대안을 제시했듯이 기독교에도 대안을 가지고 있는 비주류가 있다.

대표적인 존재가 11 세기 사람인 에카르트였는데 그는 죽은 다음 가톨릭에서 이단으로 단죄되었다.

교황청이 그가 무서워서 죽은 다음에 판정을 내린 것이 아니라

심판이 오래 걸려서 판결이 나기 전에 죽은 것이다.

20 세기에 들어와서 에카르트를 신학적으로 부활시킨 사람이 매튜 폭스이다.

현대에 와서는 전통적으로 종교가 담당하고 있던 역할을 심리학이 점점 많이 대신하고 있다.

매튜 폭스의 창조영성은 기독교와 심리학을 포함한 과학과 예술이 연결될 수 있는 다리를 놓는다.

매튜폭스의 창조영성의 시각에서 보면 어떤 학문, 심지어는 뉴에이지까지 갈등 없이 이해가 가능하다.

에카르트의 그리스도론은 전통적인 그리스도론과 차이가 있다.

전통적인 그리스도론에서는 예수만이 그리스도일 수 있었다.

예수와 인간 사이에는 질적차이가 있다.

원죄를 안고 태어난 인간은 어떤 노력으로도 그리스도의 분량에는 이를 수 없다.

그러나 에카르트에게서는 예수와 인간 사이에 질적 차이가 없다.

다만 인식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하나님이 기독교의 전통 안에 갇혀 있을 수는 없는 일이다.

에카르트의 평등주의적 사랑은 인간 사이의 평등뿐만 아니라 우주로까지 확대된다.

포스트모던 시대에 기독교가 살아남으려면 기독교에서 오랜 역사를 갖고 있지만

그동안 낯설었던 창조영성을 재 복원하고 보완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그러나 만병통치의 매튜 폭스의 창조영성은 추상적 사고를 넘어서

생에 대한 새로운 경외를 일으키고 인간이 살고 있는 집으로서의 우주 안에 있는

모든 생물체와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으로부터 영성을 추구한다.

매튜 폭스가 주장하는 창조영성은 이 세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

역사와 시간과 몸과 물질과 사회를 포함한다.

영은 인간의 삶에 본질적인 성분이며 바로 삶 안에서 발견된다.

그래서 창조영성에서는 곧 경제학, 예술, 언어, 정치, 교육, 성이 모두 똑같이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세상 사람들에 관한, 세상 사람들에 의한, 세상 사람들을 위한 영성이다. 사람 중심의 영성이다.

 

20 세기 말에 들어서서 인간의 사고 혹은 의식, 감정 등이 인간의 뇌에서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연구하는 뇌과학이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뇌 과학에서는 뇌의 작용을 신경세포와 신경 회로, 신경 전달물질로

중간에 매개된 것으로 보고 그것이 특정한 행동을 가져온다고 본다.

인간의 뇌 속에 엄청난 수의 뉴런이 상호 연결되어서 나타나는 것이 바로 우리의 의식이다.

뉴런의 연결과 그것의 활성화, 그리고 활동에 의해 인간의 의식과 사고가 생겨난다는

뇌과학 앞에서 아마 프로이트는 울고 가게 되었지만 기독교는 설 자리가 더욱 좁아졌다.

 

펨블턴이란 미국의 한 대학에서 첨단 뇌과학의 연구의 성과로 뇌에서 아름답다든지,

추하다든지 판단하는 신경회로를 차단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고 한다.

'칼리그노시아'라는 이 기술은 시각에는 간섭하지 않고,

단지 눈에 보이는 것을 인식하는 일에 간섭한다고 한다.

, 오뚝한 코와 뭉툭한 코의 차이는 분명히 인식하지만,

이 차이에 대해 예쁘다거나 밉다거나하는 심미적 반응을 불러일으키지 않는다.

마치 실어증 마냥 일종의 실미증을 유발시켜 외모를

미추에 대한 판단 없이 그저 외모로만 보게 만든다는 것이다.

 

그야말로 사람을 외모로 취하지 말라.’는 성경의 예수의 말씀을

과학적으로 실행 할 수 있도록 조처가 되는 것이다. 이 아니 '할렐루야!'가 아닌가?

