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2330 추천 수 0 댓글 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나님은 확실히 우리의 언어를 초월하고 (초월하다만 뿐이랴!)

우리의 생각, 우리의 상상, 우리가 가지고 있는 모든것을 동원해도 그 모든것을 초월하고 또 초월한다.

그렇다면 유한한 인간은 무한한 하나님을 "알" 수없단 말인가?

과연 그럴까?

그럼 왜 성경은 "And this is eternal life, that they may know You, the only true God..." 이라고 했을까?

만약 하나님을 "아"는 것이 불가능 했다면 왜 하나님을 아는것이 영생이라고 했을까?

 

 "앎"에는 우리가 객관적으로, 이성적으로, 관찰에 의하여 아는 "앎"도있고 (여기에 속한 모든 "앎"은 조건적이다.  eg. 우리의 지능, 관찰력 등등)

그보다 훨씬더 근 본적인 절대적인 앎이있다.

 

우리는 조건적인 "앎"으로 절대적인 하나님을 알순없다.

그러나 우리에게도 아주 근본적이고 절대적인 앎이있다.

예를 들자면, 나는 수박을 좋아한다.  누가 뭐라고 해도 나는 내가 수박을 좋아하는 사실을 안다.

그 누구도 그게 사실이 아니라고 나를 convince 할순없다.  그렇다고 내가 수박을 좋아한다는 사실을

그 누구에게도 "prove" 할순 없다.  많이 먹을순 있겠지만 좋아한다고 보일려고 많이 먹는다고 하면 그만이다.

아무리 좋아한다고 해도 거짓말 한다고 하면 그만이다.

그 누구에게도 "prove"할순 없지만, 수박맛 을 본 나는 그 누가 뭐래도 내가 수박을 좋아 하는 것을 확실히 "안다."

 

성경에는 "Oh taste and see that the Lord is good..." psalm 34:8  이란말이 나온다.  하나님의 인자하심을 맛보아알란 말이다.

하나님의 인자하심을 "맛보아" 아는 사람들은 그누가 뭐래도 하나님은 사랑이심을 안다. 그사랑을 맛 보았기 때문에...

또 그맛본 사랑을 나누는 사람들은 더욱더 하나님을 잘 알게된다, 그 나누는 사랑이야 말로 하나님의 실체이기 때문에...

그래서 사도요한은 "By this we know that we know Him, that we keep His commandments" (1john 2:3) 라고했다.

우리가 내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할때 하나님을 가장 근본적이고 절대적으로 아는 순간이다.

 

...only my humble opinion...

 

모두 좋은 하루 되십시요.

 

 

 

  • ?
    미혹 2011.08.09 02:18

    캬....어쩜 내 생각과....ㅎ... 한 표 받으시요..ㅋ

  • ?
    student 2011.08.10 00:40

    좋게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

  • ?
    빈배 2011.08.09 13:20

    student 님,

     

    아주 좋은 지적이십니다.

    세계종교를 둘러 보면 모든 종교에서 이 처럼 두 가지 앎이 있다고

    가르침니다.

     

    님이 지적하신 것처럼 그 첫번째 앎으로는 결코 하느님을 알 수 없다고 합니다.

    두번째 앎이란 첫번째 앎을 깨끗이 비울 때 비로소 가능한 앎이라는 거지요.

    그래서 <도덕경>도 "하루하루 비움'(日損)을, <장자>도 "마음을 굶김"(心齋)을 강조합니다.

    불교에서는 분별식을 버릴 때 이것이 가능하다고 하고,

    이를 "반야지"(프라즈나파라미타)라 합니다.  "그노시스"와 같은 계열의 말입니다.

     

    이런 다른 차원의 앎을 통해서 만나게 되는 궁극실재는 첫째 종류의 앎을 통해서

    알게된 하느님과 완전히 다르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님이 말씀하신 것과 마찬가지로 이런 두번째 앎을 통해서 절대자를 알게 되면

    인생이 완전히 transform 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제가 말하는 종교의 "심층차원"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종교학자들 중에는 종교를 means for untimate transformation이라 정의하는 사람도 있고요.

