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248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정여울의 청소년인문학 

원글: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527159.html


타인을 ‘밑바닥 인생’에서 구해내겠다는 생각은 아름답지만 위험한 상상이다.

구원의 의지는 순수한 선의에서 우러나오기도 하지만, 자신의 능력을 보여주기 위한 ‘욕망’에서 시작되기도 한다. 

그것이 자선이나 교육의 형태로 나타날 때는 더욱 은밀한 폭력성을 띠기 쉽다. 누군가를 밑바닥 인생에서 구한다면, 

그다음에는 어찌할 것인가. 누군가를 구할 수 있다고 해도, 구조자와 피구조자 사이에 어쩔 수 없이 생기는 권력관계는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일, 구원에는 뜻하지 않은 폭력성이 깃들어 있다. 인간은 타인을 구원할 수도 있지만, 

그 구원의 힘은 구조자의 소유물이 아니다. 게다가 구조자와 피구조자 사이에 싹트는 감정이 사랑에 가깝다면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너를 구원하겠다’는 의지는 ‘네가 날 사랑하지 않는다면 용서하지 않겠다’는 독단으로 바뀌기 쉽기에.



수많은 사람들은 타인을 구원하며 살아간다. 그러나 타인을 구원한 후에도 그 사람과 ‘친구’가 되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내가 너에게 무엇을 주었다’는 자부심에서 자유롭기는 어렵다. ‘내가 너에게 무엇을 받았다’는 부채감에서 자유롭기는 더 어렵다. 

구원이 필요한 곳은 도처에 흘러넘친다. 하지만 그 구원은 구조자의 것도 피구조자의 것도 아니다.

버나드 쇼는 일찍이 이 ‘구원의 폭력성’을 예리하게 간파했다. <마이 페어 레이디>로 더 잘 알려진 희곡 <피그말리온>에서 

언어학자 히긴스는 거리의 꽃 파는 처녀 일라이자에게 ‘귀족형 영어와 고상한 에티켓’을 주입시킴으로써 

그녀를 일약 사교계의 여왕으로 등극시킨다. 일라이자의 꿈은 ‘올바른 영어’를 씀으로써 어엿한 꽃집 점원으로 취직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막상 그녀가 사교계의 여왕으로 떠오르자, 그녀는 꽃집 점원도, 귀부인도, 숙녀도 될 수 없는 자신을 발견한다. 

두 사람 사이에는 ‘구원자-피구원자 사이의 부채관계’와 ‘사랑과 우정 사이’라는 미묘한 감정의 전류가 흐르지만, 

히긴스는 끝까지 구원자의 특권을 사수함으로써 자신에게 최초로 찾아온 진정한 사랑의 힘을 깨닫지 못한다.



우리는 끊임없이 타인에게 무언가를 주고 싶어 한다. 무언가를 조건 없이 주는 것만큼 기쁜 일도 흔치 않을 것이다. 

우리는 무언가를 ‘받는 일의 불편함’은 잘 알고 있다. 

동정이나 연민에 대한 사람들의 알레르기 반응은 ‘기쁘게 받는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증명한다. 

그러나 우리는 ‘주는 사람의 불편함’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하지 않는다. 무언가를 주는 것, 줄 수 있다는 사실은 마냥 기쁜 일 아닌가. 

하지만 자신에게 소중한 무언가를 타인에게 주는 사람들은 ‘주는 마음’ 또한 왠지 편치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종교학자 나카자와 신이치의 <사랑과 경제의 로고스>는 이 ‘주는 사람의 불편함’이 지닌 신화적 본질을 성찰한다. 

내가 타인에게 준 것의 정체는 무엇인가. 왜 주었는데도 마음이 불편한가. 내가 누군가에게 값비싼 선물을, 

엄청난 지식을, 대단한 기회를 주었는데도, 왜 내 마음은 편안해지지 않는가. 우리는 타인에게 무언가를 ‘줌’으로써 

너무 커다란 기쁨을 얻기 때문에 그 기쁨에 대한 부채의식을 갖는 것이 아닐까. 

혹시 우리는 천국에 가기 위해, 신에게 혼쭐나지 않기 위해, 누군가에게 베풀고 있지는 않은가. 

나카자와 신이치는 이 ‘증여’의 주체는 눈에 보이는 것처럼 인간 자신이 아니라고 말한다. 

우리가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줄 수 있다면, 그 선물의 소유자는 우리 자신이 아니라 

‘사랑과 경제의 로고스’라는 거대한 신화적 힘이라는 것이다.