 

옛날에는 아니 지금도 지구의 어느 후미진 한 모퉁이에서는 도를 닦기 위해서

혹은 수행을 하기 위해서 몇 년씩 동굴에 들어가 개고생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지금은 그럴 필요가 없다.

인간의 의식을 발달시키는 프로그램과 이론이 잘 발달되어 있어 돈과 시간을 투자해서

그 과정을 제대로 밟기만 하면 누구든지 도사나 선사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

심리학에서 정신분석학으로 양자심리학으로 뇌과학으로 자아초월심리학으로 학문이 발전된 탓이다.

이제 영혼을 전제하지 않아도 생물학적 기저만으로도 의식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포스트모던 시대에는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가 재정립되었다.

즉 초월적이며 동시에 내재적인 관계라는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신관은 신의 초월성과 내재성의 양극성을 포함하는 범재신론(panentheism)이다.

그렇다면 신이 초월적인 존재라는 것은 알겠는데 신이 내재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신이 초월적이며 내재적인 존재라는 것은

"우리 가운데서 우리를 넘어(beyond in our midst) 있다"라는 의미이다.

초월(transcendence)로부터 내재(immanence)로의 轉移이다.

즉 신을 밖에서 찾으려는 노력보다 안에서 찾으려는 시도가 발달되었다.

초월(超越)’포월(匍越)’은 비슷한 것 같지만 전혀 다르다.

초월이, 뛰어넘을 자에 넘을 . , ‘뛰어 넘다라면 포월은, (기다) 자에 넘을 .

그러니까 기어 넘다라고 풀이할 수 있겠다.

초월이 이곳을 훌쩍 뛰어넘어 저 곳으로 가는 것이라면, 포월은 이곳을 뛰어넘는 것이 아니라

이곳에서 이곳에 있는 것들을 끌어안고 낑낑 기어가는 것이다.

가령 선녀가 나무꾼과 아이들을 버리고 그냥 하늘나라로 승천해 버리면

초월이지만 산골에서 잘 살아서 그 산골을 하늘나라로 만들어 버리면 포월인 것이다.

우리에게 필요하고 절실한 것은 초월이 아니라 포월이다.

군대 훈련에서 제일 어려운 것이 포복훈련이다. 포복을 잘못 하면 무릎과 팔꿈치가 다 까진다.

그러나 포복에도 요령이 있는 것이다. 포복에도 높은 포복과 낮은 포복이 있어서

팔과 다리 전체로 기는 낮은 포복을 해야만 무릎과 팔꿈치가 까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신병 훈련소를 다녀온 대한민국 남성들은 다 안다.

나는 요령 있게 세상을 기어가는 것 그것이 예수 잘 믿는 것이라고 믿는다.

그런 의미에서 포월을 전도하는 인하대 김진석 교수의 아래의 시는 나의 믿음을 잘 표현해 주고 있다.

 

우리는 부처도 예수도 아니고, 노자도 공자도 아니다.

고승도 아니고 성자도 아니고 현자도 아니다.

더 이상 그런 사람이 되려고 하지도 않는다.

되려고 할 필요도 없다.

우리는 다만 겨우 기고 있는 것 같다.

더 이상 도사가 될 수도 없고 또 되려고 하지도 않으면서.

그러나 이 조금씩 기고 있음은 몰락과 퇴락의 제스처가 아니다.

낮은 데서 기는 우리의 몸과 마음은 새로운 차원의 넓이와 깊이와 거리를 가진다.

거의 제자리에서 머무르는 듯 하지만 매우 멀리 간 것과 같고,

너무 느리지만 너무 빠른 것과 같고,

너무 작지만 너무 큰 것과 같고,

너무 얕지만 깊다.

기지만 넘어가기 때문이다.

넘어갔다 다시 오면서 기기 때문이다.

우리는 초월은 안하지만 포월을 하고,

해탈은 안하지만 탈을 한다.

우리는, 세상을 구원하려고 하지 않고 할 필요도 없지만,거룩한 포월의 길을 간다.