    소크라테스가 "네 자신을 알라"고 했을 때의 앎도 바로 이런 것이었습니다.

     

    insightful observations 고맙습니다.

  • ?
    student 2011.08.09 21:27

    빈배님,

    님의 generous 한 답글에 감사드림니다.  다른 점보단 공통점을 통하여 글쓴이를 encourage 해주시고

    아주 tactful 하고 신사적으로 님의 생각을 말씀해 주시는 모습은 우리 모는 민초들이 본받으면

    정말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님의 관점을 자상하게 설명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이런 신사적인 모습은 theology 와 철학을 떠나서 제가 "아는" "진리"적인 모습입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림니다. 

  • ?
    cogito 2011.08.10 02:27

    두분의 글을 어깨너머로 보며 배우고 있는 저도 마음이 훈훈해 집니다...

    "진리적인 모습"이란 표현...참 좋은데요^^

  • ?
    passer-by 2011.08.09 14:00

    학생님! 자기 고백과도 같은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고르기아스의 3단논리가 있죠. (맞나? 하도 어릴 적 배운 거라서....쩝ㅜㅜ)

    ===========================================================================================================

     

    1) 참진리는 없다.

    2) 있어도 알 수 없다.

    3) 알아도 전할 수 없다.

     

    ===========================================================================================================

    학생님의 말씀을 요약하면 "참진리라는 건 알 수 없고 내가 아는 진리가 참진리다" 정도일 거 같은데요.

    바로 폴 틸리히가 말한 god above god이 그 뜻일 겁니다. 우리가 인식한 하나님은 "내 사유 속의 하나님"이라는 거죠.

    그것이 전부라고 생각하지 말라는 겁니다. "남의 하나님"이 틀렸다고 하지 말라는 겁니다. 내 인식의 한 끝자락에 걸린

    하나님을 가지고 전부라고 외치는 건 폭력이라는 거죠. 그래서 언어의 한계, 사유의 한계, 시공의 한계를 인정하고

    하나님을 소유하거나, 독점하려하지 말라는 겁니다. 내가 인식한 하나님은 나의 경험과 구원에는 필요충분한 존재지만

    그것이 남에게 그대로 적용되어야 하는 건 아니겠죠. (시간이 되면 다음에 계속 쓰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 ?
    student 2011.08.09 22:45

    학생님의 말씀을 요약하면 "참진리라는 건 알 수 없고 내가 아는 진리가 참진리다" 정도일 거 같은데요.

    -------------------------------------------------------------------------------------------

    Passerby 님 너무 거창하게 요약해 주셨읍니다 ^^. 

    님이하시는 말씀은 충분히  이해 합니다만, 여기에 보충설명을 더 하지않으면 오해가 발생할것 같습니다. 

    물론 본인 생각을 더 확실하고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한 제가 잘못한것 같습니다만...

     

    I just wanted to clarify as to where I believe the truth comes from.  I believe all truth is a direct revelation from God through Holy Spirit.  The truth cannot be acquired apart from His revelation.  However, as the Holy Spirit is given to all (since Jesus was given to all and the Holy Spirit is His representative) no one is left out of the loop unfairly, sort to speak.  I believe many well meaning mystics mistake Holy Spirit with the essence of universal being, precisely because Holy Spirit is given so freely to all.  I don't believe this universiality denies His (Holy Spirit, I mean) being an individual entiy.  Thus, I strongly disagree with Paul Tillich's notion of God above God.  Just because we can't contain Him does not mean He cannot allow Himself to be contained if He so chooses ( I believe He did this in the person of Jesus).  Paul Tillich didn't think it was possible for God to be both the "Highest Being" and "the ground of Being-Itself" .  I'd argue that God has to be the "Highest Being" precisely because He is the "ground of Being-Itself."  By being the creator He can be both.  Now Paul Tillich had a philosophical problem with this notion because you run into the problem of "who created God then?"  But that's an existential question you are still left with even if you accept God only as the "ground of Being-Itself".  "Where did it all begin?"  is always an existential quetion you can never avoid even if you accept his notion of "God above God."

