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여기가 유일한, 아니면 마지막 남은 진리 교회이어서?
물론 아니다.

무슨 개뿔.


여기에 밥줄을 대고 있어서?
글쎄, 그럴 수도.

누군가는 물을 것이다.
왜 여기다 밥줄을 걸었는가.

그러나 사실 순서는 그 반대다.

여기다 밥줄을 걸었기 때문에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남아있으므로 여기다 밥줄을 건 거다.

결국, 왜 남아 있기로 했느냐는 본래의 질문으로 되돌아갈 수밖에 없다.


왜 안 떠나고 남아 있는가.


사실 한 번 떠났었다.

그런데 왜 돌아왔는가.


돌아오고 싶어서 돌아왔다.
고향이 그리워서.


내가 한국인으로 태어난 것이 내 선택이 아니었듯
내가 남자로 태어난 것이 내 선택이 아니었듯

내가 안식교인인 것도 내 선택이 아니었다.
삼대째 안식교 신학을 한 집안이다.


초중교 한 학년 윗반이었는데
예고로 진학해서
오십 년 연극, 영화배우 하는 선배 한 분 있다.

어느 날 신문에 난 향린교회 목사의 정치적 발언을 읽고
아, 이런 교회가 있었네 하면서 나가기 시작한 게 인연이 되어
지금까지 그 교회 교인이다.

스스로 한 선택이다.


나에게는 그런 선택을 할 여건이 없었다.

아니, 
여건이란 눈 뜨고 보면 있는 거고
없으면 만드는 거고
때로는 못 만들어도 행동할 수 있다.

그러나 나는 그런 선택을 할 줄도 모르는 채
내가 태어나 성장한 교단, 공동체 안에서
초중고와 대학을 다녔다.
초중고는 한국에서
대학은 미국에서.

그러다가
감리교 소속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초교파인 신학대학원 다니던 어느 날 

떠났다.


졸도할 듯 숨 막히고
까무러칠 듯 답답하고
지랄 맞게 유아기적인 동네 떠나면서
이쪽으로는 오줌도 안 누리라 했다.



왜 돌아왔는가.

부모님, 인연, 등등
좁게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렇고

좀 넓고 모호하게 말하면
고향이 그리워서였다.


잘한 결정이었는가.

그렇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


돌아온 것 후회하는가.

하기도 하고 
안 하기도 한다.

-----------------


완벽한 교단이나 교회 없더라.
하나 마나 한, 진부한 얘기다.

이 세상에 완벽한 종교, 이념, 제도는 없었고
앞으로도 없다.

여기보다 나은 동네 없더라?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나에게는 말도 안 되는 웃기는 얘기다.

없긴 왜 없는가.
천지에 깔린 게
여기보다 나은 교회, 교단이다.


모든 핵무기를 없애라고 수십 년 전에 성명을 낸 미국 주교들의 천주교,
뒤이어 같은 성명을 낸 bishop들의 북미 감리교,
해방신학을 만들어낸 남미 천주교,
여자에게 목사 안수 주고, 동성애 인정하고 포용하는 숱한 교회, 교단들,
온갖 제도적 사회악에 칼날 같은 비판을 퍼부어대며 사회에 뛰어들어 행동하는 퀘이커 계통 교회들, 등등.


그런데 왜 그리로 안 가는가.

그냥 안 간다.
고향이 원수여서.


게으르고 무책임한 이유라고 하려는가.

맞다.
게으르고 무책임한 이유다.

-------------






이 교단 희망 있는가.
없다.

세상이 이 교단을 바꾸는 것이
이 교단이 세상을 바꾸는 것보다
훨씬 빠를 것이다.

더 정확히 말하면
전자 후자 모두 요원하다.



지성소 어쩌고 저쩌고 
지지고 볶는 이 한심한 누리
누가 어디서 안수를 받았네 안 받았네
누가 누구를 고소 했네 어쨌네 
지지고 볶는 이 한심한 누리
그냥 걷어치우고 싶은 유혹 하루에도 열두 번씩 접듯

이 교단 떠나고 싶은 유혹 하루에 열두 번씩 접는다.

.............


내가 "우리"라고 말할 수 있는 공동체 여럿이다.
그 중 어느 하나도 물론 완벽하지 않다.
완벽은커녕, 그리 흡족하지 않은 게 대부분이다.

그래도 "우리"다.
나만큼 불완전하고 흡족하지 못한 

"우리"다.



이 "우리"보다 나에게 더 "우리"인 곳이
저 밖에 있다. 
여럿.

그곳에 가서 보면
내가 밥줄 걸고 있는 이 "우리"가 바깥으로 보인다.

그러니까 어쩌면
나는 저 "바깥"에서 보면 "바깥"으로 보이는
이 "바깥 우리" 안에서
오늘도 숨 쉬고 있다 하겠다.

내일은 모른다.

내가 아는 건
오늘뿐이다.

--------------


돌이켜보면
교리 때문에 이 교단에 남아 숨 쉰 적 한 번도 없었다.

지금도 그렇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

언젠가 비 내리는 날
훌쩍 차에 올라 가까이 있는 숲에 갔었다.

