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식일 교회에서 가르치는 증오심

by 박성술 posted May 16, 2013 Likes 0 Replies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렇게도  화인처럼   씌여진 굴레 같은  나의  ethos  에서

제일  혼란 된것이    바로 " 증오심 " 입니다


이것이 정확히  학습적 인  것인지  혹은  선천적 메카니즘  으로인지

정확히는   규정 할수는  없지만

어쩌던  한 신앙인 으로서  이런  증오심을  초월 하고   삶을  산다는것 은

참으로 어럽고 혼란스럽습니다.


나는  이런 학습 내지  본능으로  주어진  이 증오심의  증명 표현에  있어

상당히  세련되지 못합니다

마치 세련된  위선을  배우지 못한   촌놈 처럼

이  증오심의 증오 표현은   매우  서툴고  어색스럽  습니다.

사랑하는 것에  세련된 위선을   배우지못한  표현이  가족에게  서툴었던것  처럼.


돌이켜   내가  이렇게 소유한  이 증오심의  위선,  혹은  위선적 사랑  이라는

엇질 감정표현 도  그 원인을   곰곰히  생각해 보면

어쩌면  기독교육 으로부터 가  아닌가 싶습니다

왜냐 하면    이  증오심의  본질이  정확히  어디로 부터인지  무지하면서도

그  확신무지 를  기독교육 으로부터  믿음하게  된것이고


또  반면에   내  원형질 속에  끝없이  분출되는

이 분노적 증오심의   반성의식  역시  기독교육 으로 부터였으니

내 어찌  이렇게 혼란된  행위앞에  혼란된  증오심이  없겠습니까 ?


솔직히  말하건데

나는   단 한번도  형상화된  사랑의 신을  본 일이 없고

그렇다고  이  증오심의 분화인  악한신 도  형상화된 것을   본  일이 없습니다.


그러면서도  이 보이지 않은  두 존재를  평생동안  인식하며

양  틈바구니 에서  그 혼돈의  증명부담을  끌어 안고  스스로

감당할수밖에  없었던  이  불행한   혹은 이 혼돈하고 있는

세련되지못한  선천적 내지  학습적 증오심 을  두고   어줍잖은

여러분들의   심리과학 신학으로  동정 해서는  안됩니다


왜냐하면

나는  이  위선적 기독신학의   증오심에 대한  또 다른  해석 정의가   어디쯤인가

하나쯤은 존재되어 있어리라   믿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허다한  사물의  존재진리 가운데서  유독  안식일 기독교회에서  만나 

나를  교육시킨  나의 하나님은

왜  인간이란  이 허무한 공간을  채우고 있는  실체의 조건중에

권력,  재물, 명예 가  되어서는  안되며  그것을  증명사명으로  ethos 로 만들라  하셨는가요 ?


그러면서도

이 부정 혹은  증오 되어야 할  실체적  권력, 제물, 명예  를  증오하는 증오심으로

나의  실천 신앙 으로  둔다면

어찌하여  도리어 안식일교회 공동체의 하나님과  혹은  그들의 조직의 하나님 앞에는

조롱거리와  웃음거리가  되고 마는가요 ?


이런  혼돈된  안식일기독 교회 의  신앙인  나는  이  물질 을  초월할수 없는

이  위선적 신앙행위  앞에   혹은 반성의식  앞에  던져질때마다

이렇게도   초라하게 되는가요  ?


한없는  이 위선적 증오의 본질과  모순과  부조리의  신앙으로부터

위선적 증오심없이  해석될 안식일교회  또 다른  실체적  신을 나는

어느때즘   만날수 있는가 요?


예수께서는   "네 이웃 이라 " 말씀 하셨고  나의 안식일 교회는 이것을

권력, 재물, 명예  라  해석 합니다.


그러면서도

한갓 무당도  밤새도록  경을 읽고 징을쳐야  먹고살수있는  이 참혹한 땅위에서

무형의  이데아를  넋두리하는  노동도덕성 을  거절한

저  지식 쓰레기 들 아래  우리를  던저놓습니다


이 렇게  만들어진 증오심 이   이렇게세련되지 못한  위선의  증오심이 

내 ethos 로  된것이  너무   쪽 팔립니다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