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의 어원

by 무실 posted Aug 27, 2011 Likes 0 Replies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교 시간에 교사는 

시편의 어원이 헬라어의 psalmos 에서 왔고

그 말은 다시 히브리어의 zmr 에서 왔는데

그 의미는 영어로 to pluck인데 줄을 뜯는다는 의미라고 했다.

줄은 비파의 줄에 맞추어 뜯는다는 의미이지만

사실은 마음과 영혼의 줄을 뜯는다는 것이다.


시편의 짧은 몇 구절만 기억하고 암송해도

영혼이 소생하고 아픔과 슬픔이 위로받고

절망에서 소망으로 인도함을 받는다.


오래전에 시는 문학에 속하고

문학은 예술에 속하고

그 속성은 아름다움과 영혼의 카타르시스(눈물)를 추구한다고 들었다.

시는 짧지만, 함축되어

그 안에 아름다움과 의미가 있어서 마음과 영혼에 쉼과 기쁨을 준다.


조선 시대에 살던 한 선비가

좋은 시를 보고 여러 번 읽고 암송하게 되었는데 

어느 시 대회에 나가서 

곰곰이 시를 지으려 몰두하다가 시를 지어냈는데

그만 외우던 시를 그대로 적어 버렸다. 

시를 지은 다음 자신이 봐도 시가 참 잘 지었는데

나중에 지은 시가 외우던 시라는 것을 알고

자신도 웃었고 본 사람들도 웃었다는 일화가 있다.


시편에 주옥같은 시들이 너무 많아 볼 때마다 감동하다가

간혹 그러한 시 하나라도 쓸 생각이 들면 그저 웃음만 나온다. 


철야 기도를 규칙적으로 하던 오래전 신앙의 스승들은

그 시간에 시편 암송을 배정해 넣으라는 가르침이 많다. 


자신의 기도만으로 밤을 새우면, 하는 사람도 들으시는 분도 쉽지 않을 것이다.

시편 중에 자신의 형편과 또 권하는 장들을 암송하라는 것이다. 

원래 시편은 노래에 맞춘 가사들이었다니 

보지 못하는 곡조를 생각하며 읽으면 더 좋을 것 같다.


시편에는 신비한 내용이 많아서

그 안에 감추어진 영적인 뜻을 찾는다면 신앙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한다.


기억에 어느 성경의 표지 안에는 

어려운 형편에 처한 사람들을 위해

형편에 맞추어 시편의 어디를 보라는 안내문이 있었다.


영혼을 치유해주는 시편들이다.



Articles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