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결과 더 치명적일수도
광우병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광우병에 걸린 소의 고기를 먹으면 사람도 인간광우병(변형 크로이츠펠트아코프병·vCJD)에 감염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농무부는 이번에 광우병으로 확인된 소는 10년7개월령의 젖소라고 26일 밝혔다. 미국 내 카운티 가운데 축산물 생산 순위 1위인 캘리포니아 툴레어 카운티의 낙농가에서 사육됐고, 최근 주저앉는 증상이 나타나 안락사 처리했다는 것이다. 미국 농무부는 “이 젖소가 식용으로 유통될 위험성이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우리 농림수산식품부는 “이번에 광우병에 걸린 미국의 소가 30개월 이상의 젖소이고 감염성 위험이 낮은 비정형 광우병”이라며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미국산 쇠고기는 안전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다른 통계자료나 전문가들의 의견도 있다. 정부의 주장과 이에 대한 반박 의견을 문답 형식으로 정리했다.
■ 30개월 이상 젖소라서 수입 중단 필요없다? 2003년 12월 미국에서 광우병이 발생해 우리나라가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중단할 때도, 광우병에 걸린 소는 30개월령 이상(80개월령)의 젖소(홀스타인 암소)였다. 미국에서 사육된 것도 아니다. 캐나다 알버타주에서 1997년 4월에 태어나 사육되다가 미국 워싱턴으로 수입돼 광우병 확진을 받은 것이었다. 그런데도 당시 우리나라 정부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중단했다.
특히, 젖소에서 광우병이 많이 발생한다. 일본에서 발견된 36건의 광우병 중 32건(89%), 캐나다 18건 중 10건(56%), 미국 4건 중 2건이 젖소였다. 만약 젖소라는 이유로 수입을 중단할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주장한다면, 광우병이 발생했을 때 대부분 수입을 중단할 수 없을 것이다.(미국·캐나다·일본 정부)
■ 젖소는 국내에 수입되지 않는다? 지난해 미국에서는 291만4200마리의 젖소가 도축했다. 전체 도축된 소의 8.7%이다. 이후 미국의 유통과정은 황우인지 젖소인지 구분하는 시스템을 갖추지 않고 있다. 국내에도 30개월 미만이라면 당연히 유입된다. 또 젖소는 가공용 쇠고기로 많이 팔리는데, 우리나라는 지난해 식용 가공육품을 미국에서 1047만3551㎏ 들여왔다. (미 농무부ㆍ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 비정형성 광우병이라 안전하다? 비정형 광우병이 인간에게 전염되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지만, 최근 동물 실험에서는 비정형 광우병이 되레 더 치명적일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되고 있다. 2008년 1월 <바이러스학회지>를 보면, 인간 프리온 유전자로 형질 전환을 한 생쥐로 실험을 해보니, 비정형 광우병이 인간의 프리온 유전자를 변형시킨다는 게 확인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다. 비정형 광우병의 평균 잠복기는 22∼22개월로 더 짧고, 전형적인 광우병보다 전염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박상표 국민건강을 위한 수의사연대 정책국장)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
먹으면 죽으리라
창세기의 선악과가 변형된 것이 광우병 쇠고기 아닐까?
ㅋㅋㅋ
로산 장로님
다른 기사에는 이런 내용이 있네요.
비정형 광우병이 더 위험? 인간에 전염된 사례 없어
한국경제 | 입력 2012.04.30 18:광우병 소는 수출용? 한국에 못들어와
인니·태국은 수입 중단? 위험부위만 차단
4 년 전 광우병 파동이 재연될 조짐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젖소 한 마리가 광우병에 걸린 것을 놓고 인터넷에서 '믿거나 말거나' 식의 무차별 광우병 괴담이 확산 중이다. 전문가들은 이 대목에서 중요한 것은 '진실'이라고 강조한다.
◆(괴담 1) 비정형이 더 위험?
인 터넷에선 '비정형 광우병이 기존 광우병보다 사람에게 전염될 가능성이 높고 더 치명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주장이 전파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과학적 근거가 전혀 없는 얘기다. 동물실험 결과 비정형 광우병을 야기한 단백질인 변형 프리온은 정형 광우병의 프리온에 비해 병원성이 약 20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영순 서울대 수의학과 명예교수는 "비정형 광우병은 수만년 전부터 10살 이상 고령소 수백마리 중 한 마리씩 유전적으로 생기는, 어느 나라에서나 발생할 수 있는 병"이라고 설명했다.
◆(괴담 2)비정형도 전염되나?
비 정형 광우병은 거의 전염성이 없다. 정형의 경우도 강제로 광우병 걸린 소의 뇌(혹은 프리온 성분 있는 척추)를 꺼내서 먹지 않으면 상관이 없다. 이미 미국과 국내 학계에서도 광우병 걸린 살코기와 우유, 혈장은 광우병을 옮기지 않는 것으로 판명이 났다.
◆(괴담 3)광우병 소는 수출용?
강우철 통합진보당 동작구 위원장은 최근 자신의 트위터(@75kang)에 "미국 라디오 방송에 따르면 광우병 소는 수출용에서 나온 것이어서 미국 국민은 안심해도 된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수출용 광우병 소' 논란이 불거졌다.
그러자 한 트위터 이용자가 "미국 어느 라디오에서 언제 방송했나"라고 물었는데, 이에 강 위원장은 "현지인이 페이스북으로 알려왔다. 직접 조사해 보라"고 맞받았다. 농림수산식품부는 30일 "확인한 결과 미국 내 그런 보도는 없었다"고 발표했다.
◆(괴담 4)한국인, 광우병에 취약?
지난 27일 정봉주 전 의원의 인터넷 팬카페에 "인간 광우병 발병 확률이 미국인은 38%, 한국인은 95%"라는 정체불명의 글이 올라왔다. 이를 두고 학계에선 찬반 양론이 팽팽히 맞섰다. 현택수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어수선한 정국을 틈타 의도적으로 괴담을 퍼뜨리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괴담 5)인니·태국은 수입 중단?
인 도네시아 등은 뼈 있는 소고기, 내장 등 일부만 수입을 중단했고 뼈 없는 소고기는 계속 수입하고 있다. 뇌, 척수, 내장 등 광우병 위험물질(SRM) 수입을 원천적으로 막고 있는 우리나라와 수입 조건이 같아진 셈이다. 최인수 건국대 수의학과 교수는 "미국에서 유통되는 소에서 광우병이 많이 발생하면 수입 소에도 당연히 문제가 되겠지만 그렇지 않다. 몇 년 만에 한 건 발생했는데 그런 소가 수입소로 둔갑해 들어오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준혁/김태훈/서보미/은정진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