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25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미친 존재감’의 민주주의를 꿈꾼다.

이현우 | 서평가·

 

 

서양 민주주의의 기원이 고대 그리스의 민주주의,

특히 아테네의 민주주의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건 초등학생도 아는 상식이다.

하지만 조금 더 구체적인 실상은 어떠했을까?

얼른 떠오르지 않는다면, 우리의 상식을 조금 보강할 필요가 있겠다.

일단 기본적인 정보를 나열하면 당시 아테네의 인구는 20만~25만명 정도였고,

시민으로서 권리를 인정받는 성인 남성은 약 3만명에 불과했다고 한다.

노예와 여성이 시민에서 배제된 까닭이다.

그래도 그 3만명은 매달 수차례, 매년 40회씩 광장에 모여

국정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하고 의결권을 행사했다.

물론 다 모인 건 아니어서 한 번에 5000~6000명 정도가 참여했고,

대부분은 자발적으로 모였지만 출석 수당을 받기도 했다고 한다.

이런 것이 민주주의의 ‘기원’이라면 우리는 그보다 더 진전된 민주주의를 누리고 있을까?

 

 

어떤 기원이 모델로서의 의미도 갖는다면

노예와 여성을 배제한 아테네 방식을 ‘제한적’ 민주주의라고 평가절하할 수만은 없다.

거꾸로 그 ‘제한적’ 민주주의가 민주주의의 ‘제한성’을 말하는 것이라면?

알다시피 민주주의의 대전제는 모든 시민 혹은 국민이 정치적 주권자로서

평등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시민들 ‘사이의’ 평등이며,

모든 인간이 ‘시민’으로 인정받지는 않았다.

아테네의 경우에 노예와 여성은 생산활동과 가사노동을 전담해야 한다는 이유로

오직 성인 남성만이 정치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차별의 정당성이 아니라 두 가지 활동의 병행이 어렵다는 인식이다.

 

 

가령 아테네에서 공무원이나 법관 같은 공직은 1년 임기의 추천제였다.

요즘 초등학교 일부 교실에서 반장을 돌아가면서 맡는 식이다.

그렇게 시민권을 가진 자는 누구나 공직자가 될 수 있었지만

무보수 명예직이어서 돈벌이가 되지는 않았다.

거꾸로 그럼에도 공직을 맡을 수 있었던 건 모든 시민이 어느 정도는

먹고살 만했기 때문이다. 생활수준을 유지할 수 있었기에

공직을 사익추구를 위한 수단으로 삼지 않고,

시민으로서의 명예와 공익을 위해 봉사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아테네식 민주주의가 시사해 주는 것은 민주주의에서 ‘물적 토대’가 갖는 의의다.

민주주의는 ‘깨어있는 시민의식’만 가지고 작동하는 제도가 아니다.

그것은 노예적 삶으로부터 해방된 시민을 필요로 한다.

 

 

‘잉여’라고 자칭하는 요즘 젊은 세대 사이에서

정치와 민주주의에 대한 냉소가 만만치 않다.

“민주주의가 되어도 내 삶은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내’가 참여할 수 없다면, 그것은 ‘당신들의 민주주의’다.

마치 노예와 여성의 입장에서 바라본 아테네 민주주의처럼 말이다.

구조적인 취업난 속에서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없는 다수의 청춘들이

“우린 아직 인간이 아니다”라고까지 말한다.

그들의 모습을 담은 책 제목을 빌리면 ‘이것은 왜 청춘이 아니란 말인가’라고 항변한다.

물론 ‘비인간’으로 내쫓기는 것은 청춘들만이 아니다.

우리시대 다수의 비정규직 노동자들 또한 ‘시민’의 삶이 아닌

‘난민’의 삶으로 내몰리고 있다. 그들의 목소리를 틀어막고

정치적·제도적 공간에서 배제하려 한다는 점에서 우리의 민주주의는 어쩌면

그리스의 제한적 민주주의를 충실히 따르고 있다.

시민과 비시민을 분할하는 민주주의 말이다.

그렇다면 민주주의란 원래 그런 것이라고 말해야 할지도 모른다.

다른 가능성은 없는가? 혹 모든 구성원을 주권자 시민으로서 포함하고 대우하는

민주주의를 우리는 새로 발명할 수 있을까?