    Having said that, I believe it's much more consistent with modern science to think that there was a beginning (the Big Bang theory is commonly accepted in scientific circles).  But Paul Tillich might as well ask, where did the energy come from for the "big bang?"   Would our lack of explanation deny the possibility of the big bang?  That would be absurd -you can deny the big bang theory, but not on this basis.  This is the problem I have with Paul Tillich's theology.   

    I know it's obnoxious to be writing in English in Korean website but there was no way i could have written this in Korean in a timely fashion.

    This response was not meant for anyone else, and I know you are well versed in English to understand what I wrote.

    Anyhow, thank you for your interest in what I have written.

    I always enjoy your pieces.  They are so full of great insight. 

     

  • ?
    passer-by 2011.08.10 03:47

    :-)

    Thank you for plucking up your courage to desperately explain in startlingly lengthy sentences the gist of your thoughts and ideas about the Holy Ghost and the scheme of salvation. I've got to say I managed to understand a little bit more what you're trying to say all about. You said above that "as the Holy Spirit is given to all (since Jesus was given to all and the Holy Spirit is His representative) no one is left out of the loop."

    Like it or not, I guess you could be inserted into the group of the so-called "inclusivism," which was advocated mainly by the Jesuit theologian Karl Rahner, whose well-respected but rather controversial notions can be sum up in the term Anonymous Christian. Introducing the term in the Vatican 2, Rahner triumphantly wrote, "non-Christians could have, in their basic orientation and fundamental decision, accepted the salvific grace of God, through Christ, although they may never have heard of the Christian revelation in their whole life." The notion of inclusivism, based on Rahner's Anonymous Christian, goes under the famous motto, "Revelation is ok! But salvation is impossible." The thing is, "Outside the church there is no salvation(extra ecclesiam nulla salus)."

    If you have enough time, please turn your eyes away and peruse <No Other Name?> written by the Catholic theologian Paul Knitter.

     

    Your argument that God has to be the "Highest Being" precisely because He is the "ground of Being-Itself" is not a crucially key evidence so much as a kind of naive kerygma. It appears that you failed to interpret and demonstrate your insights by dint of theological/systematical recapitulation. I'm afraid you're just "declaring" your faith about God's attributes not "explaining." I would not waste time enumerating sophisticated concepts or technical jargons here so as to pin down what I really mean. I just want to say here that your concept of deity would be the same as, or at least similar to, Paul Tillich's notion "god above god," unless you could persuade me to believe that the very God you mentioned above is and must be YHWH revealed in the Holy Bible and proved throughout history.

     

    p.s. I'm poor at science. I'd like to know about big bang theory. Could you tell me a little about it?

         I'm all ears. Personally, you're always reminding me of the warm-hearted pastor that I've liked a lot.

  • ?
    student 2011.08.10 13:11

    Passer-by nim.

    You have made some very sharp and valid points as usual.

    No I do not subscribe to "inclusivism" theology per se.  But I do agree with their understanding of how an implicit faith response to general revelation can lead to salvation.  I also believe that God expects a response from us proportional to the light given.  Only in this very narrow sense, I could be "inclusivist."  I do not subscribe to their soteriology as a whole  or their understanding of what salvation actually is.  I am surprised you caught that from what little I said about the Holy Spirit.

