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2462 추천 수 0 댓글 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제목이 좀 오만방자해서 죄송합니다)


Adventist New Network에

EU의 일요일 법 소식이 실렸다. 


http://news.adventist.org/2011/06/religious-liberty-ad-2.html


그 뉴스에 달린 댓글들이 자못 비장하다. 


'예수님이 곧 오신다는 말 외에는 할 말이 없다'

'계시록 예언의 성취다'

'일요일 법이 내리면 예수님의 지성소 봉사가 끝난다'

'미국을 잊지 마라.  미국이 이 모든 일을 선도하게 되어 있다.'

'하나님을 의지하면 우리는 두려워 할 것 없다'

'이런 일들이 일어나는데 우리 교회 지도자들, 합회들은 왜 잠잠하고 있는 거야?'

등등을 비롯해

'예언을 살펴보면 일요일 휴업령의 정확한 시간을 알 수 있다.

우리에게는 10년 정도 남아 있다'

까지...


도대체 백성들을 어떻게 교육을 시켰길래

이런 말들이 나올까?


왜 안식일교인들의 일부는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있는 그대로 제대로 보지 못하는 것이며

어째서 그런 오도된 시각이

좋은 믿음인 것 마냥 오해되고 있는 것일까

왜 지도자들은

이런 것들을 나서서 바로잡고 제대로 가르치지  않는(못하는) 것일까?


----------


EU 의 일요일 법의 내용과 저의는 무엇인가?


유럽은 지금은 명실공히 세속국가들이지만 

수백년동안 일요일 휴무가 관습법으로 철저히 지켜지고 있었다. 


최근에 경제난등으로

미국식의 주 7일 24시간 돌아가는 경제의 물결이

조금씩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몇년 전에 프랑스 파리의 루이뷔통 본점의 일요일 편법 영업이 문제 되었던 일이

카스다에 올라온 적 있었다. )


복지를 지향하는 세속유럽이 이를 가만히 보고만 있을 수는 없음은 자명하다. 

노동자의 복지, 건강 등의 이유를 들어

그동안 향유해온 보장된 휴일이 잠식되는 것을 막는 법을 만들자는 것이다. 


카톨릭과 기독교는 어떤가?

가뜩이나 유럽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데

보장되어 왔던 일요일 휴무가 없어지면

그나마 겨우 유지되던 교회 예배등은 어떻게 된다는 말인가?


이들이 앞장서서 일요일 휴무법을 찬성하고 있음은 당연하다.

살기 위해서다. 


EU의 일요일법은

지금까지 관습적으로 누려  왔던 일요일 휴업이 무너져가고 있기 때문에 나온 법이지

일요일 휴업을 시작하고 강제하려는 법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총회도 잠잠하고 있고

(ANN 뉴스에 의하면 아예 우리 교단의 입장은

이 법의 정신에는 찬성하나 그것이 꼭 일요일이어야 한다면

종교자유 침해의 소지가 있다

는 정도다)


토요일을 안식일로 지키는 유럽의 유대인들도 별 반응을 안보이고

유럽에서 가장 빨리 늘어나고 있는 회교도들도 조용히 있는 것이다. 


------------


우리 교인들이 

일요일 법의 일자만 나와도

마치 세상 끝나는 것처럼


아니

일요일 법의 일자가 나와야

세상이 끝나는 것처럼


그렇게 믿고 반응하게 된 것은

누구의 책임인가?


-------


교단의 지도자들과 교단 언론들과

목사들과 장로들께 

간곡히 부탁드린다. 


제대로 가르치지 않는 것은

태만을 넘어

거짓선지자 거짓교사 노릇 하는 것이다. 


지금처럼 정보가 널린 세상에

잘 몰라서 그랬다는 것은

지도자가 할 수 있는 말이 아니다. 


예수님께서 마태복음 24장에

주의 임하심과 세상 끝에 무슨 일이 있겠느냐는 제자들의 질문에

제일 처음 하신 말씀이 그것이었다. 


너희가 사람의 미혹을 받지 않도록 주의하라. 


교단의 지도자들과 교단 언론들과

목사들과 장로들께 

간곡히 부탁드린다. 

미혹하는 거짓 선지자, 거짓 교사 되지 마시기 바란다. 








