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2177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느님 ----- 하늘님

하나님  -----하 날님(한글에  하늘을 하ㄴ. (아래아) ㄹ로  표기) 나중에 그냥 하나님으로 표기 기독교에서 유일신 사상 접목 그대로 사용.

                    원천적으로  하나님이란 말은 하늘님이다   그러니 그말이 그말이다        바로 하늘에계신  하늘님이다

 

다음은 위키 백과에 나온 저의다

 

일반적으로 기독교 중 대부분 개신교 신자들이 자신들의 숭배 대상인 유일신을 지칭하는 말로서 하나님은 기독교에서 영원히 사는 영생의 신으로 유대교이슬람교에서도 섬기는 히브리 계통의 유일신 야훼(여호와)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한국의 꾸란 해설본에서도 알라 대신 "하나님"이라는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4] 한국 이슬람 사원에서도 '하나님'이 아닌 '알라'를 창조주의 정식 용어로 사용하고 있긴 하지만 한국의 일부 무슬림들은 "하나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5] 그러나 이슬람교에서는 오로지 아랍어로 쓰여진 '코란'만을 인정하므로 한국의 코란은 단지 코란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해설서로 보아야 하기 때문에 여기서 쓰인 '하나님'과는 그 의미 자체가 다르다.[6] 이와 비슷한 양상으로 이집트, 레바논, 이라크, 인도네시아 등에서 쓰이는 "알라"라는 표기는 이슬람 탄생 이전부터 쓰여왔던 용어이자 기독교에서의 신을 지칭하기도 한다.[7]

[편집]

하나님이라고 번역되는 히브리어 단어로는 엘로힘(אלהים)이 있다. 이를 한자어 천주(天主)라고 번역하고, 다시 근대 한국어하ᄂᆞ님”으로 번역한 것이다.

이 명칭이 최초로 나온 것은 존 로스 선교사와 번역팀이 번역한 최초의 한국어 성경 《예수셩교 누가복음젼셔》이다.[8] 이 성경전서의 1883년본에는 ".....두사람이 하나님의 압페셔 올은쟈라......"라는 문구가 있다.[9]

현대 한국어에서 아래아가 제외됨으로써 “하나님”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아래아가 현대화되면서 바뀌는 모음은 'ㅡ'나 'ㅏ'뿐 아니라 'ㅓ' 등 다양하다(→아래아). 현대의 민속 종교에서도 “하나님”,“하느님”혼용으로 읽는다.[10] 기독교 계통의 종교에서는 “하나”, 곧 “유일하신 분”이라는 신앙고백적 의미까지 담아서 “하나님”을 이해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말은 “하나”라는 숫자에 “님”을 붙인 것은 아니다.[11]

[편집] 반론

표준어로 인정하는 용어이지만 반론은 있다. 국어학개설과 국어학개설 등에 따르면 하나님은 '하ᄂᆞ님'을 잘못 읽은 것으로써 대부분 'ᆞ'의 음가를 'ㅏ'로만 알고 있으나 비어두음절일 경우는 'ㅡ'로 발음하는 것이라고 한다.[12] 그러므로 '하ᄂᆞ님'는 하느님으로 읽는 것이 맞다는 평가가 있다. 그러나 이는 16세기에 제1단계 소실로 'ㅡ'로 바뀐 것이며, 18세기 중엽에 와서는 'ㅡ'가 아닌 'ㅏ'로의 대치가 일어나면서 기존의 변화된 양상은 자취를 감추게 되었으며[13][14] 이에 따라 "하나님"이라는 용어 사용에 문제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

하나님이라는 용어를 도용하였다는 주장이 일자 이에 관한 특이한 재판 사건이 1992년에 있었는데, 그해 11월 11일 강원도의 정근철이 기독교측을 피고로 '하나님 이름도용에 관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 고소장을 제출하였다. "한민족 하나님 도용죄"이라는 죄목으로 하여금 기독교에서 허락 없이 무단으로 써왔으므로 보상금으로 1억을 내라고 재판을 신청하였다.[15]

  • ?
    김기대 2011.09.12 11:36

    '하느님' vs '하나님'…신의 진짜 이름은?

    애국가에 나오는 ‘하느님’은 국조 단군의 할아버지인 환인(桓因)일까 아니면 그리스도교의 신(神)일까.

    표준국어대사전은 하느님을 “우주를 창조하고 주재한다고 믿어지는 초자연적인 절대자”라고 정의하고 있다. 아무래도 일신교의 신을 의미하는 것 같다.