    As for your comment about my declaring my faith about God's attributes as oppose to expounding on it, you are totally correct.  It was never my intention to expound on it.  I was merely pointing out that Paul Tillich's perceived difficulty about "highest being" vs "the ground of being" dissipates if you subscribe to my understanding of God's attributes.

    thank you for taking your time to reading my post and giving me great pointers.

    have a great day.

    p.s  personally I do not agree with Karl Rahner.  I think he is a closet modalist.  As for Paul Knitter, I don't know who he is. i will try to read the recommended book when i get a chance.

    p.p.s I don't agree with Rahner's modalistic understanding of Trinity.  But he does have valid points with regards to "Anonymous Christianity"  The importance of Jesus cannot be in understanding how to correctly pronounce his name.  The importance of Jesus is in understanding His character which is revealed by Holy Spirit and can be perceived by anyone even without having read the Bible at all.  The essence of Jesus is His "the other centered love"  I do believe that people like Buddha and Laozi saw the glimpse of this "essence" of Jesus Christ as did many others who may never have heard about the phonetic pronunciation of "Jesus" or his historical life.  


  • ?
    빈배 2011.08.10 04:39

    student 님,

     

    clarify 하기 위해 한 마디만 말씀드립니다.

    틸리히는 "the Ground of Being-Itself"라 하지 않고

    "The Ground of Being" 혹은 "the Power of Being"이라는 말과

    "Being-Itself"라는 말을 씁니다.

    Ultimate Reality는 우리가 감지할 수 있는 보통 being의 범주에 속할 수 없고

    오로지 그런 존재들을 가능하게 하는 그 근거나 힘이라는 뜻이지요.

    Being-Itself 도 물론 다른 being하고 다른 차원의 무엇임을 말하기 위한 것이고요.

    아무리 Highest Being이라도 그 신이 being의 영역에 속했으면 다른 being 들과 크게 다른 것이 없다는 뜻입니다.

    틸리히에 대해서는 기회봐서 제가 쓴 글을 하나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
    student 2011.08.10 12:36

    Bin Bae nim,

    Thank you for that clarification.  However I don't think that makes a difference in my assessment of Paul Tillich's philosophy.  I do understand your point (and his point) about why God can't be a "regular" being for the lack of a better term.  This is where I disagree with Paul Tillich.  What appears to be a contradiction in Tillich's mind is no contradiction at all if you believe that God is the Creator and all things came from Him.  ("In Him all things consist" Col 1:9).  If God is all in all, and everything came from Him there is no difficulty in picturing Him as the highest being as well as the only "real" being, for every other "beings" came from Him and is held in Him.  This seems to be much more logically consistent view IF you believe in God the creator-which I do.  Of course I would be much more open to Tillich's view if I thought the Universe always was and will be.  I think it all goes back to whether or not you (as in general pronoun) believe that God created the universe and everything in it.  As to why I believe there is God who created the entire Universe, and why Bible is His revelation, that's another story all together.  Maybe I'll post my views on it at some later point...

    I do thank you for taking your time to gently correct my misunderstanding and clarifying Paul Tillich's terminology.

    I could see that you must have been an awesome professor.  

    You also seem to have gentle "Christian" spirit that I admire.

    Best of luck in all your endeavors.

    God bless,

    student. 

  • ?
    제자 2011.08.09 14:34

    하나님을 안다.” 보다는 그 실존을 인정하고 믿어야 하는 것이 바른 자세일 것입니다. 어두운 인간세계에 선지자들을 부르시고 아들까지 보내시며 하늘세계와 창조주 자신을 계시하셨습니다. 여타 종교에 비해 기독교를 계시종교라 부르는 타당한 이유가 있지요.

     

    예수께서 나사로를 살리실 때 믿음 있는 자들은 창조의 실체를 보고 큰 자각을 받았습니다. 그 이후 그들은 세계를 다른 시선으로 보기 시작했습니다. 학식 풍부한 랍비 선생들이 아니라 단순한 민초들이 영혼에 큰 울림을 받고 시선을 하늘로 돌리기 시작한 것입니다.

     

    선명한 진리를 이렇게 몽롱한 환상으로 끌어가는 자들은 어느 시대에나 존재했습니다. 화잇이 임종 직전에 이제야 하나님을 알 것 같다.”는 말을 남긴 것은 매우 의미심장한 이야기입니다. 하나님에 대한 이해 이전에 우선 그 분을 믿고 생애를 의탁하는 길에서부터 시작을 해야 합니다. 인간이 창조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에도 한평생이 부족합니다.