  • ?
    글쓴이 2011.07.22 01:28

    로산 장로님.  이건 퍼 가셔도 됩니다^^

  • ?
    로산 2011.07.22 12:28

    장로님글은 전부 퍼다가 묻어 뒀습니다

    그것 없다한다고

    김균의 7대 불신이란 닉네임을 받았습니다

    영광뿐인 상처입니다

    그래서 재림 마을에 2개월 접근 금지 받았습니다

    앞으로 영원히 접근 금지 될 겁니다

     

    저들만의 리그를 구경하면서......

  • ?
    글쓴이 2011.07.22 14:40

    저도 제 글을 저장하지 않는데 어찌...

    옐로우 카드 받으셨군요. 

    레드 카드는 피하십시오. 

  • ?
    필리페 2011.07.22 01:48

    지금 한국 재림교회에서는 위성전도회 후 일요일휴업령(EU 및 미국에 곧 도입된다)  이야기가 재림(종말)의 징조로 적극 활용되고 있는 듯 합니다.

    김주영님께서 유럽의 일요일 법  역사와 현재의 도입배경,진행정도를 좀 더 심도있게 설명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우문 같습니다 만,유럽과 미국일부에서 거론되는 일요일법이 과연 재림교회에서 말하는"종말론으로서 일요일휴업령" 으로 타당성을 갖는 것인지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제가 잘 몰라서 그렇습니다.

  • ?
    김주영 2011.07.22 05:53

    설마 한국교회 분위기가 그러려구요.

    연합회장님이 나서서 전도회 강사까지 하셨는데

    그런 무책임하고 무지한 일들이 번지게 놔 둘까요?

     

    미국의 일요일법에 관해서는 10여년 전부터 카스다에 신물이 나도록 썼었습니다. 

    엘렌 화잇이 대쟁투에서 말한 일요일법은 19세기 미국의 당면한 현실을 이야기한 것이었고

    현재 미국에서는 일요일법의 자취들이 없어지고 있습니다. 

    요즘도 심심치 않게 올라오는 뉴스들이 '어느 주의 블루법이 폐지되었다.  어느 카운티의 블루법이 폐지되려고 한다' 

    이런 내용들입니다. 


    유럽의 일요일법은 이 글에서 말씀드린대로

    수백년, 아니 천년 이상 습관으로 누려 오던 일요일 휴업이 

    미국식 자본주의 영향으로 잠식되려 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반동입니다. 


    말씀하신 '재림교회에서 말하는 종말론으로서의 일요일휴업령' 은

    미국과 카톨릭과 개신교가 손을 잡고

    미국이 헌법을 개정하여

    국가권력이 일요일을 예배일로 강제하고

    불복하는 사람들을 핍박, 사형까지 하게 된다는 시나리오입니다. 


    19세기에 목하 진행중이던 상황에서는 그런 믿음이 가능했겠지만

    우리 시대에는 타당하지 않은 이야기입니다. 


    마치

    곧 노예제도가 부활될 것이다

    여자들은 참정권을 박탈당할 것이다

    금주령이 다시 내릴 것이다


    라든지


    곧 갓쓰고 짚신 신고 다녀야  하는 법이 만들어질 것이다

    라는 정도로 

    시대와 안맞는 이야기입니다.  


    '아니다, 저 카톨릭을 봐라.  개신교를 봐라

    유럽을 봐라

    아직도 일요일 지키자고 하지 않느냐'


    라고 하는 것은 


    '보아라, 아직도 사람들을 노예처럼 혹사시키는 일들이 있지 않냐'

    '여자들은 아직도 2류 시민 취급 받지 않냐'

    '개신교에서 금주 연맹이 만들어지지 않냐'

    라든가


    '저 청학골을 봐라.  갓 쓰고 짚신 신고 사는 사람들 아직도 있지 않냐'


    라는 논리와 같습니다. 


    나중에 좀 더...


  • ?
    passer-by 2011.07.22 04:19

    이게 공포주의라는 동산에 자생하는 거짓 종말론이 아니고 또 뭐겠습니까?

    "정보는 부정확해도 좋다, fact는 아니어도 좋다, 어쨌든 교인들을 경성시킬 수만 있다면......"

    기관도 교회도 모두 이런 생각들을 가지고 있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것이 교인들에게까지 학습된 거고.

