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여객선 침몰]학부모의 절규 "떠날 거예요…나 대한민국 국민 아닙니다

" 2014-04-23 06:00 진도=CBS노컷뉴스 김민재 기자

 

"1등 부모인 줄 알았는데 지키지도 못했다…

 

정부·언론 모두 믿을 수 없어요" 세월호 침몰 1주일, 지지부진한 정부의 수색작업은 "남 부럽지 않게 키웠다"고 자부하던 한 엄마를 "내 새끼도 지키지 못하는 부모"라며 자책하게 바꿔놓았다.

 

전남 진도군 실내체육관에서 지쳐보이는 실종자 가족이 구조소식을 기다리며 눈물짓고 있다.

 (사진=윤성호 기자)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김모(50·여) 씨는 백일기도를 드리고 있었다.

미국에서 의사 공부를 하는 큰딸, 판사가 꿈이라며 전교 1등을 놓친 적 없는 작은딸을 위한 기도였다. "1주일 전만 해도 내 자식들에게 유능한 부모라고 생각했어요. 발버둥 쳐서 이렇게 왔는데, 정말 남 부럽지 않게 내 딸 인재로 만들어놨는데…". 지금 김 씨는 진도항에 있다. 단원고 2학년인 작은딸이 저 바다 깊이 가라앉은 세월호에 있기 때문이다.

 

 

세월호 침몰 후 사흘 동안 김 씨는 먹지도 자지도 못한 채 울부짖었다. 견디다 못한 남편이 쓰러졌다. 말을 더듬고 눈이 풀린 채 온몸이 경직된 남편 앞에서 김 씨는 눈물조차 흘릴 수 없다. "남편 때문에 눈물을 참다 더는 참으면 안 될 것 같아서 숨어서 수건으로 입을 막고 울어요. 화장실에서 울고 눈을 닦는데 눈을 뜨자마자 '아직도 우리 딸이 저기 있네' 생각이 들어서 눈물이 확 쏟아져요. '이러면 안 되는데' 하면서도 마음이 추슬러지지 않아요". 아무리 독한 마음을 먹어도 딸 얘기를 할 때마다 김 씨는 몸을 가누기 힘들어했다.

 

 

옷 한 번 사달라고 한 적 없던 딸이다. 용돈을 달라 할 나이에 공부 열심히 해서 받아온 장학금을 엄마 보약 먹으라고 내밀던 딸이다. "딸이 TV 틀어놓고 스마트폰 만지면 제가 '전기 먹는 하마'라고 놀렸거든요. 그때마다 '엄마 미안해'라고 말했는데… 내가 이제 집에 돌아가면, 며칠 전에 봤던 그 모습을 이제 볼 수 없잖아요". "내 친척이든 친구든 주변에 멀쩡하게 자식 살아있는 친구들을 만나지 못할 것 같아요. 솔직한 심정으로 누구라도 날 건드리는 사람 있으면 칼 가지고 찔러 죽이고 싶어요". 그렇게 진도항과 체육관을 오가며 보낸 1주일. 김 씨의 결론은 "나는 내 새끼도 지키지 못하는 못난 부모"였다.

 

 

 "내가 참 못난 부모구나, 자식을 죽인 부모구나. 이 나라에서는 나 정도 부모여서는 안 돼요. 대한민국에서 내 자식 지키려면 최소한 해양수산부 장관이나 국회의원 정도는 돼야 해요. 이 사회는 나 같은 사람은 자식을 죽일 수밖에 없는 사회에요". "저 동정받을 사람 아니에요. 나 60평짜리 아파트 살아요. 대학교에서 영문학 전공했고, 입시학원 원장이고 시의원 친구도 있어요. 이 사회에서 어디 내놔도 창피할 사람 아니라고요. 그런데 이제는 내가 살아있는 것 자체가 저주스러워요. 우리 딸 나오길 기다리는 한 시간 한 시간이 피를 말려요".