     

    지금은 희미하지만 후에 환히 볼 날이 있는 것입니다. 몽롱한 현학에 솔깃하면 침몰당할 수가 있습니다. 멸망케 하는 자들로부터 돌아서는 것이 성경의 교훈입니다.

  • ?
    cogito 2011.08.09 15:46

    제자님~~

    삶의 체험이 녹아있는 깊이있는 말씀 여러모로 공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요...라삐와 민초, 부자와 가난한 자의 이분법은 마음에 좀 걸립니다...

     

    라틴 아메리카와 아프리카에 영적 부흥이 일어나고 있다고해서 백인사회(WASP)에는 그럴 가능성조차 없다고 믿는다면...

    학식이 높았던 라삐 니고데모와 아리마대 요셉, 그리고 사도바울은 또 어찌 이해해야할까요?

    모세에게 지혜를 주었던 이방인 이드로, 예수님의 탄생을 축하하러 온 동방박사들,

    나름의 방법으로 진리를 탐구하던 구스내시는 "몽롱한 현학"에만 몰두하던 사람이었을까요?

     

    제자님도 그러셨겠지만...

    저는 어릴 때부터 하나님의 인과 짐승의 표, 도시와 시골, 교회와 세상, 성경과 세상학문, 삼육학교와 사회학교에 대한 단순한 이분법들을 워낙 많이 들어왔습니다.

    우리는 신자들이 다 천연치료의 대가들이라 세상 초등학문을 배운 의사들을 쉽게 무시하는 것도 보아왔구요...

    간단하게 치료될 병도 크게 만들어서 병원가는 것도 보았지요...

    미혼 남녀의 성비가 거의 2:8에 가까운 상황에서 무조건 믿지 않는 자와 멍에를 같이 하지 말라는 절망에 가까운 권고들도 보아왔구요.

    (믿지 않는 자에 타교파 총각들이 포함되는 것또한 참 신기한 일입니다)

    그래서 고학력 미혼여성들이 재림만 고대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제가 아는 어떤 분들은 아무런 준비도 없이 시골로 들어가야한다고만 외치고 있습니다...

    안식일 성수에 대한 고도의 논리체계와 역사적 변증지식을 가진 우리가

    안식일에 어떻게 안식해야하는지...

    전쟁터와 같은 일상에서 마음의 안식을 실제적으로 추구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말해주는 사람도 드물지요..

    안식일에 헌신하는 수많은 방법은 말해주지만 안식일에 "쉼"을 얻기 위한 길을 인도해주는 교회또한 드문 것 같습니다....

     

    평생 재림을 기다리며 안식일에는 낮잠도 거부하시고, 채식주의자로 독하게(?) 사신 제 어머니가 가끔씩 푸념섞인 어조로 말씀하셔요...

    나는 네가 장가들기 전에 예수님이 재림하실줄 알았다...

    그런데 좀 있음 울 애가 장가들 날이 다가오네요^^

     

    성경의 저자들이 구전으로 떠돌던 진리들을 수집하고, 화잇부인이 "표절"이라는 비판을 받을정도로 그랬던 것처럼...

    도처에 있는 진리들을 열린 마음으로 묵상해보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예수는 한분이지만 복음서는 여러가지인 것처럼요...

     

    인간이 창조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에도 한평생이 부족하다는 말씀은 전적으로 공감하고 있습니다만...

    제가 평생동안 오로지 창조개념에 대해서만 생각하고 살아야 한다면 정말 아찔합니다....

    "멸망케 하는 자들로부터" 전혀 배우려 하지 않고, 추상적 이데올로기에만 올인하는 오늘의 교단 현실이 초라하게 느껴집니다...

     

    제자님 죄송합니다...

