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2549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근황이 어떠신지?    친애하는 박근혜 대통령과 박정희 대통령은 어떤 입장일까요?




제주도민 열명 중 한 명이 학살된 대한민국 비극사 - 제주 4.3 사건

그날 제주도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 페이스북
  • 트위터
  • 미투데이
  • 요즘
  • 싸이월드 공감

‘제주 4•3 사건’은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봉기사태와 그로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양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에서 규정하고있다. 6년 6개월에 거친 이 사건으로 사망자만 무려 1만 4천 명에 이르고, 이후에도 살아남은 생존자와 그 가족들은 ‘빨갱이’로 낙인찍혀 고통 속에 살아야만 했다.

제주도 올레 18코스를 걷다 만나는 아름다운 해변가에 위치한 곤을동 마을은 모든 곳이 초토화되어 터만 남아 있다. 항상 물이 고여있는 땅이라는 데서 그 이름이 붙여진 곤을마을은 고려 충열왕 26년(서기 1300년)에 설촌된지 7백년이 넘는 유서 깊은 마을이다. 주민들은 주로 농사를 하며 소박하고 평화롭게 살았다. 그러나 8.15 해방 직후 1949년 1월 4일 아침 9시경 군 작전으로 양민 24명이 희생되고 온 마을이 불에 타 지금처럼 흔적만 있다. 도대체 이 시기에 제주도에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최근 개봉한 영화 <지슬>은 왜 화제가 되고 있는 것일까?

‘제주 4.3 사건’은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봉기사태와 그로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양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제주 4.3 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에서 규정하고있다. (링크) 6년 6개월에 거친 이 사건으로 사망자만 무려 1만 4천 명에 이르고, 이후에도 살아남은 생존자와 그 가족들은 ‘빨갱이’로 낙인찍혀 고통 속에 살아야만 했다.


곤을동 마을의 흔적

제주 4.3 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의 진상조사결과에 의하면, 사건 당시의 제주도 상황은 8.15 해방으로 부풀었던 기대감이 점차 무너지고 미군정의 무능함에 대한 불만이 서서히 확산되는 분위기였다. 약 6만 명에 이르는 귀환인구의 실직난, 생필품 부족, 콜레라의 만연, 대흉년과 미곡정책의 실패 등 여러 악재가 겹쳤다. 특히 과거 일제강점기당시 경찰출신들이 미군정경찰로의 변신, 밀수품 단속을 빙자한 미군정 관리들의 모리행위 등이 민심을 자극하고 있었다.

사건의 배경에는 남한 단독 정부수립을 반대하는 남조선로동당계열의 좌익세력들의 활동과 군정경찰, 서북청년단을 비롯한 극우 반공단체의 횡포에 대한 제주도민들의 반감 등이 복합적으로 일어났다. 제주도는 일제강점기부터 좌익계열 활동의 전통이 강한 지역으로 광복 후 도민들의 적극적인 지지 속에 건국준비위원회와 인민위원회가 활발히 활동했다. 특히 제주도 인민위원회는 다른 지역과 달리 미군정청과 협조적이었다.

1947년 3.1절 기념식에서 기마경관의 말발굽에 어린아이가 치이는 일이 벌어졌고, 이를 본 시위군중들은 기마경관에게 돌을 던지고 야유를 보내며 경찰서까지 쫓아갔다. 그런데 경찰이 이를 경찰서 습격으로 오인하여 시위대에게 발포해 6명 사망, 6명이 중상을 입었다. 발포사건의 전모를 모르던 미군정 당국은 이 발포사건을 잘못을 시인하면서도 정당방위로 주장하고 사건을 ‘시위대에 의한 경찰서 습격사건’으로 규래 행사 간부와 학생들을 연행하기 시작했다.

한편 경무부에서는 3만여 시위군중이 경찰서를 포위 습격하려고 했기에 불가피하게 발포했다고 해명하면서 민심이 들끓었다. 이에 남로당은 이런 민심의 흐름을 놓치지 않고 조직적인 반경활동을 전개했다. 처음에는 삐라 붙이는 일과 사상자 구호금 모금운동을 벌였다. 3월 10일부터 제주도청을 시작으로 민관 총파업이 발생하여, 제주도의 대부분의 행정기관과 학교, 우체국 등 제주 직장인 95%에 달하는 4만여명이 참여하였고, 제주 경찰의 20%도 파업에 동참하였다. 경찰은 3월 15일부터 파업 관련자 검거에 나섰고 이 과정에서 수감자 석방을 요구하는 군중에 또 다시 발포하는 사건이 일어난다.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 남조선 로동당 제주도당은 김달삼 등 350여 명이 무장을 하고 제주도 내 24개 경찰지서 가운데 12개 지서를 일제히 공격하였다. 이들은 경찰관과 서북청년단,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등 우익단체 요인들의 집을 습격하였다. 이것이 제주도 4.3 사건의 시작이었다. 현장에서 경찰관 가족과 민족청년단원 등이 처형되었다. 이에 미군정은 즉각 각 도로부터 차출한 대규모의 군대, 경찰, 서북청년단등 반공단체를 증파하였고, 제주도 도령을 공표해 제주 해상교통을 차단하고 미군 함정을 동원해 해안을 봉쇄하였다.