    그러나 이 문제를 굳이 따지려는 국민은 소수다. 우리나라는 세속화 수준이 세계적으로 높다. 국교가 없으며 국가 정체성에서 종교가 차지하는 부분도 작다. 하느님·하나님·한울님 등 각기 다른 신에 대한 호칭이 ‘평화공존’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대조적인 상황이 최근 말레이시아에서 전개되고 있다. 지난해 말 말레이시아 고등법원이 가톨릭·개신교를 믿는 비(非) 무슬림 말레이시아 사람들도 신을 지칭할 때 ‘알라’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결정을 내렸다. 이는 2007년의 말레이시아 정부 지침을 뒤집은 것이다. 당시 내무부는 말레이시아어(語)로 신을 ‘알라’라고 옮기는 모든 비(非)무슬림 출판물을 금지했다.

    고등법원의 결정은 종교 간 갈등을 낳았다. 1월부터 교회·성당 11곳, 시크교 사원, 이슬람 사원 2곳 등의 예배처가 방화, 기물 훼손의 표적이 됐다.

    돼지머리를 모스크에, 소머리를 힌두교 사원에 던져놓으며 다른 종교를 자극하는 일도 있었다.

    말레이시아 인구 2800만 명 중 60%가 이슬람, 9%가 가톨릭·개신교를 믿는다. 250만 그리스도교인은 주로 중국·인도계다. 국민 중 다수를 점하는 말레이계 무슬림은 그리스도교인들이 ‘주님’을 뜻하는 ‘투한(Tuhan)’ 대신 굳이 ‘알라’를 사용하겠다는 데 의혹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알라’라는 말을 공유해 무슬림을 헷갈리게 한 다음 그리스도교로 개종시키려는 의도가 있다고 본다.

    말레이시아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알라’는 사실 이슬람에 국한된 고유명사가 아니라 보통명사다. 이슬람 성립 이전에도 사용됐다. 오늘날에도 레바논·시리아 등지에 사는 1200만 아랍계 그리스도교인들은 신을 ‘알라’라고 부른다. 멜 깁슨 감독의 영화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에 나오는 것처럼 아람어를 사용한 예수는 신에게 기도할 때 ‘아알라(Aalah)’라는 단어를 썼다.

    ‘알라’ 사용권 분쟁을 들여다보면 우리나라가 종교·문화적으로 축복받은 나라라는 게 드러난다. 우리나라 가톨릭에서 ‘천주(天主)’ 대신 ‘하느님’을 선호하게 됐을 때 “왜 우리 민족 고유의 하느님을 가톨릭에서 쓰겠다는 것이냐”는 반발은 없었다. 마찬가지로 우리말 쿠란이 ‘알라’를 개신교와 마찬가지로 ‘하나님’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이에 따른 사회적 논란은 없다.

    하지만 우리나라도 신 호칭 논란의 완전한 무풍지대는 아니다. 1991년 프로야구 개막식에서 가사를 착각해 “하나님이 보우하사”라고 애국가를 부른 가수가 야유를 받았다.

    1977년 가톨릭과 일부 개신교 교단이 초교파 운동 차원에서 공동번역성서(共同<7FFB>譯聖書)를 내놨으나 신의 이름이 ‘하느님’으로 돼 있어 광범위하게 사용되지 못했다.

    현재 우리나라 기독교는 신을 ‘하느님’으로 부르는 가톨릭·성공회·정교회와 ‘하나님’으로 부르는 개신교로 나뉘어 있는 형국이다.

    말레이시아에서 벌어지고 있는 이슬람·기독교 갈등의 핵심은 ‘알라’가 보통명사인가 아니면 고유명사인가 하는 문제다. 언어의 문제가 국론분열까지 일으키고 있다.

    세계적으로 유례 없는 종교 간 평화를 누리고 있는 우리도 방심해선 안 된다. ‘하느님’ vs ‘하나님’이라는 한국판 신 호칭 문제에 해법은 없을까. 이 문제에 대한 실마리가 될 수 있는 일화가 있다.

    이지영 기자가 중앙SUNDAY 2009년 2월 21일자에 쓴 기사에 이런 대목이 나온다.

    가수 인순이가 고(故) 김수환 추기경에게 물었다. “하나님과 하느님의 차이가 도대체 뭡니까.” 한 음반 안에서 ‘하느님’ ’하나님’ 두 명칭을 다 사용했다는 것을 고백하며 질문한 것이다.

    추기경이 대답했다. “글쎄, 나도 모르겠는데. 나도 하나님이라고 그러는 것 같은데.”

  • ?
    헷갈림 2011.09.12 18:00

     

    의외로,  김기대님께서 의미있는 자료를 퍼 주시고 소개해 주신 데에 감사드립니다. 

    제가 질문하는 바를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로 간직하겠습니다.

  • ?
    cogito 2011.09.12 19:51

    헷갈림님 덕분에 저도 좋은 공부하고 있습니다.