  

우리의 세상살이는 각자의 처지와 상황에 따라 무거운 짐을 머리에 이고

등에 지고 심지어 가슴에 끌어않고 속박과 번뇌 속에서 사는 것이다.

벗어나 보려고 애를 쓰지만 애초에 그런 길은 없는 것이기 때문에 포월을 생각하는 것이다.

  • ?
    김원일 2016.07.13 18:10
    신학자 Sallie McFague의 글, "지금까지 신이라고 불렸던 존재 대신 무엇이 들어서는가?"라는 글을 (What Takes the Place of What Used to Be Called God?) 조금씩 번역해 올리고 싶어도 시간이 없어서 주저하고 있었는데, 퍼오신 이 글을 보니 욕심이 생기네요. ^^
  • ?
    Windwalker 2016.07.13 18:30
    What Takes the Place of What Used to Be Called God?
    제목만 보아도 양서인 것 같습니다.

    새로운 관점을 보여 주면서 부단히 감옥 문을 흔들다 보면
    언젠가는 자물쇠가 걸려있는 빗장이 떨어질지도 모릅니다.

    자신이 감옥에 갇혀 있는 줄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서...
  • ?
    김원일 2016.07.13 18:59
    한번 시작해보겠습니다. ^^
  • ?
    김균 2016.07.13 19:40
    댕큐
  • ?
    윤군 2016.07.13 23:08
    오, 기대됩니다~
  • ?
    의문 2016.07.14 02:23
    "우리의 세상살이는 각자의 처지와 상황에 따라 무거운 짐을 머리에 이고
    등에 지고 심지어 가슴에 끌어않고 속박과 번뇌 속에서 사는 것이다"

    이 말에는 동의합니다. 피조물인 이상, 우리는 생노병사의 고통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이를 겪으며 연약한 인간으로써 때로는 속박과 번뇌를 경험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윗 글처럼 "벗어나 보려고 애를 쓰지만 애초에 그런 길은 없는 것이기 때문에" 라는 말에는 결코 동의하기 힘들군요.

    주변을 자세히 보세요. 하나님 안에서 그 길을 발견한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천국을 발견한 사람들이 얼마든지 있습니다.

    물론, 니체의 말에서도 생각해 볼 점이 있음을 인정합니다. 하지만 그는 '초인'을 부르짓으며 너무 극단으로 치우쳤습니다. '영원한 세계'나 '절대적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니체의 사상은 결코 기독교와 양립할 수 없습니다. 피조물인 우리 인간이 어떻게 스스로를 넘어 '초인'(저는 이를 '니체의 하나님'이라 부르고 싶습니다)이 될 수 있겠습니다. 결국 극단으로 가면 필연적으로 '자기파괴'나 '붕괴'에 이르지 않을 수 없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니체도 말년에는 정신적인 붕괴를 겪고 10년 동안 미쳐 살다가 정신병원에서 그 삶을 마칠 수 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 ?
    Windwalker 2016.07.14 17:45
    (전통적) 하나님 관에서 그 길을 발견한 사람도 있겠지요.
    그러나 그런 분이 얼마나 될까요?

    제 생각에는 위약 효과 (Placebo Effect)를 진짜라고
    착각한 사람이 대다수일 것 같습니다.

    님은 니체의 말을 아직 이해하지 못하신 것 같습니다.
    전통적인 신관에 비추어서 (님이 알고 있던 또는 모시고 있던)
    신은 죽었다는 말입니다.
    새로운 인지가 필요하다는 말입니다.

    혹시 베르베르 베르나르의 "개미"라는 소설을 읽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만일 못 읽어보셨다면 한번 읽어보시기를 강력 추천합니다.

    님의 신관과 소설 속 개미의 신관을 비교해 가면서
    읽어보시면 제 말이 무슨 뜻인지 이해가 가실 것입니다.
  • ?
    의문 2016.07.14 19:42
    1. "(전통적) 하나님 관에서 그 길을 발견한 사람도 있겠지요"라는 님의 말은 결국 님의 원글의 "벗어나 보려고 애를 쓰지만 애초에 그런 길은 없는 것이기 때문에"라는 주장이 오류임을 인정하시는 셈이 되는군요.