처음에는 평화협상이 체결되어 전투를 72시간 이내에 중단하기로 합의하였다. 그러나 양측은 강경 일변도의 진압정책과 방화 사건 등으로 합의가 파기되면서 사태가 악화되었다. 선거일이 가까워지면서 선거관리사무소가 습격을 당하고 선관위원들이 피살당하는 사건이 연이어 일어났다. 이러한 가운데 5월 10일의 남한 단독선거에서 제주도는 투표수 과반수 미달로 무효처리되었고, 다음달 23일에 재선거를 실시하려는 미군정의 시도도 실패로 돌아갔다. 이 과정에서 5월 20일 경비대원 41명이 탈영하여 무장대에 가담하였고, 6월 18일 경비대 연대장 박진경이 대령 진급 축하연을 마친 후 문상길 중위(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사형집행 1호)등 모 부사관 등 부하 대원에게 암살당했다.

8월 15일 남한에 대한민국이 수립되고, 다음달 9일 북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남한의 이승만 정부는 제주도 문제를 정권의 정통성에 대한 도전으로 인식하였다. 이승만 정부는 그해 10월 11일 제주도경비사령부를 설치하고 본토의 군 병력을 증파하였고, 11월 17일 제주도에 계엄령을 선포하였다. 이에 앞서 한라산 중산간지대를 통행하는 자는 폭도배로 간주하여 총살하겠다는 포고문이 발표되었고, 중산간마을에 대대적인 진압작전이 실시되었다.

1948년 11월부터 중산간마을에 대한 강경진압으로 마을의 95% 이상이 불에 타 없어지고 수많은 인명이 희생되었다. 이로 인하여 삶의 터전을 잃은 중산간마을 주민 2만 명 가량이 산으로 들어가 무장대의 일원이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진압 군경은 가족 중에 한 명이라도 없는 경우에 도피자 가족으로 분류하여 부모와 형제자매를 대신 죽이는 이른바 ‘대살(代殺)’을 자행하기도 하였으며, 재판절차도 없이 주민들이 집단으로 사살되기도 하였다. 또한 세화ㆍ성읍ㆍ남원 등의 마을에서는 무장대의 습격으로 민가가 불타고 주민들이 희생되기도 하였다.


4.3 평화기념관의 다랑쉬 동굴 학살 재현

1949년 진압과 함께 선무작전이 병행되었으며, 귀순하면 용서한다는 사면정책에 따라 많은 주민들이 하산하였다. 1949년 5월 10일 재선거가 성공적으로 치러진 데 이어 6월에 무장대 총책인 이덕구가 오라리에서 경찰의 발포로 사살됨으로써 무장대는 사실상 궤멸되었다. 그러나 이듬해 6ㆍ25전쟁이 발발하면서 보도연맹 가입자와 요시찰자 그리고 입산자 가족 등이 대거 예비검속되어 당시 제주 계엄군을 맡고 있던 대한민국 해병대 등에게 학살을 당하였다. 전국 각지의 형무소에 수감되었던 4.3사건 관련자들도 즉결처분되었다. 1954년 9월 21일 한라산의 금족(禁足) 지역이 전면 개방됨으로써 발발 이후 7년 7개월 만에 막을 내렸다.

4.3 사건은 30여 만 명의 도민이 연루된 가운데 2만5천~3만 명의 학살 피해자를 냈다. 당초 토벌대가 파악한 무장대 숫자는 최대 500명이다. <제주4.3특별법>에 의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사망자만 14,000여명(진압군에 의한 희생 10,955명, 무장대에 의한 희생자 1,764명 및 기타)에 달한다. 전체 희생자 가운데 여성이 21.1%, 10세 이하의 어린이가 5.6%, 61세 이상의 노인이 6.2%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전쟁 발발 당시 제주도민들은 “우리는 빨갱이가 아니다!”라는 것을 증명하고 싶어 해병대에 자원입대하는 경우가 많았다.

재일 한국인들 출신 구성을 보면 제주도 출신자가 상당히 많은데, 이는 제주 4.3 사건과 깊은 연관이 있다. 당시 반공 극우단체의 가혹한 탄압을 피하기 위해 이른바 ‘보트피플’로 대한해협을 건너 일본(주로 오사카 지역)을 피난처로 떠나간 사람들이 많았던 것이다. 4.3 사건을 경험한 유족들의 회고에 따르면, ‘좌익도 우익도 자기 마음에 안들면 마구잡이로 죽여버리는, 완전히 미쳐버린 세상이었다.’고 회고하고 있다.