우리가 누군가에게 기적 같은 사랑을 베풀 수 있다면, 

그건 ‘인간의 힘’이 아니라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어떤 신성한 힘’이 아닐까. 

남을 돕는 일을 자신의 경력으로 활용하는 사람들은, 극단의 에고이즘에서 우러나온 허울 좋은 이타심을 ‘자선’이라 표현한다. 

우리는 끊임없이 도움을 주고받는다. 선물을 받은 사람에게만 보답하고, 선물을 줄 가치가 있는 사람에게만 선물을 준다면, 

세상 모든 사람들이 그런 식으로만 도움을 주고받는다면, 이 세상에는 어떤 뜻밖의 기쁨도, 증여의 보람도 없을 것이다. 

‘기브 앤 테이크’ 식의 교환이 아닌, 주고받는 일 자체의 기쁨을 소통하는 일. 엉뚱한 이에게 주고, 

예상치 못한 이에게 받기를 통해 인간은 ‘주고받음’의 주체가 결코 인간의 합리적 이성이 아니라는 점을 깨닫는다. 

사람들은 ‘아는 사람들끼리만 선물을 주고받는다’는 고정관념을 깨기 위해 해마다 산타클로스를 기념하는 것이 아닐까. 

인간은 구원이나 선물을 자신의 소유물로 등록하고 싶은 욕심을 치유하기 위해 신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발명해낸 것인지도 모른다. 

나와 너 사이에 ‘신의 사랑’이 개입하는 순간, 우리는 주었다는 자만심과 받았다는 부채감으로부터 동시에 자유로워질 수 있으니.



정여울 문학평론가


-----------------------------------------------------------------------------


우리만이 진리를 가졌고, 그래서 우리를 통해서만 구원이 전달된다고 생각할 경우

생각치 않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글입니다...

물론, 본글은 부채감을 생성시키는 구원 전달방식은 "사랑"의 시스템이 아니라 "이해관계" 시스템에 가깝다는 주장에 방점이 찍혀있죠.

'청소년' 인문학이라는말에 우리의 모습이 조금 부끄러워지기도 합니다요^^



  • ?
    student 2012.11.14 04:39

    "내가 내게 있는 모든 것으로 구제하고 또 내 몸을 불사르게 내어 줄찌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게 아무 유익이 없느니라"  (고전13:3)

    이 성경구절이 생각나는 군요.

    좋은 글입니다.  감사합니다.

    혹 윗글을 쓰신 분은 기독교인이신지요?

    걍 궁금해서...


  • ?
    잔나비 2012.11.14 13:21

    그건 저도 잘 모르겠네요^^;;

    그랬을 가능성도 있지만,

    기독교인이 아니어도 저런식의 생각은 가능하지 않을 런지요.ㅎ

  • ?
    괘도루팡 2012.11.14 14:22

    바둑의 고수가  하수에게 '그래 한번 대국에 응해주지...'  시혜를 베푸는 것 같이....

    배드민턴 고수가  초보자에게 못 마땅하다는 듯이  ' 그래 한번 쳐주지...' 

    ' 당신이 나와 한번 쳐보는 것을 영광으로 생각해야 할 거요~'

    지식이 많은 사람이  한심하다는 듯이  '그래 한번 알려주지...'  ' 이런 거 가르쳐 주는 것 감사하게 생각 하슈~'


    이런 것들이 일종의 가진자의 폭력입니다. 

    정치적 권력자, 경제적 권력자 만이 가진자의 폭력을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형태로든지 우월적 지위에 있는 사람이  

    상대방을 도우면서 내면적으로는 깔보는 것은 <폭력> 입니다.