    김기대님께도 감사드려요...정말 흥미로운 글입니다...

  • ?
    passer-by 2011.09.13 01:07

    "하나님"은 국어음운학적으로 보아 틀린 표현이라고 지적했던 도올 김용옥의 글(<여자란 무엇인가>)이 떠오르네요.

    우리말로 "하나," "둘"과 같은 관형어에다 존칭의 어미 "-님"을 붙일 수 없다는 게 글의 요지였던 것으로 기억하는데요.

    자장면과 짜장면 모두 옳은 표현으로 쓰이는 작금의 상황 속에서 모든 언어를 통일된 언어법칙에 따라 말할 수는 없겠지만

    "하느님"이 더 역사적으로 오래된, 음운상으로 아름답고 유구한, 표현상 적합한 표현이라는 김용옥의 주장을 무턱대고 무시할 수는 없을 듯 합니다.

    "하느님"과 "하나님"의 표현을 가지고 구지 구교와 신교간의 신의 이해를 차별화하여 대립각을 세우려는 건 제가 보기에는 차라리 우스운 발상이며

    "하느님"이 지칭하는 신과 "하나님"이 지칭하는 신이 다르다는 천박한 편가르기식 이해 역시 프로테스탄트 고유의 독선적 패러다임을 안고 있다고 봅니다.

  • ?
    김주영 2011.09.13 02:42

    하느님 (하늘님),  하나님 (하날님).  둘 다  하늘에서 나왔다면 하느님이 더 표준어가 맞겠습니다. 

    아버지와 아부지 중에 아버지가 표준어지요. 

    개신교가 하느님을 싫어하고 하나님을 좋아하는 이유는

    아마 하늘을 위하는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신앙에서 나온 하느님은 너무 토속적이고 '미신적' 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 아닐까요?