    그냥....몇가지 지고 있는 마음의 짐들이 다시 떠올라서 주절주절 적어보았습니다...

    말하다보니 제자님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네요^^ 어쩌면 같은 고민을 하고 계신 분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 ?
    passer-by 2011.08.09 21:34

    적절한 말씀입니다. 그 동안 쌓이고 온축된 많은 생각의 편린들을 보는 것 같습니다.

    "유대종교"만이 인격신을 믿는 최고(最古) 계시종교이며 제종교 위에 놓인 최고(最高) 고등종교라는 발상 자체가 지극히 진화론적 도식입니다.

    종교의 순위를 매기고 그 정점에 유대종교를 놓는 것, 그리고 여타 종교에서는 존재하지도 않는 외래적 개념을 가져다가 교리적 난도질을 하는 것,

    유대종교의 곁다리를 잡아야만 구원이 있다는 것, 성경 안에만 모든 진리가 다 들어있다는 건 "신앙"이 아니라 일종의 문화 테러요 제국주의입니다.

    일찌기 종교학자 막스 뮐러(Max Müller)는 괴테의 말을 빌어 "하나만 알면 아무것도 모르는 것이다(He who knows one knows none)"라고 말했죠.

    한 노학자로부터 비교론적 시각(comparative perspectives)을 놓치는 순간 국가는 chauvinism으로 가고, 종교는 exclusivism으로 간다고 배웠습니다.

  • ?
    student 2011.08.09 22:54

    하하, 가끔가다 님 답지않게 "화"난 모습을 보는것 같은 느낌이 들때가 있습니다...

    왜그런지는 알 것 같습나다만, 너무 emotional 해지면 님이 추구하시는 diversity 와 acceptance 에 hindrance 로 작용할수도 있지않을까요?  ^^

  • ?
    student 2011.08.10 13:44

    Cogito nim,

    I HEAR you and I FEEL you.  I agree with you whole-heartedly. But I believe that the true gospel enlarges our hearts and make us more open-minded to other people and their ideas.

    I believe that Jesus was the most open-minded person that ever lived (and still lives!!).  As Christians, we should become more like Him everyday.

    Your post reminded me of the hymn "O Jesus, Thou art standing"


    O Jesus, Thou art standing, outside the fast closed door,
    In lowly patience waiting to pass the threshold o’er:
    Shame on us, Christian brothers, His Name and sign who bear,
    O shame, thrice shame upon us, to keep Him standing there!


    O Jesus, Thou art knocking; and lo, that hand is scarred,
    And thorns Thy brow encircle, and tears Thy face have marred:
    O love that passeth knowledge, so patiently to wait!
    O sin that hath no equal, so fast to bar the gate!


    O Jesus, Thou art pleading in accents meek and low,
    “I died for you, My children, and will you treat Me so?”
    O Lord, with shame and sorrow we open now the door;
    Dear Savior, enter, enter, and leave us nevermore.


    I wish we'd all open our hearts to Him.

    I wish our Church would open the door for Him.

    Let us invite Him in today!


  • ?
    cogito 2011.08.10 16:26

    student님~~

    고맙습니다. 형제애가 진하게 묻어나는 글이요...

    열린 마음과 따뜻함을 자주 잊게 되네요...

    "진리"적인 모습 맘에 새기도록 하겠습니다^^

     

    ps. 맘속의 분노는 금방 가라앉힐 수 있어도...늦은 나이에 시작된 깊은 고민은 쉽지 않군요...

         "O Jesus, Thou art standing" 가사가 참 좋은데요?^^

  • ?
    student 2011.08.09 23:11

    제자님,

    저는 진리가 하나님으로 부터 계시된 다고 믿습니다.  그러나 덮어놓고 믿는 믿음은 영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성경이 말하는 믿음은 (화잇도 강하게 support 하는) 하나님과 관계안에서 생기는 "신뢰"에 가깝습니다.