    주님께서는 겸손하게 내려 오셨는데 

    우리는 진리를 가졌다는 우월적지위라는 생각으로 내려가기를 거부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2010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83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53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61
4535 철학과 윤리와 도덕. 바이블 2012.11.16 1226
4534 하나님의 뗑깡, 연인의 뗑깡, 그 진정한 의미--이렇게 좋은 설교 4 김원일 2012.11.16 1955
4533 천국복음 그리고 영원한 복음 손님오셨다 2012.11.16 1231
4532 2300주야와 일요일 휴업령 바이블 2012.11.16 1495
4531 점선 이어 그림 그리기:666에 대해 - 제임스 님게 1 김주영 2012.11.16 1413
4530 理念 님 8 김원일 2012.11.16 2553
4529 하나님은 어떻게 아담에게 생육하고 번성 하라 했나. 3 박희관 2012.11.16 1739
4528 기독교 풍자 - 유대인이 본 기독교 / 루이스 블랙, 조지 칼린 - "루이스 블랙과 조지 칼린이 하는 말은 불경하다기 보다는 기독교의 각성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하면 건강할 것 같습니다. 기독교가 교회를 교회답게, 하나님을 하나님답게 하지를 못한 역사에 대한 반성을 해야하지 않을까요" 1 serendipity 2012.11.16 2543
4527 죽을 때 후회하는 스물다섯 가지 = "죽음은 여전히 우리의 숙명입니다...사랑하는 사람에게 고맙다는 말을 많이 했더라면, 진짜 하고 싶은 일을 했더라면, 감정에 휘둘리지 않았더라면, 기억에 남는 연애를 했더라면, 죽도록 일만 하지 않았더라면, 삶과 죽음의 의미를 진지하게 생각했더라면...지금 무엇을 가장 후회하고 있나요?" serendipity 2012.11.16 4658
4526 [박희관 님이 신청하신 곡입니다]^^ 사랑하기 때문에 / 유재하 - "...해맑은 미소로 나를 바보로 만들었소...다시 돌아올 그대 위해 내 모든것 드릴테요 우~리 이대로 영~원히 헤어지지 않으리" 유재하가 살아있다면, 김현식이 살아있다면...그런 생각을 하면서 살았더랬지요. 유재하가 있어서 내 2,30대는 더 풍요로웠습니다. 1 serendipity 2012.11.16 1806
4525 666 is coming....(뉴욕타임즈) 5 제임스 2012.11.15 13634
4524 돌아온 장고 21 Windwalker 2012.11.15 1858
4523 뻐러가이의 20년-2- (소제: 민초를 위한 제도) 2 뻐러가이 2012.11.15 1252
4522 [평화의 연찬(제36회, 2012년 11월 17일(토)] 마이스터제도를 중심으로 본 독일 농업|최창규(강원농업마이스터대학 4학년, (사)평화교류협의회 상생공동대표) | 김경량(1995) |『 통일과 농업 - 독일의 교훈 』| 강원대학교출판부 (사)평화교류협의회 2012.11.15 1436
4521 *** 이누리의 << 건국 理念 >> 입니다 *** (옮긴글) 7 理念 2012.11.15 1493
4520 교리에 있건 없건 3 로산 2012.11.15 1549
4519 도대체 일요강제휴업령이 어디있는지 9 동쪽인 2012.11.14 1717
4518 뻐러가이의 20년 9 뻐러가이 2012.11.14 1548
4517 꿈도 야무지셔-student님 6 로산 2012.11.14 1528
4516 나의 요리 2; 빵 1 강철호 2012.11.14 1417
4515 오빠생각 / 이정숙 - "서울가신 오빠는 소식도 없고 나뭇잎만 우수수 떨어집니다."...암울했던 일본제국주의시대, 작사가 최순애가 말한 오빠는 누구를 말하는가? 우리시대의 오빠는? 우리시대의 오빠는 Gangnam Style^^? 9 serendipity 2012.11.14 2346
4514 우리는 살기 위해 여기에 왔노라... 2 박희관 2012.11.14 1239
4513 (돌아온 탕녀)? 6 lg2 2012.11.14 2146
» ‘너를 구원해줄게’라는 의지에 숨은 폭력성_펌글 3 잔나비 2012.11.13 1248
4511 결심을 번복합니다 7 유재춘 2012.11.13 1794
4510 어, 넌 하나 달렸구나. 그래, 안수 받아라--안식교 목사 안수 자격 검증 신체검사 장면 사진으로 포착! 4 김원일 2012.11.13 2049
4509 여자 목사 안수 반대하는 대총회장과 맞짱뜨는 여자 사진 2 김원일 2012.11.13 2543
4508 김대성 목사 한국연합회장? 4 유재춘 2012.11.13 1936
4507 이제 결코 가만히 있지 않겠습니다 4 유재춘 2012.11.13 1596
4506 조용한 여자 2 로산 2012.11.13 1318
4505 기술 담당자님 ^^ 2 박희관 2012.11.13 1236
4504 울려 나오는것을 담았습니다. 10 file 박희관 2012.11.13 1524