제주 4.3 학살 피해자 가족과 시민단체에서 줄곧 진상 규명과 명예회복을 요구하였으나 역대 정부는 이를 무시하였고, 오히려 금기시하였다. 4.3 사건을 다룬 소설 『순이 삼촌』의 경우 책은 금서가 되고 작가 현기영은 중앙정보부에 끌려가 고문을 당하는 등 고초를 겪어야 했다.


1948년 5월, 처형을 기다리는 제주 주민들

민주화 이후 1998년 김대중 대통령이 CNN과의 인터뷰에서 “제주 4.3은 공산폭동이지만, 억울하게 죽은 사람들이 많으니 진실을 밝혀 누명을 벗겨줘야 한다.”는 발언을 했다. 1999년 국회에서 제주 4.3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고 이 사건과 관련된 희생자와 그 유족들의 명예를 회복시켜줌으로써 인권신장과 민주발전 및 국민화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인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이 통과되고, 2000년 제정 공포되면서 정부 차원의 진상조사가 착수되었다. 2003년 조사위원회에서 보고서를 확정하였고 조사위원회의 의견에 따라 2003년 노무현 대통령이 대한민국을 대표하여 ‘국가권력에 의해 대규모 희생’이 이뤄졌음을 인정하고 제주도민에게 공식 사과를 하였다.



http://ch.yes24.com/Article/View/21806?y_contents=%EC%B1%84%EB%84%90%EC%98%88%EC%8A%A4&y_channel=%EB%89%B4%EC%8A%A4%EC%BA%90%EC%8A%A4%ED%8A%B8&y_area=61

  • ?
    지경야인 2013.04.09 18:18

    가슴아프고 슬픈 역사 이야기군요.