유행하는 말로 ‘미친 존재감’을 자랑할 만한 민주주의를 잠시 꿈꾼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02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52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6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51
195 "우리 아빠 짱이라고 쓸 거야, 아빠니까" 풍자 랩 '내가 역사를 쓴다면' 무료 공개 풍자 2015.11.15 138
194 "외로워마소... 물 밖도 차고 깜깜하오..." file 눈물 2015.04.15 97
193 "외국 관광객이 메르스 걸리면 3천 달러 주겠다!" 하! 2015.06.17 74
192 "옥스포드 대학교에서 엘렌 화잇을 선지자로 인정한 책이 나온다면서요" 5 file 김주영 2014.04.05 1216
191 "오직 성경으로“ 2 로산 2012.09.23 1285
190 "오직 성경만이 판단기준이다" 가 구호가 되어야 한다. 4 김운혁 2014.04.27 766
189 "오직 성경"의 양가성/양면성. 13 잔나비 2012.10.29 1229
188 "오준" 그는 세계의 양심을 울렸다! 7 일휴당 2014.12.30 540
187 "오마바 태통령 제수잇 신부를 미국의 국제종교자유 위원으로 위임했다!" 1 forerunner 2014.08.10 890
186 "예언의 신"이 내 일생을 뒤집어엎어 버린 사연 12 김민철 2011.10.31 1604
185 "예수가 미쳤나 보다, 지 자식도 못 알아보고" 인디 2015.01.03 706
184 "영화인들이 왜 정치투쟁 하냐고? '이명박근혜' 거치며 많이 참았다" 잼보리 2014.10.31 530
183 "연좌제? 아직도 박근혜의 8할은 박정희다" 로산 2012.03.17 1093
182 "여자는 '한 끼' 식사, 남자는 바로 쏴 죽였다" 2 재림 2015.04.08 174
181 "언제든지 찾아오라고요? 그건 박 대통령의 거짓말" 1 아리랑 2015.05.02 256
180 "언론, 세월호 침몰에도 박근혜 리더십 찬양" 가족 2014.10.31 460
179 "어둠이 빛을 이기지 못하더라"를 이겨내기 - 1 46 잔나비 2012.11.08 1862
178 "어두움이 빛을 이기지 못하더라"를 이겨내기 - 3 30 잔나비 2012.11.16 1818
177 "약자의 눈물 닦아주는 정치인" - 재림신도들이여 행동할 때 입니다! 계명을 2015.09.12 214
176 "약자 사랑? 듣기는 좋은데 하기는 정말 어렵네요" [인터뷰] 20년 넘도록 이주민을 섬겨 온,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대표 한국염 목사 좋은사람들 2014.10.21 498
175 "안식후 첫날"(막16:2,눅24:1,요20:1) " 안식일이 다하여 가고"(마28:1) 번역상 오류에 대해 46 김운혁 2014.02.25 1325
174 "안식후 첫날"(X) 오역, / " 주일중 첫날"(O)올바른 번역 김운혁 2014.10.23 340
173 "안녕"...추모곡 1 추모 2014.04.28 749
172 "아들은 공기야. 엄마가 숨 쉴 수 있는 공기" 세월호 유가족 인터뷰집 출간 1 이너뷰 2015.01.12 431
171 "아내가 갑자기 욕을 하네요..이런 개떡 같은 나라" 3 노란리본 2015.04.08 305
170 "신학자는 세월호 참사에 무슨 말을 할 것인가" - [인터뷰] 177명의 신학자들을 광화문광장으로 이끈 감리교신학대학교 이정배 교수 동해바다 2014.11.23 493
169 "신천지와 관계 사실 아니다" 주장에도 불구하고... 새세상 2012.12.12 1060
168 "신천지는 반사회적 반인륜적 집단" 폭이 2015.08.12 234
167 "신을 만났길 바래" sprout 2015.04.29 111
166 "시,군,구에는 합동분향소 설치 말라"=안전행정부공문....xxx 미치 ㄴ놈들이다. 합동분향소 2014.04.26 981
165 "스무 살 될 수 없는 열일곱의 너, 아주 예뻐". [세월호+500] 참사 500일 추모문화제 pam 2015.08.29 123
164 "순복음교회 교인 출가하다" 1 돌베개 2012.09.20 1389
163 "소리의 뼈"가 튀어 나올 때 4 아기자기 2014.11.30 564
162 "세월호 참사 통해 생명과 공동체 가치에 새롭게 눈 떠" 단계 2015.01.27 327
161 "세월호 참사 첫 날 같다"... 컨트롤타워 또 '작동 정지'. 세월호 첫날, 세월호는 오전 8시 30분부터 침몰되는데, 오후 5시 30분에 대책반에 나와서 하는 말이 "구명조끼 입었는데 왜 못 구하나요?"라고 한 박근혜 대통령 지우개 2015.06.03 197