4503 나의 요리 1; 칼국수 3 강철호 2012.11.13 1853
4502 일요일 휴업령에 대한 몇가지 생각들-학생님께 2 오두막 2012.11.13 1254
4501 엘빈 토플러 로산 2012.11.13 1268
4500 우리 사고 방식의 문제 3 로산 2012.11.13 1139
4499 그게,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이 아닌 이유 - student 님, 뻐러가이님 25 김주영 2012.11.13 1568
4498 [종합] 이인제 "盧, 부패혐의로 자살"…野 "정신줄 놓은 듯" 새하늘과새땅 2012.11.13 967
4497 차라리 몰랐으면.. ㅠㅠ 6 YJ 2012.11.13 1286
4496 그것은 죄가 아니고 착각입니다. 14 박희관 2012.11.13 1717
4495 안상구님 11 보라매 2012.11.13 1424
4494 유재춘 장로님과 류제춘 목사님은 전혀 다른 사람입니다. 안상구 2012.11.13 1222
4493 자살하기 몇 시간 전 3 히스토리 2012.11.12 1465
4492 왜 입을 다무실까? 10 로산 2012.11.12 1365
4491 시한부 종말론-학생님께 8 로산 2012.11.12 1350
4490 사랑일기 / 시인과 촌장[하덕규] - "...첫 차를 타고 일터로 가는 인부들의 힘센 팔뚝위에...저 아이들의 맑은 눈망울에 사~랑해요라고 쓴다...피곤한 얼굴로 돌아오는 나그네의 저 지친 어깨위에...아무도 없는 땅을 홀로 일구는 친구의 굳센 미소 위에...민초스다에 사~랑해요라고 쓴다......민초스다 런칭 2주년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9 serendipity 2012.11.12 5720
4489 일요일 휴업령은 동화적 사고방식? 13 오두막 2012.11.12 2979
4488 천국복음 그리고 영원한 복음 어느 것이 옳은가? 3 로산 2012.11.12 1476
4487 자연재해와 일요일휴업령 12 김주영 2012.11.12 1751
4486 남영동 1985 똥물 쏟게 패고서 화해하자는데 뭬라고 답을 해야 합니꺼? 4 로산 2012.11.12 1849
4485 가시나무 / 시인과 촌장[하덕규] - "내 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 당신의 쉴 곳이 없네... 바람만 불면 그 메마른 가지 서로 부대끼며 울어대고 쉴곳을 찾아 지쳐 날아온 어린 새들도 가시에 찔려 날아가고..." 2 serendipity 2012.11.12 2125
4484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 디빅 - "비로소 엄마는 그러면 안 되는 것인 줄 알았습니다. 엄마는, 엄마는 그러면 안 되는 것이었습니다." 2 serendipity 2012.11.12 1896
4483 꼬마 (7세) 어린이의 놀라운 오케스트라 지휘자의 몸 놀림 !! 3 Orchestra 2012.11.12 1666
4482 2010 년 11 월 14 일 (2 년 전) 4 2010 년 2012.11.12 1474
4481 Balloons for Pyongyang BY 2012.11.11 1488
4480 다시 패서바이님에게....... 23 오두막 2012.11.11 2173
4479 민초반죽--지금은 민초 반죽의 시간 (수정) 5 김원일 2012.11.11 1343
4478 [자료 모음] - 1112 ~ (자료들을 댓글에 올려주세요.) 13 오빠생각 2012.11.11 2323
4477 요셉을 생각한다; 나는 성경보다는 이것을 더 믿는다. 4 강철호 2012.11.11 1664
4476 요셉이 베푼 조사심판과 형들의 무의식 세계 심리 치료 (2편 제 2부) 12 student 2012.11.11 1770
4475 진통 끝에 낳은 아이 거적대기에 싸서 버린다 4 로산 2012.11.11 1684
4474 '숨쉬는 것은 썩지 않는다' 라는 책을 구합니다 2 조나단 2012.11.11 1612
4473 이태석 신부님2 / 이태석 신부님과 평신도들 - "나를 울리고, 너를 울리고, 우리를 울리고, 세계를 울리고, 그리고 하나님을 울린(echoed) 이태석 신부님" serendipity 2012.11.11 1344
4472 그대 그리고 나 / 코리아남성합창단 - "그대, 나 그리고 우리!" 3 serendipity 2012.11.11 1737
4471 미트 람니는 대통령이다 ! 2 김주영 2012.11.11 1346
4470 민초철학 19 제자 2012.11.11 1527
4469 아브라함 이야기 바이블 2012.11.10 1237
4468 곽건용 목사와 김원일의 한계, 현재까지는... 6 바이블 2012.11.10 2391
4467 신이 약속을 어기고 뗑깡부릴 때 김원일 2012.11.10 1593
4466 제사상에 자장면 올리기: 성경에 나오는 희한한 이야기 2 김원일 2012.11.10 2810
Board Pagination Prev 1 ...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