앞에 있는 나뭇가지 끝에서 몇 초마다 떨어지는 물방울 속에
그 주위에 있는 삼라만상이 함축되어 들어있는 것이 보였다.

조그만 물방울이
정말 주위 모든 것의 영상을 그 안에 담고 있었다.

마치 그 무게를 못 이기듯
뚝뚝 떨어지고 있었다.

떨어지면 곧
또 다른 물방울이 맺혔다.

비가 계속 오는 한
그 과정은 끊이지 않았다.


안식교.


그 물방울 안에 무엇이 담겨 있는가.

이 세상이 담겨 있다.


모든 공동체는
나름 세상을 담고 있는 물방울이다.



.................

어쩌면 T. S. Eliot의 말이 맞는지도 모른다.

우리의 탐구하는 여로는 끝나지 않거니와
그 모든 여로의 끝에 가면
거기가 바로 우리가 출발했던 지점인 것을 알게 되고
비로소 그곳을 처음으로 알아보게 된다.

We shall not cease from exploration,
and the end of all our exploring will be to arrive where we started
and know the place for the first time.

(Little Gidding 중에서)

.................





사실 한 번 떠났었다.

그런데 왜 돌아왔는가.


돌아오고 싶어서 돌아왔다.
고향이 그리워서.





돌아와서

이곳을
처음으로 알아봤다.






오늘도 나는
수없이
떠나고

오늘도 나는
수없이
돌아온다.

돌아올 때마다
나는 이곳을

처음으로 알아본다.





우리의 탐구하는 여로는 끝나지 않거니와
그 모든 여로의 끝에 가면
거기가 바로 우리가 출발했던 지점인 것을 알게 되고
비로소 그곳을 처음으로 알아보게 된다.

We shall not cease from exploration,
and the end of all our exploring will be to arrive where we started
and know the place for the first time.
















  • ?
    눈뜬장님 2016.08.01 21:32

    고단한 인생길 사느라고 고생이 많으십니다.

    고뇌없이 살 수 없는 곳이 이 세상입지요.

    사람마다 다 고뇌의 잔을 마셔야 합니다. 

    신앙을 하든 안 하든 , 고뇌는 피할수 없지요.

    아무도 대신할 수 없기에 홀로 감당해야 하는 것이고요.

    중요한 것은 고뇌의 결과가 좋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나중에 눈 감을때 살아온 날들을 뒤 돌아다 보며 

    잔잔한 미소라도 지을 수 있으면 좋겠지요..



