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는 남침인가, 북침인가?' 이 질문에 청소년의 69%가 '북침'으로 답변했다 하여 대통령이
나서 문제의 심각성을 제시하고, 일부 정치가나 언론도 가세하여 혀를 내두르는 모양이다.
그 어떤 설문도 어휘 선택이 적절해야 하는 법. 이번 설문에서 문제가 된 것은 남한이 북한에 쳐들어갔다고 보는 청소년의 인식이라기보다 어휘 의미의 혼동이 빚어낸 결과라는 게 일반적 견해다.
그러한 견해의 근거로 다음과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홈페이지'(http://stdweb2.korean.go.kr/main.jsp)에 들어가 표제어로 '북풍(北風)'과 '남풍(南風)'을 검색해 보라.
북풍(北風) : 「명사」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남풍(南風) : 「명사」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이렇게 뜻풀이가 되어 있다.
그럼 '북침(北侵)'과 '남침(南侵)'을 검색해 보자.
북침(北侵) : 「명사」 남쪽에서 북쪽으로 침략함.
남침(南侵) : 「명사」 북쪽에서 남쪽을 침범함.
'북풍'이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니, 북침은 '북한에서 쳐들어오는 것'이라고 여길 개연성이 많다. 이 지점에서 국어 교육의 부재나 문제를 탓하는 것은 일가견이 있다.
그러나 우리 청소년 중 무려 69%가 6·25를 남한에서 북한으로 쳐들어간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만을 놓고 역사 교육의 부재나, 학교 현장의 문제로 확대 해석하는 것은 문제의 본질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억지 주장에 불과하다.
필자는 고3 학생을 지도하고 있는 현장 교사다. 이 설문조사의 결과가 하도 의아해서 수업 중 여분 시간을 활용하여 고3 교실 세 개 학급에서 질문을 했다.
"6·25를 북침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손들어 봅시다."
깜짝 놀랐다. 정말 크게 놀랐다. 고3 학생의 절반 가량이 손을 들었다.
"그럼 6·25는 남한이 북한을 침공한 것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 손들어 봅시다."
놀라지 말자. 단 한 명도 손을 들지 않았다. 그러자 학생들이 술렁댔다.
"북침이라는 단어가 그런 뜻 아녀? 이야, 남침이랑 북침이랑 뜻이 헷갈리네? 아, 맞다! 남침이지!"
"다시 한 번 묻습니다. 6·25 전쟁은 북한이 남한을 침공한 전쟁입니까?"
"예!!!"
이구동성으로 한 목소리를 내는 고3 학생들의 목소리가 우렁차다. 이게 바로 6·25를 바라보는 청소년들의 건강한 인식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라.
우리 사는 동안 선거철이랄지 여야 대결 양상이 짙은 시점에 권력 유지의 수단으로 '북풍(北風)'을 들먹인 사람들에게 책임은 없는 것일까? 북한의 전쟁 도발 위험을 '북풍(北風)'으로 규정하여 얼마나 많은 정치 전략으로 활용했던가. 그러한 북풍에 힘입어 '북침'이란 단어가 '북한에서 남한을 침공한 것'처럼 인식되는 것은 아닐까?
이 기회에 아이들에게 '북침(北侵)'과 '남침(南侵)' 두 단어 만큼은 확실하게 가르쳐야겠다. 이 단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기억할 수 있도록 '남파(南派)'와 '북파(北派)'를 예로 들어야겠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남파(南派)'와 '북파(北派)'를 검색해 보라.
남파(南派) : 「명사」 임무를 주어 남쪽으로 보내는 일. 특히 북한에서 남한으로 간첩 따위를 보내는 일을 이른다.
북파(北派) : (검색 불가능)
학생들에게 확실하게 예를 들어 질문해야겠다.
"여러분! 남파 간첩은 북한이 남한으로 보낸 간첩이지요? 그럼 남한이 북한으로 보내는 간첩을 뭐라고 할까요?"라고. 그러면 학생들은 틀림없이 '북파 간첩'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북파 간첩을 다룬 영화 <실미도>를 1천만 명이 넘게 관람하지 않았는가. 이제 분명해졌다.
"여러분! '북침(北侵)'과 '남침(南侵)'을 혼동하면 안 됩니다. '남파'란 '북한에서 남한으로 간첩 따위를 보내는 일을 이른다'고 했죠? 그럼 '남침'은 뭐라고요?"
"북쪽에서 남쪽을 침범하는 거요!!!"
"그럼 '북침'은 뭘까요?"
"남쪽에서 북쪽을 침범하는 거요!!!"
6·25 전쟁을 '북침'으로 알고 있는 청소년이 69%라는 설문 조사 결과는 수정돼야 한다. 어휘 의미의 혼동일 뿐이다. '북풍(北風)'이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니 '북침(北侵)'을 '북한에서 침략함'으로 오해할 여지가 충분히 있다.
마지막으로 정리하자.