    그러나 신뢰는 "command" 할수도 "demand" 할수도 없는 것입니다.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그분이 "신뢰" 할만한 분이라는 것을

    체험했기 때문에 당현히 신뢰할 수밖에 없는 현상입니다.

    "사랑"도 마찬가지입니다.  그것이 "계명" 이지만, 사실 진실된 사랑은 "command" 나 "demand" 할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닙니다.

    한번 깊이 생각해 주시기 바람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885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172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113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6997
2015 기독교 어디로 가고 있나? 1 빈배 2011.08.14 1662
2014 우리가 새롭게 만든 신(2) 4 로산 2011.08.12 1345
2013 이승만이 역적인까닭 펌 3 지경야인 2011.08.12 1263
2012 Shawshank Redemption 에서 본 안식일--이 장면을 울지 않고 볼 수 있는 안식교인 있으면 나와 보시라. (중요한 수정) 4 김원일 2011.08.12 3305
2011 엉터리 목사의 헛소리 열전 22 빈배 2011.08.11 2363
2010 나는 어디에 서 있는가? - 자가진단 한번 해보세요 2 빈배 2011.08.11 1891
2009 어찌 이런 만행이 가능한가.... 가랑비 2011.08.10 1198
2008 충격 - 이명박의 숨겨진 아들에 대한 기사 전문 햇빛 2011.08.10 6710
2007 잠수님! 1 바이블 2011.08.10 1239
2006 난 내 친 딸과 4년째 말을 한마디도 해본 적이 없다. 31 최종오 2011.08.10 2075
2005 독불장군 - passer-by 님께 1 빈배 2011.08.10 2113
2004 우리가 새롭게 만든 신(1) 14 로산 2011.08.09 1442
2003 고한실 박사님께 묻습니다. (재질의, 일부 질문 수정) 4 송허참 2011.08.09 2929
» 우리가 하나님을 과연 알수 있을까? 18 student 2011.08.08 2330
2001 cogito 님..."심층 철학"이 확실하게 짚고 넘어 가야할 과제 8 student 2011.08.08 4135
2000 구약의 하나님을 도매금으로 물 먹이기^^ -- cogito 님께 (수정) 4 김원일 2011.08.08 1435
1999 섬마을 소년님 글과 구도의 길님 글 삭제 이유 김원일 2011.08.08 1267
1998 빈배님도 보시고 너도나도 보자. 바이블 2011.08.08 1475
1997 그냥 부럽다 1 빠다가이 2011.08.08 1212
1996 나그네님의 글을 읽고 1 제자 2011.08.08 1085
1995 道可道非常道 40 김종식 2011.08.08 2246
1994 아궁이에서 만난 하나님 (최 형복 목사님 아드님 이야기) QT 2011.08.07 2026
1993 구더기가 뭘 따진다고? 5 나그네 2011.08.07 1512
1992 너희는 모르나 우리는 아노라 1 제자 2011.08.07 1432
1991 어제 내가 어떤 설교를 맺으면서 썼던 마지막 문구 (네, 따지십시오, 빈배님.^^) 2 김원일 2011.08.07 1495
1990 낯선 세계에 낯선 자(흙으로님에게) 2 제자 2011.08.06 1073
1989 하느님께 따질 것이 아니라 김원일 님에게 따지기 13 빈배 2011.08.06 3081
1988 현 대한민국 정치 상황과 사회 상황에 대한 동영상 대담 칼 바르트 2011.08.06 1205
1987 조용기와 슐러의 몰락을 묵상하라 2 빈배 2011.08.06 1602
1986 소말리아에 대한 하나님의 뜻은 무엇일까요? 1 ... 2011.08.05 1731