여객선 '세월호' 침몰 사고 이레째인 22일 오전 전남 진도항에서 한 실종자 가족이 바다를 바라보며 오열하고 있다. (사진=윤성호 기자)  

 

 

김 씨는 이제 더는 정부도 믿을 수 없었다. "능력이 없어서 못 하면, 한 명이라도 구하겠다고 애쓰면 저 사람들도 귀한 목숨인데 감사하죠. 그런데 구조 매뉴얼도, 장비도, 전문가도 없다면서 아무것도 안 했어요. '헬리콥터 10대를 띄웠다'고 하는데 믿을 수 없어서 가족 대표가 가보면 1대도 없었어요". "박근혜 대통령이 와서 잠수부 500명을 투입했네 해도 거짓말이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어요.

 

 

내 자식을 놓을 수가 없어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기다리면 또 거짓말이에요. 그렇게 날이 지나서 애들 다 죽었어요". 꼼짝도 않는 정부에 던진 달걀이 바위를 더럽히지도 못하는 심정. 김 씨는 대한민국을 버리겠다고 말했다. "다 정리하고 떠날 거에요. 나 대한민국 국민 아닙니다. 이 나라가 내 자식을 버렸기 때문에 나도 내 나라를 버립니다

 

 

". 못 믿기는 언론도 마찬가지였다. 남들 눈에는 뻔한 거짓말이라도 확인받고 싶은 부모 마음을 미개하다는 듯 말하는 사람들이 답답했다.  "부모들이 오보에 놀아난다는 식으로 보도해요. 정부는 정말 잘하는데 부모들이 조바심이 난다고요. 290명 넘게 갇혀있었는데 한 명도 못 구하면 이상하다고 생각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구조하겠다는 의지도 없이 구조한다고 발표한 걸 그대로 받아서 방송에서는 열심히 구조하고 있다고 거짓보도 했어요". 눈물을 흘리며 자신을 탓하던 김 씨는 '이 나라에서는 언제든지 당신도 나처럼 자식을 잃을 수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제가 30대 때 삼풍백화점이 무너졌어요. 사연 들으면서 많이 울었는데, 지금 생각하면 그 뒤로 제가 한 일이 없는 거에요.

 

 

10년마다 사고가 나는 나라에서 제도를 바꾸려고 아무 노력도 하지 않아서 제가 똑같은 일을 겪었어요. 지금 SNS하면서 울고만 있는 젊은 사람들, 10년 뒤에 부모 되면 저처럼 돼요. 봉사하든 데모하든 뭐든 해야 돼요".

  • ?
    등대지기 2014.04.23 06:15
    주여 !
    주님앞에 엎드림니다
    한국 국민들을 긍휼히 여겨 주십시요.

  1.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Date2014.11.30 By김원일 Views10402
    read more
  2.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Date2013.04.06 Byadmin Views36650
    read more
  3.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Date2013.04.06 Byadmin Views53664
    read more
  4. 필명에 관한 안내

    Date2010.12.05 Byadmin Views85451
    read more
  5. 한 작은 교회가 세월호를 기억하는 방법

    Date2015.04.14 By작은교회 Views253
    Read More
  6. 한 일본인의 희생이 유대인 30,000 명을 구하다

    Date2012.11.21 By옮긴자 Views1375
    Read More
  7. 한 여인의 일곱 번째 남자

    Date2011.02.08 By아기자기 Views3746
    Read More
  8. 한 여름밤의 꿈-내용 수정

    Date2016.08.11 Byfallbaram. Views294
    Read More
  9. 한 여름밤의 꿈-One Summer Night's Dream

    Date2016.08.09 Byfallbaram. Views210
    Read More
  10. 한 신학자가 말하는 안철수

    Date2012.08.04 By Views2538
    Read More
  11. 한 신학도의 비보를 알리며

    Date2011.09.13 Bypasser-by Views2558
    Read More
  12. 한 사람이 그리스도인으로 대한민국에 산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이명박 대통령을 보면 알 수 있다.

    Date2011.09.23 By이해해 Views2535
    Read More
  13. 한 사람도 빼놓지 말고 모든 사람에게 <재림이 매우 촉박하다>고 알려야 합니다

    Date2015.02.21 By예언 Views263
    Read More
  14. 한 번만 할 수도 있다는 롬니의 갬블 (로스 도하ㅌ

    Date2012.09.06 By강철호 Views4334
    Read More
  15. 한 번 구원은 영원한 구원인가? 구원의 확신의 충격적인 실체-교리개혁은 바로 이런 것을 말하는 것이다.