160 "세월호 당일 '대통령 7시간' 따지는 게 정치적?" 울음표 2015.11.21 84
159 "세월호 '에어포켓' 쇼였다…유독성 공기 주입" 2 배달원 2014.06.29 668
158 "세상만사 살펴보니 .." 머(어)루 2011.01.17 1250
157 "서해 5도 제외시킨 건 박정희…NLL 논란의 불씨" 엔엘엔 2013.07.10 1414
156 "서기 31년도 십자가설"의 진위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 13 김운혁 2014.04.12 779
155 "서구인"님의 댓글을 삭제하며 이 누리의 모두를 위해 한마디 9 김원일 2014.10.18 558
154 "생존자가 왜 죄인인가요?" 2 노란리본 2015.04.08 176
153 "새빛" 에 대한 개괄적 설명 동영상 김운혁 2014.03.16 1087
152 "새로운 교회"의 탄생을 응원하며(접장님 죄송합니다. 설교가 너무 좋아서 제가 그만...) 14 백근철 2013.09.21 2660
151 "새 세상에는 국경이 없다" (캐나다 한국일보 2014년 8월 27일 수요일)/ 명지원((사)평화교류협의회 상생공동대표 - "기성세대와 젊은세대 모두에게 우리 민족에 대한 역사와 통일에의 열망을 일깨우는 글을 선물로 드립니다." file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4.08.29 588
150 "사탄 짓 그만둬라"... 친정엄마의 의절 선언 삼손 2015.03.19 342
149 "사제단이 빨갱이? 예수도 사탄이라 욕 먹었다" 4 2014.09.28 544
148 "사랑 앞에 님의 위선을 버려야 한다" 고.....에라이! 예수를 똥물에 튀기고도 남을 인간들아!!! 20 愚者 2013.02.12 3082
147 "쁘띠 부르조아"의 이야기 투...언폴딩님께 1 student 2011.12.01 1382
146 "쁘띠 부르조아" 이야기 3. student 2011.12.01 1247
145 "비가 되어 내리는 시"- Rain of Poems 북인권 2013.05.31 1791
144 "부모 모시는 문제로 파경", 한 주부의 글 인터넷 달구다 살다가 2011.07.25 1601
143 "부끄러워할 줄 모르는 박근혜 대통령 ... 부끄럽다" [이대근 칼럼] ‘산케이 사건’ 본질을 직시해야 엄마아빠 2014.10.15 546
142 "보수 기독교, 신촌에서 물병던지고 폭력 난동" 한마당 2014.06.07 929
141 "보도통제 거부에 사상초유 언론탄압" 유머 2011.01.24 1376
140 "배가 뒤집혔는데 왜 대통령 욕을 해도 되나?" - 어머니 말씀 5 file 김주영 2014.05.16 1384
139 "밤에 잘 자고 싶다면, 화장실 불 끄고 양치하세요" 1 꿀잠 2015.11.01 212
138 "박창진이 말 안했더라면" ... 헷갈리는 조현아 반성문 고자식 2015.02.14 407
137 "박정희에 고통받고, 그 딸에게 죽을 위기 처했다" 2 농민 2015.11.21 138
136 "박정희, 공산당 들어가 혼자 살고 남 다 죽인 사람" file 역사 2015.11.20 110
135 "박근혜가 대통령 안 되면 동성로에서 할복하자!"는 박근혜 후보 찬조 연설 배우 강만희. "우리가 남이가!"라며 영도다리 밑에 빠져죽자는 김광일이가 생각나네 대통령선거 2012.12.15 1386
134 "박근혜, 제2의 '6·29 선언' 터뜨릴 수도" 불어라~ 2012.05.07 1910
133 "박근혜 새누리당, 부패와 통합했다" 2 로산 2012.12.13 1206
132 "박근혜 뒤늦은 눈물, 연출이 심했다" [대국민담화 분석] "지방선거 전 국면 정리 의도 강해" ----- 기존 대책 망라, 실종자 수색 와중에 해경 해체? ----- "눈물, 감정의 과잉" 2 슬픔 2014.05.19 883
131 "박근혜 대통령감 아니야" 4 로산 2012.12.03 1721
130 "박 대통령, '위로한다' 한 마디 해줬다면…" 인터뷰] 판교 사고 유가족 대표 한재창 씨 3 판교 2014.10.23 536
129 "믿음으로 서리라" 믿음 2014.10.04 591
128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와 한국판 부자와 나사로 이야기 돌베개 2011.11.17 1704
127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 도대체 말이나 되는 말인가? 3 돌베개 2011.11.16 1078
126 "믿는 사람이 실존적으로 참여하지 않으면 예수의 피는 믿는 사람에게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 성경적인가? 10 계명을 2015.08.23 217
Board Pagination Prev 1 ...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