    토속적인 신앙을 경계하고, 기독교의 신은 새로운 신이다 라는 것을 강조하려고 그렇게 된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02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52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6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51
14965 2030년 4월 18일의 재림 = 4복음서 와 18권의 신약(다니엘 포함) 26 김운혁 2015.07.28 268
14964 2030년 예언도표, 최근 업데이트한것. 5 김운혁 2016.05.09 94
14963 2030년 재림 김운혁 2015.08.21 119
14962 2030년 재림 카운트 다운 링크 김운혁 2015.09.12 167
14961 2030년 재림이 틀렸다고 주장하는 분의 집요한 호소... 김운혁 2015.09.16 136
14960 205 Names of Jesus Christ (예수 그리스도의 205 이름들) 4 유금상 2010.11.24 5548
14959 20년 안식일교단 목사의 하나님과 결별. (펀글) 돌베개 2015.01.06 1339
14958 20년 키워 신도 2 만 된 교회 … 후임 선출 교인에 맡긴 목사 4 잠 수 2011.01.05 1219
14957 20명분 구매했다더니.. 올 상반기 감청 시도만 최소 189건 정선 2015.07.16 199
14956 20세 미육군대령, '확인'됐다고? 1 유재춘 2012.03.25 1886
14955 20일 사망한 美, ‘표현의 자유’ 논란 프레드 펠프스 목사 형제 2014.03.22 894
14954 21세기 신앙 – 새로운 관점에서 10 Windwalker 2016.07.13 213
14953 21세기 예수 13 카라 2015.08.25 324
14952 21세기 종교 생존법. 종교는 과학과 "맞짱"뜰 생각을 버리고 종교 고유의 영역을 강화해야 한다. 2 패러다임 2011.04.11 2800
14951 21일 오후 5시 강남역 10번 출구 주변은 뜨거웠다. 강남역 2016.05.21 36
14950 2200만:1 1 시사인 2013.12.05 1400
14949 2250년 7월 5일 쇼핑 목록 file 전설의 섬 39도 2015.04.28 231
14948 2300 주야에 관한 생각 7 fallbaram 2013.11.27 1388
14947 2300일에 대한 에드슨에 관한 회케마의 기록-passer-by님 1 로산 2011.10.24 1506
14946 2300저녁과 아침의 이중 적용 20 김운혁 2014.10.15 475
14945 2300주야 그리고 성소문제 8 로산 2011.01.25 1900
14944 2300주야 예언의 4중 적용 김운혁 2015.08.03 122
14943 2300주야가 없으면 재림교회에 쓰나미가 오는가? 2 로산 2011.05.07 2212
14942 2300주야는 영적 사기꾼들의 전용물 1 바이블 2011.02.12 1600
14941 2300주야를 몹시도 미워하고 경멸하는 분들께 ... 1 박진하 2012.11.17 1685
14940 2300주야와 70주일 예언이 다니엘서 12장에서 최종적으로 성취되는 이유 김운혁 2014.11.16 429
14939 2300주야와 안식일 관련 2 로산 2012.10.21 1066
14938 2300주야와 일요일 휴업령 바이블 2012.11.16 1450
14937 2300주야와 조사심판. 개신교 V 안식교 토론- 2 1 토론 2016.06.15 118
14936 2300주야의 거짓 1 바이블 2011.01.28 1736
14935 2300주야의 기산점에 대해서 오직말씀 2014.08.07 555
14934 23개 기독교단체 한진 희망의 버스 동참 선언 "희망 꽃 김진숙을 죽음으로 내몰지 말라" 6 산다는 것 2011.07.25 1215
14933 2520일 예언과 2030년 재림의 관련성 (파워 포인트) 1 김운혁 2014.11.11 538
14932 26년 로산 2012.12.09 1313
14931 28/1 송정섭박사의 식물이야기 오늘의 꽃 2 file 예그리나 2016.01.27 90
14930 28번 이혼한 뻔뻔한 목사, 그 이유 들어보니 `황당` 황당시추에이션 2012.03.01 1476
14929 29/1 송정섭박사의 식물이야기 오늘의꽃 file 난감하네 2016.01.28 52
14928 2년 앞도 몰랐던 150년전 선지자의 예언의 神 5 돌베개 2012.08.19 2324
14927 2년간 1인시위 전단지; 장소 : 정부종합청사 정문, 프레스센타앞, 기독교방송국앞 11 이동근 2012.08.17 3077
14926 2등은 꼴찌와 같은 것이다, 1 하주민 2015.10.07 131
14925 2만 촛불집회, 朴대통령 집중 성토 모퉁이돌 2013.07.13 1387
14924 2배 확고해진 2030년 재림(5분전에 깨달은 진리) 35 김운혁 2015.10.28 276
14923 2조 5천억짜리 유령 로산 2012.05.24 1888
14922 2주기에 붙이는 글 로산 2011.05.14 1650
14921 2천 억 자산가, 재산도 가족도 잃고…'기막힌 사연' 출처 : SBS 뉴스 2015.08.31 173
14920 2천년 묵은 마 28:1의 번역 오류 36 김운혁 2015.10.21 213
14919 2천년 재림 기별만 가르치지말고. 엿 만드는 기술 이라도 함께 가르쳐 주셨드라면 14 박성술 2013.04.07 2320
14918 2천년간 역사의 폐허 속에 묻혀 있었던 보배로운 예수님의 피로 세워진 안식일 "위대한 안식일" 26 김운혁 2014.08.24 758
14917 3 월 12 일 한국 민스다 모임 안내 드립니다 ( 최종 ) admin 2011.02.03 3092
14916 3 월에 꿈꾸는 사랑 - 이 채 잠 수 2011.02.27 1445
14915 3+1=1 1 하주민 2016.03.23 95
14914 3,4대까지 로산 2012.05.02 1827
14913 3. 1 절에 - 일본 항복조인식 잠 수 2011.03.01 1807
14912 3. [평화와 행복] 평화 = 평등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5.04.21 77
14911 3. 성경이 시사하는 바들 김균 2014.05.13 865
14910 3. 커밍아웃, 왜 하는 걸까요?: 소통과 해방 1 김원일 2016.07.06 94
14909 3/8 송정섭박사의 식물이야기 오늘의 꽃 file 난감하네 2016.03.07 88
14908 300, 50, 600 2 김균 2013.05.16 2032
14907 3004 님.. 여기 우라이야 스미스의 책을 다 옮겨놨습니다.. 열심히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9 김 성 진 2011.01.05 3741
14906 3040 교회 1 김주영 2011.06.25 1618
14905 3076번과 관련됩니다 로산 2012.04.02 3813
14904 30년, 3년, 3일, 3000년 김운혁 2015.02.07 228
14903 30년만에 LA로 돌아온 '장고' 1 Edchun 2013.03.23 2255
14902 30년만에 들어보는 주제 12 김주영 2013.09.28 2428
14901 30일치 식품비축 경고 (미국) 모퉁이 돌 2013.09.18 2524
14900 32000년과 6000년 8 로산 2012.02.21 1267
14899 32세에 죽은 <변덕스럽고, 화를 잘 내고, 음탕한> 인간 예언 2016.02.28 114
14898 33년 만에 돌아온 김추자! / YTN serendipity 2014.07.04 742
14897 35년 동안 계속되는 광주민주화운동 루머와 오보 --- '기레기' 언론의 역사 왜곡… “광주는 북한군 소행” “세월호 갈등 책임은 유가족 탓?” 기레기 2015.05.19 294
14896 35년만에 감동 이런 치과의사도 있다. 호순이 2014.06.27 732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