    Date2016.08.08 By눈뜬장님 Views191
    Read More
  16. 한 밤의 불청객

    Date2016.02.28 By바다 Views103
    Read More
  17. 한 목사가 목격한 사형수 8명의 최후

    Date2012.09.11 By김원일 Views3211
    Read More
  18. 한 명 바뀌었을 뿐인데.

    Date2012.05.01 By서초타운 Views2267
    Read More
  19. 한 때는 양심적이었지..

    Date2012.05.06 By푸른송 Views1933
    Read More
  20. 한 때 안식일교회 목사였던 사람이...

    Date2012.02.20 By김주영 Views2136
    Read More
  21. 한 대학생은 이렇게 말했다.

    Date2012.12.12 By김원일 Views924
    Read More
  22. 한 눈에 보는 청와대 ‘정윤회 문건 유출’ 파문

    Date2014.12.19 By저고리 Views416
    Read More
  23. 한 놈이라도 목숨걸고 싸워야"

    Date2014.08.16 By노란리본 Views548
    Read More
  24. 한 놈만 팬다

    Date2014.05.21 By김균 Views830
    Read More
  25. 한 건축가의 죽음

    Date2014.02.27 Bysoutherncross Views1232
    Read More
  26. 한 개인의 과거와 신상에 관한 글 삭제했습니다.--수정

    Date2012.03.29 Byadmin Views2512
    Read More
  27. 한 가지 사실을 두 가지로 해석하는 법-시골생활님께

    Date2013.07.30 By김균 Views1478
    Read More
  28. 한 가지 물어 보려고요

    Date2011.12.11 By로산 Views1192
    Read More
  29. 학식이 있는 사람이 실패를 많이 하는 이유

    Date2014.11.14 By예언 Views518
    Read More
  30. 학생증을 손에 꼭 쥐고 발견된 학생들이 많았었다는 기사들로 미루어 !!

    Date2014.04.25 By슬픈현실 Views1050
    Read More
  31. 학생증 쥐고 간 아이들을 위한 조사: 조연희

    Date2014.04.28 By김원일 Views1998
    Read More
  32. 학생들 마음에 등을 달아주는 예수 같은 스님(수정)

    Date2012.05.29 By西草타운 Views2162
    Read More
  33. 학생님에게 뒤늦게 답변을 올립니다..

    Date2011.07.16 By김 성 진 Views1668
    Read More
  34. 학생, 청년 전도법 1(수정: 마지막 댓글에 첫째 천사의 기별과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에 대한 명쾌한 설명 추가)

    Date2012.07.15 By최종오 Views3461
    Read More
  35. 학살의 종범 대한민국 학피아들의 나라 말아먹기

    Date2014.06.10 By김원일 Views906
    Read More
  36. 학부모의 절규"떠날 거예요....나 대한민국 국민 아닙니다"

    Date2014.04.23 By내나라를버립니다 Views835
    Read More
  37. 학부모 눈물의 행진.

    Date2014.04.19 By청와대 Views702
    Read More
  38. 학문과 상황에 관해 - 남십자성 님을 환영하며

    Date2012.11.08 By김주영 Views1511
    Read More
  39. 학교선 못 배우는, 내 아이에게 가르칠 것들

    Date2016.04.24 By비올라 Views71
    Read More
  40. 학교 홍보지 전락…대학언론은 정말 '노답'인가

    Date2015.06.19 By겸양 Views257
    Read More
  41. 학교 급식 이데로 좋은가?

    Date2012.06.29 By단체급식 Views2352
    Read More
  42. 하현기선생님

    Date2016.02.07 By대표 Views342
    Read More
  43. 하현기님!

    Date2016.02.11 By대표 Views182
    Read More
  44. 하현기님 헛 제삿밥 같은 헛교수에게 발렌타인데이에 드리는 달달한 선물입니다!

