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식일교회와 계몽주의 사상과의 유사점
계몽주의란 기존 질서와 주류 문화에 반하여 저항하여 인간의 어리석음을 깨우치고 인간성회복에 목적을 두고 도시를 버리고 청빈한 시골생활을 통하여 인간성을 회복하자는 것
18세기 산업혁명이 100년에 걸쳐 진행되어 인구의 도시집중과 자본주의의 발전으로 자본가들의 타락한 모습과 빈민층의 박탈감이 상대적으로 대비되면서 루소를 비롯한 계몽주의 운동은 기존질서에 반항하여 자연으로 돌아갈 것을 외쳤고 그로인하여 톨스토이를 비롯한 문인들의 계몽주의 소설이 많은 지지를 받게 되었다
1, 도시를 악으로 보고 시골생활을 강조하는 점. (특히 노작교육)
2, 채식주의 재림교회 창립시기의 역사의 지식인들 중에 채식 주의자들 중 다수가 계몽주의자들이었음
토마스 홉스 존 로크 볼테르 디드로 달랑베르 몽테스키외 장 자크 루소 칸트 헤겔
톨스토이 윌리엄 워즈워드 토마스 에디슨 민튼 마크 트웨인 벤저민 프랭클린 러셀 밀턴 슈바이처 마하티마 간디 특히 존 하비 켈록 의사등
안식일교회의 식생활은 레위기 11장이 출발점이 아니라 채식과 육식으로부터 출발합니다.
3, 무저항 비폭력주의 루소의 계몽주의가 톨스토이를 통하여 체계를 갖추고 간디를 통하여 현실세계의 정치에서 실현됩니다.
악은 모양이라도 버리라는 말씀에 근거하여 1,2차 대전 중에 집총을 거부하고 비무장으로 참전하는 안식일교인들의 모습이 퀘이커 교도들과 함께 부각됩니다.
4, 청빈하고 청렴한 도덕적 삶을 추구하고 이생의 안락을 죄로 여기는 사상
5, 자유, 평등, 박애,
6, 자연을 사랑하는 아끼는 사상(천연계속에 역사하시는 하나님)= 범신론의 각색
스피노자(범신론)→뉴턴(기계적 우주론)→존 로크 →루소→ 존 하비 켈록→ 엘렌 G화잇→천연계속에 역사하시는 하나님
7, 교육의 중요성 (루소의 에밀은 어린아이 교육의 바이블로 여겨짐 유년기, 아동기, 소년기, 청년기, 성년기)
8, 실천적 신앙 철저한 율법준수 및 경건한 예배(실천적 철학)마르크스의 자본론
9, 가난 구제
10, 안식일을 통한 이웃사랑 및 유무상통 부의 편중을 악으로 봄
11, 복지제도 (사역자 교역자 )
12, 열악한 의료환경개선
계몽주의 사상으로 일어난 일련의 사건들,
종말론적 재림운동들
경건 회복운동
프랑스 혁명을 야기 시킨 자유 평등 운동
공산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민주주의의 확산
진화론
채식 운동
농촌 계몽운동
자연보호운동
비폭력 무저항 운동
교육 활성화 문맹퇴치
사회보장제도 복지
어제는 잘 마치셨습니까?
마음 속으로 홧팅했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