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들레님이 안나와서...
지난 10월 30일 북미지회 연례회의에서
대쟁투 보급에 대해 결의한 내용입니다.
스펙트럼에 나온 기사를 번역해서 싣습니다.
내용 교정과 자세한 이야기는 민들레님이!!!
======
지회는 대쟁투 보급에 있어 그 참여도의 범위를 지역 합회 재량으로 하도록 했다.
일요일 아침 북미지회 연례회의는
대총회장 테드 윌슨 목사가 역점을 주고 있는 대쟁투 프로젝트를 다루었다.
이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자금을 마련해야 하고 교인들의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
북미지회 지도자들은 대쟁투에 대해 섞인 감정을 갖고 있다.
...
가장 많이 논의가 된 부분은 콜롬비아 연합회장 데이브 웨이글리 (Dave Weigley)의 동의안이었는데
그 안의 골자는
지역 합회의 동의가 없이는 교단 출판사들이 그 해당 지역에 대쟁투를 대량 보급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었다.
지회장 댄 잭슨 목사에 따르면
대총회가 "대 희망 프로젝트 The Great Hope Project" 라고 명명한 이 프로젝트는
2012년 1월 1일 대대적으로 시작된다.
북미지회는 "각시대의 대쟁투" 를 축약시키고 현대화시켜
"대 희망 The Great Hope" 이라는 제목으로 책을 만들어
이것을 주로 보급할 것이라 한다.
잭슨 지회장은 지회 내의 각 합회의 자치적 결정을 존중한다고 수차 말했다.
합회가 원하면 축약된 버전 아닌 "각시대의 대쟁투" 원래 책을 원하는 대로 보급할 수도 있다고 했다.
그러나 그는 합회들이 이 일을 통해 인간관계가 보존되고 발전될 수 있는 길을 모색할 것을 강조했다.
아무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방 안의 코끼리는 단연 대쟁투에 담긴 카톨릭과 개신교에 대한 노골적인 비판의 내용이었다.
조심성 없고 목적 없는 무차별 보급의 위험이 말해지는 가운데
미시간 합회장 제이 길모어 목사는
이 동의안이 통과되면
지금 대대적인 우편 보급을 계획하고 있는 독립 선교단체들의 활동을 제약함으로
평신도들의 "발을 묶게" 되는 결과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워싱톤 DC지역의 Adventist Healthcare 총재인 빌 로버슨은 이 동의안에 찬성을 표했다.
자신이 속하고 있는 비재림교인들 전문인 사회를 언급하면서
보급 "방법" 이 "관계" 를 위태롭게 만들어서는 안된다고 했다.
의료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이런 "관계"들은 필수적이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합회가 방침을 결정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했다.
발언자들 대부분은 로버슨과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었다.
점심 시간 전에 이 동의안은 압도적인 지지로 통과되었다.
=========
대총회에서 방침을 정한다.
지회와 합회는 그것을 따른다...
상명하달이 아직도 통하는군요.
대총회장과 그 사모님은
최근에 다시 대쟁투를 읽으면서
우리 시대에 꼭 필요한 기별이라 여겨서
가을 낙엽처럼 뿌려야겠다고 했다고 합니다.
"각시대의 대쟁투" 를 축약하고 현대화 시킨 버전 이름이 "대 희망" 이랍니다.
아마 일요일을 지키는 개신교와 카톨릭에 대한 정죄
그리고 그 음모에 대한 이야기들
이런 것들이 빠지게 될 것 같은데...
누가 말했던가
가시 없는 장미는 장미가 아니다?
------
이 기사에 대한 어느 댓글에서
어떤 신학생이 이런 말을 했더군요.
목회자 협의회에 가 보았더니
합회장이 하시는 말씀
"화잇 자매가 이 책을 가을 낙엽처럼 뿌리라 하셨다.
목회자 동지들 중에 이런 일에 동의하지 않는 분들이 많은줄 안다.
그러나 우리는
선지자가 하라고 하셨기 때문에
그렇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