    2.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니체의 고독한 방황', ' 니체 최후의 고백',등등 외에도 니체와 관련된 책들은 적어도 이미 15년, 어떤 것은 30년 전에 다 읽은 것들입니다. 아직 많이 부족하지만 니체의 말을 이해 못할 수준은 아닙니다.

    3. 니체가 말하는 '최고가치의 상실'과 '허무주의의 출현'은 인간이 스스로의 삶에서 하나님을 찿지 못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현상입니다. 이런 자에게는 니체가 말하듯 신은 '죽은 존재'일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을 찿은 자에게는 신은 오늘도 '살아계신 분'인 것입니다.

    4. 니체는 '근대적 가치와 도덕 및 신앙을 뛰어넘는 인간', 즉 '초인'을 부르짖습니다. 물론 이 일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인간이 피조물인 이상 '신(God)'에 대한 의지나 믿음, 혹은 소망없이 스스로 살아가겠다는 것은 결코 현명한 일이 못된다 생각합니다.

    특히 저의 경우처럼 니체의 '초인적' 삶을 살아보려 혼자 힘으로 발버둥치다 인생의 쓰라림을 깊이, 아주 깊이 체험한 사람에게는 경험적으로 더욱 그러합니다.
  • ?
    의문 2016.07.15 03:19

    윗글 4번의 내용 중 "물론 이 일은 가능합니다"라는 저의 말에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인간은 신앙을 넘어서 살 수 있을지는 모르나 피조물인 스스로의 한계는 결코 넘어설 수 없습니다.

    그러기에 수많은 사람들은 스스로의 부족함을 조금이라도 극복하기 위해 무한하신 신(God)의 능력, 지혜, 사랑을 갈구하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초인'적 태도를 가지고, '스스로의 힘으로 서라', '하면 된다', '안되면 되게 하라', '노력하면 안될 것이 없다', '등등의 말을 하며 살 수도 있습니다. 물론 이런 주장들도 일면의 진실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인생을 보다 깊이 있게 살아본 사람은 보다 겸허해지고 자신의 한계, 인간의 한계를 인정할 줄 알게 됩니다. 창조주 하나님을 인정하게 됩니다. 니체식의 삶은 마치 철모르는 어린아이가 철길 위를 걷는 삶의 태도와 다를 바 없습니다.

    본문에서 "니체는 자연스럽고 즐거워야 될 인간의 본성이 기독교에 의해서 죄스러운 것으로 매장되었다고 본 것이다. 기독교에 의한 죄의식의 강조는 땅 보다 하늘을, 정의보다 감정을, 재능의 발전보다 금욕을, 표현보다 억압에 방점을 두게 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니체의 이러한 주장은 기독교의 본질을 보지 못하고 왜곡된 표상을 보고 있는 것입니다. 저는 니체의 위 주장에 공감하기 힘듭니다.

  • ?
    의문 2016.07.14 05:10
    저는 니체의 명언으로 일컬어지고 있는 다음 말들을 저 나름대로 바꿔 말해보고 싶습니다

    너는 안이하게 살고자 하는가? 그렇다면 항상 군중 속에 머물러 있으라. 그리고 군중 속에 섞여 너 자신을 잃어버려라(니체) - 너는 이 세상에서 안이하게 살 수 있기를 크게 기대하지 말라. 그래도 안이하게 살고자 하는가? 그렇다면 군중 속에 머물러 있으라. 그리나 군중 속에 섞여 너 자신을 잃지 말라. 그 안에서 평화를 발견하라(의문)

    나를 죽이지 않는 것은 나를 강하게 만든다(니체) - 나를 죽이는 것은 나를 강하게 만든다(의문)

    실제의 세상은 상상의 세상보다 훨씬 작다(니체) - 실제의 세상은 상상의 세상보다 훨씬 크다(의문)

    내게 있어서 무신론이란 증명이 불필요한 즉각적인 사실이다(니체) - 내게 있어서 유신론이란 이 세상에 수많은 증명이 펼쳐져 있는 즉각적인 사실이다(의문)