1985 이제보니 너희들은 매를 좀 맞아야겠구나! 7 file passer-by 2011.08.05 2090
1984 너무 심한 존댓말, ~ 님의 과용 2 바보 2011.08.04 1935
1983 "MB정권은 잡범들 수용소" 1 로산 2011.08.04 1357
1982 <2011 따뜻한 한반도 포럼> 현 단계 대북 인도 지원의 실천적 접근을 위한 모색 명지원 2011.08.04 1325
1981 하용조 목사 장례예배 울음속에서 폭소(퍼옴) 김기대 2011.08.04 2038
1980 성경적인 시대를 향하여 1 로산 2011.08.03 1177
1979 의인은 사자같이 담대하니라 심리학 2011.08.03 1629
1978 젠장, 나는 정말이지 안식교 스님이 이런 말 한 번 하는 것 좀 들어보는 게 소원이다. 2 김원일 2011.08.02 1393
1977 "정리해고는 목숨줄 끊는 것"...... 명진스님, "힘든 사람에게 손 내미는 것이 거룩" 사마리아 2011.08.02 1432
1976 색소폰연주 Pierce 2011.08.01 2189
1975 유명 정치인이 되려면 우스운 소리 잘 하는 머리도 있어야 하는가 보다 KT 2011.08.01 2577
1974 한글 맞춤법 일람 1 참고 2011.07.31 2022
1973 하나님 오늘 안식일에 또 일하고 왔습니다 14 QT 2011.07.30 2037
1972 감사와 함께 질문을 ^^ 3 바다 2011.07.29 1580
1971 "개신교, 많은 것을 잃어봐야 순수함 되찾을 것" ( 퍼 온글) 돌베개 2011.07.29 1561
1970 이것에 대해 누가 책임을 져야하지요? 죄값은? sustainable 2011.07.28 1201
1969 "목사답지 않은 목사" - 김원일은 목사인가? 6 빈배 2011.07.28 3193
1968 내가 카스다를 떠난 이유, 다시 한 번--고수 님께 2 김원일 2011.07.28 1597
1967 성아야, 내 니 기들어올 줄 알았다카이.^^ 1 김원일 2011.07.28 1607
1966 위대한 선지자를 기롱하는 "악하고 음란한 세대" 2 돌베개 2011.07.27 2095
1965 남자는 모르는(?)이야기 10 바다 2011.07.27 1626
1964 오강남(빈배) 교수님과 함께 4 1.5세 2011.07.27 2083
1963 일찍이 공산당의 정체를 파악하고 대결을 선언하여 승리한 건국 대통령 KT 2011.07.27 1258
1962 글 2000번을 접하며 3 1.5세 2011.07.27 1247
1961 일요일 휴업령이 믿기지 않습니다. 3 로산 2011.07.27 3342
1960 손봉호 "잘못에 침묵하면 동조하는 것!!" 사마리아 2011.07.27 2876
1959 우리 모두 민초에 글을 쓰는 이유.. 김 성 진 2011.07.27 1176
1958 일욜흄녕이 정말 내리고 예수가 재림한다면 나는 그에게 따진다. (문제는 일욜흄녕이 아니야, 이 바보야.)-수정 15 김원일 2011.07.27 2836
1957 Student 님 (조금 고쳤습니다) 3 김주영 2011.07.27 1438
1956 산자와 죽은 자의 과학 6 제자 2011.07.27 1319
1955 물 폭탄? 3 나그네 2011.07.27 1325
1954 126명 영적 특공대! 조선족 교회협의회 소식!!! 정무흠 2011.07.26 1526
1953 종교인도 세금을 내야할까요? 사마리아 2011.07.26 1240
1952 유대인이 미국을 버릴까? 미국이 유대인을 버릴까? 11 로산 2011.07.26 1815
1951 우와~ 드뎌 내가 먹었다^^ 6 유재춘 2011.07.26 1535
1950 이거 또 본의 아니게 2 김주영 2011.07.26 1557
1949 미혹님과의 대화 1 김주영 2011.07.26 1185
1948 하박국의 딜레마 - Oslo fantasia 2 아기자기 2011.07.26 2030
1947 산골 할머니 7 Windwalker 2011.07.26 1478
1946 {오블리즈 노블리즈} 4 fm 2011.07.26 1924
Board Pagination Prev 1 ...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