  • ?
    김원일 2016.08.02 06:29

    Abusive한 댓글 둘 삭제하는 과정에서 가지 친 댓글까지 다 날아가 버린 것 같다.
    나도 미처 못 읽은 글이어서 아쉽다.^^
    사고 사과드린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03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53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65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52
15525 삼하 3장, 21의 리스바 이야기(보수적이고 고지식하신 분들 절대 클릭 금지) 9 최종오 2010.11.25 2526
15524 철밥통 시리즈를 마쳤는데....(1) arirang 2010.11.25 1824
15523 할 일 없는 행정위원들이 한 일들 2 arirang 2010.11.25 1475
15522 매 일, 매 시간, 예수님과 대화하고 동행하는 한 사람을 소개합니다 ! 반달 2010.11.25 1640
15521 김원일님의 글에 댓글을 다신 권모님에게 드립니다. 이건 아닙니다. 10 안도마 2010.11.25 1891
15520 모두에게 감사를 1 김기대 2010.11.25 1478
15519 목회학 최고 권위자가 말하는 목사의 자질 (1) 3 노을 2010.11.25 2352
15518 차라리 죽으라 해라! 8 유재춘 2010.11.25 2063
15517 조재경 시리즈(웃자고하는) 4 형광펜 2010.11.25 1845
15516 판소리 예수전 5 형광펜 2010.11.25 2352
15515 죄송합니다 조금만 참아주세요 7 형광펜 2010.11.25 3095
15514 목사와 싸움하기. 형광펜님에게 5 안도마 2010.11.25 1634
15513 며칠 놀다 올랍니다 13 유재춘 2010.11.25 1599
15512 11/26(금) 출석부입니다... 아무도 안 만드시면 제가 계속~~~ 13 고바우생각 2010.11.25 1360
15511 웬만해선 글을 삭제하지 않는 이유(조회 114 후 수정) 3 김원일 2010.11.25 1596
15510 youtube 펌 "하나님의 은혜" -박종호 빨간펜 2010.11.25 1999
15509 youtube 펌 - 시편 23편 - 최덕신 곡 1 빨간펜 2010.11.25 2570
15508 주여 내 손 잡아 주소서 2 잠 수 2010.11.26 2121
15507 철밥통 시리즈를 마쳤는데....(2)-박 목사님께 1 arirang 2010.11.26 1460
15506 10월의 어느 멋진 날에-정재환 장로님께 드립니다 arirang 2010.11.26 1567
15505 臥路之人 1 arirang 2010.11.26 1365
15504 쪽지함 사용 안내! 기술 담당자 2010.11.26 1294
15503 스팸 광고에 대하여 기술 담당자 2010.11.26 1312
15502 유금상님 글(#267)에 댓글 다신 "김원일"님께 3 김원일 2010.11.26 1861
15501 댓글에서 - - 원글로 옮겼습니다 ! (벌새님 참조 바람) 3 수정이 안됨 2010.11.26 1530
15500 김 OO 의사 선생님 그리고 민초스다 가족 여러분들께 드림니다. 12 richard 2010.11.26 3015
15499 필명 사용에 관한 제안 4 코스모스 2010.11.26 1556
15498 사단이 이 누리에 글을 올린다 해도(조회수 4 후 수정) 3 김원일 2010.11.26 1682
15497 *** 출석부 11월27일(토) *** 이날은 주께서 정하신 날 10 1.5세 2010.11.26 1438
15496 기술 담당자님께 2 깃대봉 2010.11.26 1336
15495 미국에서 찬송가로 불리워 지는 [아리랑] 5 file 음악사랑 2010.11.27 12177
15494 일반 기독교계에서는 어떻게 말하는가 (1) - 박수 13 진보그룹 2010.11.27 1615
15493 새 "관리자" 한 분 소개합니다.(지난 몇 분 동안 여러 번 수정했습니다.^^) 4 김원일 2010.11.27 1625
15492 이제와서 뭔 짓인들 못하랴! 유재춘 2010.11.27 1440
15491 예언의 함정 - 다시 한 번 강병국 목사님께 9 김주영 2010.11.27 2283
15490 우리는 왜 성경대로 [거룩한 입맞춤]을 하지 않고 [악수]를 하나요? 3 음악사랑 2010.11.27 2012
15489 11월28일 출석부 (나도 협박 한번 해볼까나^^) 8 바다 2010.11.27 1569
15488 안식교 신학의 미래: 당신은 안식일에 ㅅ ㅔ ㄱ 스하시는가. 38 김원일 2010.11.27 2989
15487 뉴스타트, 무엇이 문제인가? Richard 님 참조. 2 안도마 2010.11.27 1733
15486 조재경님 보세요 - 조재경님은 제 질문에 답변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31 빨간펜 2010.11.27 1714
15485 리스바! 신실함의 영향을 공부하는 중에... 고바우생각 2010.11.27 1878
15484 천기를 누설하는 자들 1 로산 2010.11.27 1580
15483 해방 신학에 대한 내 견해 2 로산 2010.11.27 2059
15482 안식교 신학의 미래, 중요한 것 하나 빠트렸다: 띨빵한 우리의 미래 14 김원일 2010.11.27 3569
15481 인사 드립니다 18 이태훈 2010.11.27 2386
15480 하나님께서는 어떤 사람들은 재림교회로 인도하시고, 어떤 사람들은 바깥으로 인도하신다. 1 둥근세상 2010.11.27 3460
15479 하나님께서는 계명만 주시지 않으셨다! 4 고바우생각 2010.11.27 2349
15478 교회에서 호칭. 6 4차원의 그림자 2010.11.28 2355
15477 리차드 남 아담스 대학 학장님이 나에게 쓴 사과의 글을 읽고.. 2 김 성 진 2010.11.28 3912
15476 허형만 목사님을 생각하며 16 유재춘 2010.11.28 4833
15475 세상에서 제일가는 . . 효도란 ? . . 젊은이들에게: 반달 2010.11.28 2992
15474 11월 29일 출석하십시오! 11 고바우생각 2010.11.28 4533
15473 이런 분 어떻습니까 3 바다 2010.11.28 3101
15472 평신도가 생각하는 목사의 자질 (2)--민감한 귀 4 노을 2010.11.28 4004
15471 로산 님, "섹 스"라는 단어 말입니다. 14 김원일 2010.11.28 3669
15470 허형만 목사님께 드린 이메일 7 김원일 2010.11.28 3293
15469 진정! . . 언론의 자유 . .를 원하시는가? 나도 한마디 . . . (섹스 라는 단어) 2 반달 2010.11.28 3524
15468 최연소자 빨간펜님 2 justbecause 2010.11.28 3178
15467 하나님은 믿을 만한 분이신가? 2 고바우생각 2010.11.29 3144
15466 사슴 두 마리 2 무실 2010.11.29 2498
15465 죽을 준비 1 무실 2010.11.29 2619
15464 외교문서로 드러난 미국의 추악한 실상 1 김원일 2010.11.29 2956
15463 헌 신발 4 저녁마을 2010.11.29 3477
15462 안나 나잇의 불 같은 정열의 생애 OH 2010.11.29 2633
15461 나는 뒷 모습이 아름다운가 (11월 30일 출석부 ) 8 바다 2010.11.29 2743
15460 가미가제 특공대에서 살아남은 청년 OH 2010.11.29 2832
15459 세 테너 이야기 OH 2010.11.29 2445
15458 [김성진 의사님]의 . . 예언의 신을 도통한 글을 읽고 . . (독후감) 1 반달 2010.11.29 2215
15457 화마에서 구원 받은 김장로 설면 2010.11.29 2574
15456 소금쟁이의 비밀 과학자 2010.11.29 281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