    신은 죽었다. 신은 죽어있다. 우리가 신을 죽여버렸다(니체) - 신은 살았다. 신은 살아있다. 어리석은 우리가 신을 죽여버렸다(의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14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64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78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62
15315 로산님,잠수님,김주영님,고바우님께 에버그린 2011.04.05 4074
15314 What prayer does to your brain - 과학적인 진실 (+자료-2) 2 반달 2012.07.29 4072
15313 19 세 이상 성인들만 읽을수 있는 글.. 3 김 성 진 2012.05.18 4066
15312 아! 한국 올림픽 대표선수 - [임동현] 장/짱하다 !!! 세계 신기록을 ! (런던 올림픽) 3 반달 2012.07.27 4065
15311 진화론의 거짓말 3 바이블 2011.04.06 4064
15310 '유신의 몸'과 '광주의 마음'을 가진 그대에게 예수의마음 2012.04.01 4061
15309 내가 이곳과 카스다에서 진화론과 빅뱅을 외치는 진짜 이유.. 3 김 성 진 2011.04.08 4061
15308 [민초 가족에게 드리는 7월의 선물]: Chanrice & Dion Duet - The Whole Story (+자료수집) 7 반달 2012.07.07 4058
15307 후배! 다시는 이런 말 하지 마시오 7 유재춘 2012.06.12 4058
15306 KBS 새노조 "노무현정부 문건은 '경찰보고서' " 1 위정자들 2012.04.01 4057
15305 두 할머니들을 보며 기껏 상상한다는것이 "똥물" 이란 말인가??? 6 김 성 진 2013.02.10 4055
15304 일본, 얼굴이 두개이지요, 반고 2011.04.05 4046
15303 레위기 11장-남 대극 목사님께 로산 2011.04.06 4045
15302 ruby 님은 어떤 분일까? 6 궁금 2012.03.31 4037
15301 "겁박하는 바람에...'한명숙 9억' 허위 진술" - H건설 대표, 공판 중 검찰 주장 정면 부인... "회사자금 찾을 욕심에 거짓말" 1 주권재민 2010.12.20 4029
15300 이 게시판에 등장한 노 ㅁ팽이 12 김원일 2012.07.17 4028
15299 에버그린님, 제가 대신 답글을 쓰게 됐네요. 2 최종오 2011.04.05 4028
15298 [평화의 연찬 제51회, 2013년 3월 2일(토)] ‘건강한 재림교회 공동체를 위한 제언’ 윤선미(건강전문 테라피스트)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02.25 4027
15297 "김동은"님의 글에 관한 한 "관리자"의 답변 2 김원일 2010.12.09 4023
15296 2012년 교회주소록 소유하신 분들 보세요. 2 최종오 2012.07.04 4021
15295 재림마을에서 신천신지라는 분이 운영자에게 삭제 요청한 글 1 신천신지 2012.04.07 4020
15294 아이피 차단에 대한 변명 9 기술 담당자 2010.12.07 4020
15293 김민철님의 . . 정확한 분석에 . . 냉철한, 건설적인 진언에. . 감사하나이다 ! ! 2 반달 2010.12.07 4019
15292 어뢰 붉은 멍게’ 진실 밝힌 이주 박사 1 문무대왕 2011.04.08 4018
15291 [평화의 연찬 제72회 : 2013년 7월 27일(토)] '호세 마리아 아리스멘디아리에타(Jose Maria Arizmendiarrieta) 신부’ 최창규 장로 (사단법인 평화교류협의회 상생협력대표)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07.25 4016
15290 부여의 낙화암아 7 유재춘 2011.03.16 4012
15289 조선시대의 동성애 1 로산 2012.05.24 4011
15288 정말 울고싶다. 순분감님 꼭 보세요. 1 안도마 2011.03.16 4007
15287 평신도가 생각하는 목사의 자질 (2)--민감한 귀 4 노을 2010.11.28 4004