    Date2016.02.14 By대표 Views65
    Read More
  45. 하현기님 통일은 이렇게 시작하는 것입니다

    Date2016.02.20 By통일로 Views34
    Read More
  46. 하현기님 통일도 중요하지만 이 목사님 석방을 위한 탄원기도가 더 절실해보입니다.

    Date2016.02.18 By대표 Views126
    Read More
  47. 하현기님

    Date2016.02.16 By돌배 Views101
    Read More
  48. 하현기님

    Date2016.02.17 By대표 Views105
    Read More
  49. 하현기님

    Date2016.02.19 By대표 Views82
    Read More
  50. 하현기 선생이 (사)평화교류협의회 회원들에게 보내신 이메일에 여러분의 의견을 묻습니다. 적극적인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Date2015.12.11 By(사)평화교류협의회[CPC] Views114
    Read More
  51. 하현기 선생님께(3)

    Date2016.02.19 By진실은무엇인가 Views26
    Read More
  52. 하현기 선생님께(2)

    Date2016.02.19 By진실은무엇인가 Views41
    Read More
  53. 하현기 선생님께(1)

    Date2016.02.19 By진실은무엇인가 Views65
    Read More
  54. 하현기 선생님! ...꼭 보시고 생각의 폭을 넓혀 보세요^^

    Date2016.02.19 By개성공단과사드 Views46
    Read More
  55. 하현기 님, 접장님, 욕나오내요.

    Date2016.02.14 By한마디 Views142
    Read More
  56. 하하하하하

    Date2014.12.15 Byfallbaram Views585
    Read More
  57. 하찮은 사람의 5과 교과

    Date2015.05.03 By민아 Views200
    Read More
  58. 하찮은 들 풀...

    Date2016.08.07 By소리없이... Views112
    Read More
  59. 하지만 신앙은 궁극적으로 하나님과 씨름하는 겁니다.

    Date2016.01.23 By김원일 Views120
    Read More
  60. 하이고, 큰일이다 !!! 내가 아담스 대학 출신이란 사실을 RICHARD 학장님에게 들켰다 !!! (수정2)

    Date2010.11.24 By김 성 진 Views2494
    Read More
  61. 하용조 목사 장례예배 울음속에서 폭소(퍼옴)

    Date2011.08.04 By김기대 Views1997
    Read More
  62. 하와를 유혹한 뱀은 <날개있고 금빛광택이 눈부신 아름다운 동물>이었습니다

    Date2015.03.24 By예언 Views193
    Read More
  63. 하와가 선악과를 따먹지 않았다면 - 빠다가이님

    Date2011.01.06 By김주영 Views1330
    Read More
  64. 하여간 미국이나 한국이나 ㅉㅉㅉ

    Date2011.10.19 By김주영 Views1869
    Read More
  65. 하얀 비단에 싸인 밤

    Date2013.03.20 By행복한고문 Views1963
    Read More
  66. 하얀 목련 - 양희은 "하얀 목련이 필때면 다시 생각나는 사람/ 봄비내린 거리마다 슬픈 그대 뒷모습..."

    Date2014.03.31 Byserendipity Views1427
    Read More
  67. 하시마 섬의 민낯과 한국의 진상

    Date2015.09.14 By한국 Views147
    Read More
  68. 하시디즘 알기

    Date2011.05.20 By제자 Views2138
    Read More
  69. 하버드대학 박사 학위 논문- 일요일 휴업령

    Date2014.11.22 By그날이오면 Views545
    Read More
  70. 하버드 특강 - [공리주의의 문제점]

    Date2012.07.25 By반달 Views3176
    Read More
  71. 하박국의 딜레마 - Oslo fantasia

    Date2011.07.26 By아기자기 Views1994
    Read More
  72. 하물며....스다는 어떤가

    Date2014.12.18 By하물며 Views400
    Read More
  73. 하문하답: 교인들 간의 고소문제 2

    Date2016.07.19 By최종오 Views535
    Read More
  74. 하문님에게 답글, 영어권 자녀들을 위한 아스파탐 관련 자료들

    Date2010.11.30 By건강 Views25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