  • ?
    글쓴이 2011.07.22 05:56

    공포는 때로 잘 듣는 처방인 것 같지만 길게 보아서는 실패할 수 밖에 없습니다.

  • ?
    미혹ㅎㅎ 2011.07.25 04:08

    Vatican official exhorts Catholics to set aside Sundays for God and rest 

     Rome, Italy, Jul 19, 2011 / 01:48 pm (CNA/EWTN News).- Sunday should be a day for worship, rest and time with family and friends, said Monsignor Miquel Delgado Galindo, under secretary for the Pontifical Council for the Laity.
     
    “The Church teaches us to set aside this day, the first day of the week on which we remember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for divine worship and for human rest,” the monsignor recently told CNA.
     
    “On Sundays Catholics should participate in the Holy Mass, the unbloody renewal of Christ’s sacrifice on the cross” and “the greatest expression of worship and adoration that man can offer to the Lord our God,” he said.

    Sundays should also be a day “devoted to rest with family and friends,” he added.
     
    Msgr. Galindo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Blessed John Paul II’s 1998 Apostolic Letter, “Dies Domini,” which exhorts the bishops, the clergy and the lay faithful to keep Sunday holy and to treat it as the Lord’s day.
     
    “We need to realize that we need more time with family and friends. It is hard to give them time during the week because of our professional and social commitments,” he noted.
     
    Sunday rest is “a human necessity,” he continued. 
     
    “Man cannot always be working, just as a bow cannot be constantly pulled back, because at some point it will break.”
     
    Catholics should not see rest as “doing nothing,” but rather as time in which they devote themselves to activities that require less physical or intellectual effort such as going on a family outing, reading a good book, playing sports or watching a worthwhile film. 
     
    “This makes it possible to return to our routine work with renewed energy. We need Sundays from a religious and a human point of view,” Msgr. Galindo said.
     
    Sunday, the Lord’s Day
     The letter “Dies Domini” explains that the Lord’s Day—the term used to refer to Sundays since apostolic times—has always had a privileged place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because of its close relationship to the very nucleus of the Christian mystery.
     
    Sundays remind us, in the weekly succession of time, of the day of Christ’s resurrection. Therefore, it is the Easter of each week, when we celebrate the victory of Christ over sin and death, the fulfillment of the first creation in him.

  • ?
    Windwalker 2011.07.22 06:48

    꼭 필요한 말씀을 해 주셨습니다.

     

    저는 차라리 일요일 휴업령이 빨리 내려서 10-20년이 지나고 난 후에

    종말과 관련하여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것을 경험하면,

    뭔가 크게 잘못 믿고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어

    좀 더 빨리 미몽에서 벗어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어차피 20년후면 사그라질 일들이긴 하지만...

     

    지금은 진리 수호 차원에서 말이 많지만

    (진리와 수호 두 단어가 어떻게 서로 성립이 되는지 저 자신은 이해난망)

    이 누리를 기웃거리고 있는 분들 중에서 빈배님, passer-by님, KJY님 등등

    이 누리의 많은 분들에게 언젠가는 감사하게 생각하는 분들이 나올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
    무실 2011.07.22 07:54

    그동안 신문과 방송을 보지 못하다 오늘 잠시 봤는데 미국이 심상치 않습니다.^^ 얼마전에는 주 정부가 파업을 하더니

    이번에는 연방 정부가 주말 고비를 잘 넘기지 못하면 파업을 할 거라는 소식이 뜨군요. 문제는 경제라고 알고는 있어도

    어느 지도자도 그 문제를 잘 해결할 길이 없어 보입니다.   


  • ?
    lburtra 2011.07.22 08:09

    예, 그렇습니다. 우리 금융 엉망입니다

  • ?
    로산 2011.07.22 12:32

    중국금융은 더 엉망입니다

    양대국의 엉망인 금융

    그래서 대란 올 겁니다

     

    거기 편승하는 sda

    일요일 법을 자초하느라고 바쁩니다

    화잇시대로의 귀의입니다

  • ?
    cogito 2011.07.22 23:20

    배운 데로 하는 겁니다...

     

    죄송합니다...

    깨어 경성하는 방법은 하나밖에 없는 줄로만 알았습니다....

    게다가 할 줄 아는 거라곤 말하는 재주밖에 없으니...

    이런 상황에서 침묵이 금이라는 경구를 지키면 바보로 보일 위험이 더 크지요...