15286 Tebowing 열풍 열풍 2012.03.30 3999
15285 자주 지나던 청량리 588 골목과 백악관 길 4 돌베개 2011.07.13 3995
15284 국가를 사익추구 모델로 설정한 이넘은 근래 보기 힘든 넘이다.이넘은 도덕적으로 완벽하고 매우 공정한 넘이다 사람들은 이넘을 쥐박이라 부른다. 4 西草타운 2012.06.30 3992
15283 우리나라 83%는 빨갱이 빨갱이 2012.05.29 3991
15282 왕위찬탈을 노린 부부 1 로산 2012.09.12 3989
15281 [기술 관리자] 보다는 . . . [기술 담당자]가 어감이 좋습니다. 4 반달 2010.11.15 3987
15280 사월의 달력 2 1.5세 2011.04.06 3986
15279 안식일교회 목사들이 절대 설교하지 않는 성경절 "골로새서 2:16" 17 신천옹 2013.03.03 3976
15278 노아를 쥐어 짜기 - 나그네님께 27 김주영 2011.07.12 3973
15277 대화 (對話) 3 무실 2011.03.17 3972
15276 분노와 처참함 다시 느끼는 호남인들 로산 2012.04.03 3963
15275 해병대 면접과 교황권 12 아침햇살 2012.04.02 3960
15274 Somebody's Hero 1 tears 2012.04.03 3947
15273 오강남의 평화 사슴소리 2013.03.12 3940
15272 청와대도 여론조작하나? 로산 2011.04.05 3935
15271 김동은 회장목사에 대한 유감(11월 23일자) 6 김기대 2010.12.09 3927
15270 이름값 못하는 교수 ㅈ ㅌ 교수 조국 2012.04.05 3919
15269 목사의 재침례 11 김주영 2012.06.10 3917
15268 가짜 예수로 부터... 30 YJ 2010.12.16 3915
15267 모세의 나라 예수의 나라-1 1 로산 2012.04.02 3914
15266 리차드 남 아담스 대학 학장님이 나에게 쓴 사과의 글을 읽고.. 2 김 성 진 2010.11.28 3912
15265 나의 신앙.. 5 김 성 진 2011.04.06 3909
15264 다니엘 7장의 작은뿔 예언 10가지( 구약에 예언된 중세기 역사) 페론 2011.02.15 3909
15263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며 예수의 증거를 가진...? 4 고바우생각 2010.11.16 3906
15262 성서의 성(性), 노골적인(explicit)것이 아니라 여성혐오(misogyny)가 문제이다! 아기자기 2013.03.18 3900
15261 십자가 그 사랑 file 1.5세 2011.05.14 3896
15260 이상구박사는 나쁘게 말하면 어리석은 사람, 좋게 말하면 모자랄 정도로 순진한 사람.. 3 김성진박사 2011.10.14 3895
15259 할만큼 했거든 !!! 9 김 성 진 2012.07.13 3894
15258 누가 이웃인가? 5 西草타운 2012.06.03 3890
15257 붉은 멍게’소동은 상투적 선동, 터무니없는 음모로 국론 분열시키는 술수 2 문무대왕 2011.04.08 3890
15256 모임 후기 11 로산 2012.04.07 3886
15255 예언, 그거 함부로 할 것 아니더라 14 김주영 2010.12.09 3880
15254 행정위원들이 유명무실해서는 안된다. 41 행정위원 2013.02.18 3866
15253 그놈의 성경, 니 후장에나 쳐박아 넣어라 ! 2 점점 2013.02.08 3863
15252 크레딧 카드할 때 주의 사항 재정가 2010.11.29 3863
15251 그놈의 붉은 멍게... 3 file OMG 2011.04.06 3857
15250 내가 기다리는 소망 3 로산 2011.04.07 3854
15249 “새 사업하려해도 상대방 나를 알고 기겁해” 1 사찰의 추억 2012.04.05 3845
15248 아담의 범죄와 나이 2 바이블 2010.11.16 3835
15247 고요한 안식일 아침, 미치고 환장할려는 나의 마음을 커피 한잔과 가을비로 쓰다 내리며 쓰는 글.. 4 김 성 진 2010.11.20 3832
15246 안식교여, 안식교여.. 이걸 어이할꼬.. 2 김 성 진 2011.09.01 38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