    여수 순천 사건은 제주와 가까운 부대를 제주로 증파하려는 계획에서

    어떻게 나라가 해방되었는데 우리 군대가 우리 백성을 무참히 희생시킬수 있냐고 반대하다가

    일어난 사건이고 이때에 박정희가 연루되어 사형을 받게 되었었는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81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11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1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19
5653 어른신 도 좀 창피한줄 아십시요 2 박성술 2013.04.13 2299
5652 내가 먼저 손 내밀지 못하고 억울해서 경찰서 갔나?= 박성술 장로님 1 김균 2013.04.13 2498
5651 50년 된 교회, 150년 된 교단 2 김주영 2013.04.13 1971
5650 웃자 2 행복한고문 2013.04.12 2123
5649 그냥 박달 나무 지게작대기 로 ..... 7 박성술 2013.04.11 2374
5648 아기자기 님, 저 아래 올리신 기똥찬 글 말인데요(한국에서 그리스도인 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것)... 1 김원일 2013.04.11 2698
5647 그대들 교회가 부흥하고 싶은가? 9 김균 2013.04.11 2034
5646 구원이 어렵다고? 그리 가르치면서 우리는 어렵다고 여기기나 하는가? 김균 2013.04.11 2422
5645 그 결과를 책임지시는 하나님 산나무 2013.04.11 1983
5644 영적 성장은 이제 한계에 왔는가? 평화의 연찬 제57회 (주관 : (사)평화교류협의회) 평화교류협의회 2013.04.10 2519
5643 그가 침묵한 이유 김원일 2013.04.10 2169
» 언젠가 이 게시판을 달궜던 이동근 님께 드리는 글 선물 1 그렁그렁 2013.04.09 2549
5641 전 합회장님이 폭행을 당하였습니다. 18 맑은창 2013.04.08 3432
5640 가장 귀하게 될수 있는 복을 걷어차는 사람들 2 산나무 2013.04.08 2338
5639 이런 경우에도 조심해야 한다. 1 산나무 2013.04.07 2238
5638 2천년 재림 기별만 가르치지말고. 엿 만드는 기술 이라도 함께 가르쳐 주셨드라면 14 박성술 2013.04.07 2350
5637 베리칩 으로 인류 70억 노예화 전략 실체 음모 file 최권능 2013.04.07 2688
5636 예수의 십자가가 아니라 가인의 십자가 였다면, 어땠을까??? 학생님에게.. 3 김 성 진 2013.04.07 2224
5635 예수는 과연 죽으러 왔는가? 1 김원일 2013.04.07 2253
5634 안식일 교회에서 꼭 없어야할 존재... 21 student 2013.04.07 2703
5633 우리가 생각하는 그런 하늘 정부가 존재할까? 2 김균 2013.04.07 2146
5632 한국에서 그리스도인 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것 5 아기자기 2013.04.06 3056
5631 산나무 님께 드리는 부탁 21 김원일 2013.04.06 1899
5630 로산과 이별하면서 2 김균 2013.04.06 1987
5629 베리칩 으로 인류 70억 노예화 전략 실체 음모 기도 많이 많이 하시길 바랍니다. 4 file 예수천당 2013.04.06 1948
5628 선악과 사건은 실제인가? 1 바이블 2013.04.06 1577
5627 안식일교회에서 하나님보다 강한 존재 4 김주영 2013.04.06 1987
5626 나는 요즘 평생 안 하던 짓을 하고있다 4 김균 2013.04.05 1872
5625 참으로 웃기는 민초스다구나 ㅎㅎㅎ 2 대실망 2013.04.05 2807
5624 좋은 영화 한 편 - Quartet 김주영 2013.04.05 1943
5623 김원일님의 이해할수 없는 변명 2 바이블 2013.04.05 2014
5622 김 교수님, admin님 그리고 누리님들께! OpenBSD 5.2 Webserver XE 그리고 민초스다. 3 기술담당자 2013.04.05 4122
5621 [평화의 연찬 제56회 : 2013년 4월 6일(토)] ‘재림은 과연 임박 했는가 ?’박준일 (사단법인 평화교류협의회 상생협력대표)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04.05 1839
5620 영웅 이라 불리우던 한때의 신앙노동자 10 박성술 2013.04.04 1741
5619 나의 가족사를 끈질기게 거론하는 그대(들?), 그리고 뒷북치며 장단 넣는 그대들에게 김원일 2013.04.04 2073
5618 외눈깔 그리고 두 눈깔로 보는 세상 로산 2013.04.04 1853
5617 혼란과 반역의 요소를 일으키는 단체와 조직들 산나무 2013.04.04 1941
5616 강도질보다는 나으니 도둑질은 괜찮고, 살인보다는 나으니 죽지 않을 만큼 때려도 좋다는 윤리관--이런 식으로 남북을 비교하는 사람들 14 김원일 2013.04.04 12028
5615 삐뚫어진 사람들 (지경야인님 참고) 6 최인 2013.04.04 1746
5614 성경 말씀을 비평하기를 좋아하는 사람 2 산나무 2013.04.04 2009
5613 어떤 사람이 가장 위험한 상태인가? 1 산나무 2013.04.03 1779
5612 유일하고도 절대적인 길 산나무 2013.04.03 1469
5611 왜 진리의 음성을 듣지 못하는가? 산나무 2013.04.03 1621
5610 비뚤어진 나의 눈 5 지경야인 2013.04.03 1875
5609 사단의 궤변을 조심하자! 산나무 2013.04.03 1495
5608 역사를 바로보고 살자- 이 누리에 오시는 분들께 10 로산 2013.04.03 1693
5607 금으로 만든 대가리-User ID님 참조 6 로산 2013.04.03 2532
5606 이방인들과의 교제의 결과 산나무 2013.04.03 2207
5605 당신은 어떤 공격을 받고 있는가? 산나무 2013.04.03 1717
5604 쓰레기 인간들 8 바이블 2013.04.03 1728
5603 너네들 집안에 7 로산 2013.04.03 1460
5602 스스로 안심하는 자들은.... 산나무 2013.04.03 1728
5601 사단의 그럴듯한 이론에 속지 말자! 2 산나무 2013.04.02 1536
5600 친구라고 공언하던 자들... 1 산나무 2013.04.02 1724
5599 쇼생크 탈출(피가로의결혼) 1 serendipity 2013.04.02 2395
5598 저물어 가는 우리세대가 생각하는 박정희 25 박성술 2013.04.02 1740
5597 쿠데타 왜 했느냐고 내가 물었더니 이렇게 대답하더라.--조회수 15 후 수정 7 김원일 2013.04.01 1716
5596 짜게 먹는 사람들 살판 났다 우리 집에도... 1 로산 2013.04.01 1844
5595 재림교회 최초의 사설 성경학원 설립 5 file 최종오 2013.04.01 2007
5594 “쿠데타 왜 했나” 朴대통령에 물어보니… 7 쿠 데 타 2013.04.01 2492
5593 우리 신앙의 수치심에서 로산 2013.03.31 1813
5592 먹지 말게. 1 박성술 2013.03.31 1697
5591 동성애가 선이냐! 3 바이블 2013.03.31 1477
5590 안식교의 우상숭배 6 지경야인 2013.03.31 1763
5589 통곡의 벽 로산 2013.03.30 1848
5588 조직의 쓴 맛... 3 김주영 2013.03.30 2231
5587 김균 그리고 댓글단 분들.. 2 시골생활 2013.03.30 2307
5586 유대인이 본 기독교 2 행복한고문 2013.03.29 2092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