    누구에게라기보단 스스로에게요...

     

    맹목적인 어떤(?) 보수에 데어서 진보를 넘어 자유주의로 가는 청년들...

    그런 청년세대를 보며 "정체성"이라는 이름으로 더 보수적으로 선회하는 기성세대...

    그 둘 사이에서 가끔씩 고민하고 있습니다....

     

    Deep River 한가운데 저만 가는 '그 섬'이 있습니다....

     

     

  • ?
    passer-by 2011.07.23 14:28

    맹목적인 어떤(?) 보수에 데어서 진보를 넘어 자유주의로 가는 청년들...

    그런 청년세대를 보며 "정체성"이라는 이름으로 더 보수적으로 선회하는 기성세대...

    그 둘 사이에서 가끔씩 고민하고 있습니다....

    =============================================================================================

    음..... 많은 생각을 하게합니다. 현 재림교회가 길을 잃고 있는 건 아닌지 고민하게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885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172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113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6997
13845 민초 집창촌에서 일하는 남창 김성진이 집창촌 단골손님인 태능교회 박금하장로에게 하고 싶은 말.. 3 김 성 진 2011.07.16 4102
13844 강철호님에게 유재춘 2011.07.16 1416
13843 Does God Exist? Does It Matter? Excellent Sermon by David Asscherick!!! 1 정무흠 2011.07.16 6776
13842 ◈ Bible은 왜 어려울까? 4 비블리 2011.07.16 1750
13841 학생님에게 뒤늦게 답변을 올립니다.. 2 김 성 진 2011.07.16 1691
13840 당신이 근본주의자인지 아는 방법 2 file passer-by 2011.07.17 1527
13839 양박사의 치매 퇴치 강의( 들어볼 만 함.) kt 2011.07.17 1463
13838 5X2=10 로산 2011.07.17 1424
13837 이 장로님, 큰일 났습니다. 빛과소금 2011.07.18 1461
13836 어데가 천국이고 어데가 지옥인고? (1) file passer-by 2011.07.18 1385
13835 어데가 천국이고 어데가 지옥인고? (2) 2 file passer-by 2011.07.18 1426
13834 ♣♣♣ 오강남(빈배)교수님과 번개팅 ♣♣♣ 3 1.5세 2011.07.18 1836
13833 내가 만난 예수 3-사랑하는 예수님을 따라가고 싶어서-최차순 정무흠 2011.07.18 1377
13832 <상스러운 지성> 9 제자 2011.07.19 2105
13831 머리가 단단하려면 이 정도는 되어야 한다. 강철호 2011.07.19 1346
13830 다 하지 못한 말 강철호 2011.07.19 1309
13829 천사가 찾아와 계시를 말하다 5 강철호 2011.07.19 2356
13828 내가 만난 예수 4-의료선교사업이 시작됨-최차순 정무흠 2011.07.19 1144
13827 분노하라! 분노 2011.07.19 1307
13826 1000년기에 대하여 새롭게 조명해 보기 로산 2011.07.19 1314
13825 화잇 여사의 말씀이 확실한지? 3 오직전도 2011.07.20 1734
13824 김균님의 밑글 1,000년기 부인 문제는 전제부터가 틀렸습니다 1 KT 2011.07.20 1474
13823 나는 어떤가 현민초 2011.07.20 1340
13822 낚시 이야기 한 토막 2 로산 2011.07.20 1523
13821 [부고] 고 박근실 집사님 주안에서 잠드셨습니다. admin 2011.07.20 1816
13820 내가 만난 예수(간증) 5-의료 선교 사업이 확산되어 감-최차순 정무흠 2011.07.20 1361
13819 재림교회가 '성명서'를 발표할 의제가 요즘 우리 사회의 화제입니다. 의제 2011.07.21 1416
13818 '오직전도'님 김주영 2011.07.21 1351
13817 진짜 쎈 로켓트 밧데리 2 로산 2011.07.21 1611
13816 논쟁을 하겠습니다. 19 제자 2011.07.21 1747
13815 세상에서 가장 멋지고 신나는 예배.. 2 김 성 진 2011.07.21 1751
» 도대체 교인들을 어떻게 교육시켰길래...?? 14 김주영 2011.07.22 2462
13813 내 이웃에 이런 일이 2 사마리아 2011.07.22 1259
13812 고한실박사의 이력(경력)논란에 대하여 드리는 말씀. 13 필리페 2011.07.22 5234
13811 내 이웃에 이런 일이--복사해서 올렸습니다. (사마리아 님의 양해를 구하며) 7 김원일 2011.07.22 1719
13810 King's Heralds(1949-1961) - Good news chariot´s a comin 1.5세 2011.07.22 1559
13809 하늘에서 살고 있을 사람들이 불쌍하게도 이러고 있습니다 2 로산 2011.07.23 1647
13808 위용을 떨치는 한국의 교회 건물들을 보세요 1 종달새 2011.07.24 3376
13807 무너지는 시스템과 종말론 3 무실 2011.07.24 1674
13806 Excellent Sermon by Roy Ganes(앤드류스 신학대학원 교수)!!! The Gospel According to the Sanctury!!! 1 정무흠 2011.07.25 4491
13805 자신에게 가하는 상처 바보 2011.07.25 1183
13804 읽다보니 가슴 찡하고 눈물 납니다 - 홀로되신 시아버지를 둘째 며느리가 모시기까지 살다가 2011.07.25 2842
13803 "부모 모시는 문제로 파경", 한 주부의 글 인터넷 달구다 살다가 2011.07.25 1627
13802 마오의 처 양카이후이 사형에 '통곡' 행복 2011.07.25 1921
13801 왜 안식일교인은 한나라당 지지자가 많을까? 안식일교인 2011.07.25 1472
13800 교회 내 지성인의 책임 - 미혹님께 12 김주영 2011.07.25 1555
13799 23개 기독교단체 한진 희망의 버스 동참 선언 "희망 꽃 김진숙을 죽음으로 내몰지 말라" 6 산다는 것 2011.07.25 1236
13798 가시는 박근실 선생님... 김원일 2011.07.25 1543
13797 동갑내기 진교수가 쓴 글 5 김주영 2011.07.25 1516
13796 [Hani TV 동영상] 김어준의 뉴욕타임스 "mb정권, 의약품 약국 외 판매 숨은 의도는?" 안식일교인 2011.07.25 1571
13795 [부고] 장근석 성도님 주님안에서 잠드셨습니다 2 admin 2011.07.25 1789
13794 환장한 눈으로 세상읽기 6 제자 2011.07.25 1517
13793 버논 하웰이 우리에게 말하는 사실 9 file passer-by 2011.07.25 2027
13792 노르웨이 학살범, "생존한 인물 중 가장 만나고픈 인물에 1. 교황, 2. 블라디미르 프틴, 3. 이명박 대통령을 만나고 싶다"고. MB 경사났네!^^ 유다 2011.07.26 2414
13791 무너지는 시스템과 종말론 - 무실님께 5 김주영 2011.07.26 1405
13790 {오블리즈 노블리즈} 4 fm 2011.07.26 1924
13789 산골 할머니 7 Windwalker 2011.07.26 1478
13788 하박국의 딜레마 - Oslo fantasia 2 아기자기 2011.07.26 2030
13787 미혹님과의 대화 1 김주영 2011.07.26 1185
13786 이거 또 본의 아니게 2 김주영 2011.07.26 1557
13785 우와~ 드뎌 내가 먹었다^^ 6 유재춘 2011.07.26 1535
13784 유대인이 미국을 버릴까? 미국이 유대인을 버릴까? 11 로산 2011.07.26 1815
13783 종교인도 세금을 내야할까요? 사마리아 2011.07.26 1240
13782 126명 영적 특공대! 조선족 교회협의회 소식!!! 정무흠 2011.07.26 1526
13781 물 폭탄? 3 나그네 2011.07.27 1325
13780 산자와 죽은 자의 과학 6 제자 2011.07.27 1319
13779 Student 님 (조금 고쳤습니다) 3 김주영 2011.07.27 1438
13778 일욜흄녕이 정말 내리고 예수가 재림한다면 나는 그에게 따진다. (문제는 일욜흄녕이 아니야, 이 바보야.)-수정 15 김원일 2011.07.27 2836
13777 우리 모두 민초에 글을 쓰는 이유.. 김 성 진 2011.07.27 1176
13776 손봉호 "잘못에 침묵하면 동조하는 것!!" 사마리아 2011.07.27 2876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