'북침(北侵)'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침략함'이고, '남침(南侵)'은 '북쪽에서 남쪽을 침범함'이다. '6·25는 북한이 남한을 침범한 전쟁'이라고 아주 잘 알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돌을 던지지 말라. '북풍'의 의미에 익숙해버린 어휘 의미의 혼동에 지나지 않는다.
그 어떤 설문도 어휘 선택이 적절해야 하는 법. 이번 설문에서 문제가 된 것은 남한이 북한에 쳐들어갔다고 보는 청소년의 인식이라기보다 어휘 의미의 혼동이 빚어낸 결과라는 게 일반적 견해다.
그러한 견해의 근거로 다음과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홈페이지'(http://stdweb2.korean.go.kr/main.jsp)에 들어가 표제어로 '북풍(北風)'과 '남풍(南風)'을 검색해 보라.
북풍(北風) : 「명사」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남풍(南風) : 「명사」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이렇게 뜻풀이가 되어 있다.
그럼 '북침(北侵)'과 '남침(南侵)'을 검색해 보자.
북침(北侵) : 「명사」 남쪽에서 북쪽으로 침략함.
남침(南侵) : 「명사」 북쪽에서 남쪽을 침범함.
'북풍'이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니, 북침은 '북한에서 쳐들어오는 것'이라고 여길 개연성이 많다. 이 지점에서 국어 교육의 부재나 문제를 탓하는 것은 일가견이 있다.
그러나 우리 청소년 중 무려 69%가 6·25를 남한에서 북한으로 쳐들어간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만을 놓고 역사 교육의 부재나, 학교 현장의 문제로 확대 해석하는 것은 문제의 본질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억지 주장에 불과하다.
필자는 고3 학생을 지도하고 있는 현장 교사다. 이 설문조사의 결과가 하도 의아해서 수업 중 여분 시간을 활용하여 고3 교실 세 개 학급에서 질문을 했다.
"6·25를 북침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손들어 봅시다."
깜짝 놀랐다. 정말 크게 놀랐다. 고3 학생의 절반 가량이 손을 들었다.
"그럼 6·25는 남한이 북한을 침공한 것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 손들어 봅시다."
놀라지 말자. 단 한 명도 손을 들지 않았다. 그러자 학생들이 술렁댔다.
"북침이라는 단어가 그런 뜻 아녀? 이야, 남침이랑 북침이랑 뜻이 헷갈리네? 아, 맞다! 남침이지!"
"다시 한 번 묻습니다. 6·25 전쟁은 북한이 남한을 침공한 전쟁입니까?"
"예!!!"
이구동성으로 한 목소리를 내는 고3 학생들의 목소리가 우렁차다. 이게 바로 6·25를 바라보는 청소년들의 건강한 인식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라.
우리 사는 동안 선거철이랄지 여야 대결 양상이 짙은 시점에 권력 유지의 수단으로 '북풍(北風)'을 들먹인 사람들에게 책임은 없는 것일까? 북한의 전쟁 도발 위험을 '북풍(北風)'으로 규정하여 얼마나 많은 정치 전략으로 활용했던가. 그러한 북풍에 힘입어 '북침'이란 단어가 '북한에서 남한을 침공한 것'처럼 인식되는 것은 아닐까?
이 기회에 아이들에게 '북침(北侵)'과 '남침(南侵)' 두 단어 만큼은 확실하게 가르쳐야겠다. 이 단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기억할 수 있도록 '남파(南派)'와 '북파(北派)'를 예로 들어야겠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남파(南派)'와 '북파(北派)'를 검색해 보라.
남파(南派) : 「명사」 임무를 주어 남쪽으로 보내는 일. 특히 북한에서 남한으로 간첩 따위를 보내는 일을 이른다.
북파(北派) : (검색 불가능)
학생들에게 확실하게 예를 들어 질문해야겠다.
"여러분! 남파 간첩은 북한이 남한으로 보낸 간첩이지요? 그럼 남한이 북한으로 보내는 간첩을 뭐라고 할까요?"라고. 그러면 학생들은 틀림없이 '북파 간첩'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북파 간첩을 다룬 영화 <실미도>를 1천만 명이 넘게 관람하지 않았는가. 이제 분명해졌다.
"여러분! '북침(北侵)'과 '남침(南侵)'을 혼동하면 안 됩니다. '남파'란 '북한에서 남한으로 간첩 따위를 보내는 일을 이른다'고 했죠? 그럼 '남침'은 뭐라고요?"
"북쪽에서 남쪽을 침범하는 거요!!!"
"그럼 '북침'은 뭘까요?"
"남쪽에서 북쪽을 침범하는 거요!!!"
6·25 전쟁을 '북침'으로 알고 있는 청소년이 69%라는 설문 조사 결과는 수정돼야 한다. 어휘 의미의 혼동일 뿐이다. '북풍(北風)'이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니 '북침(北侵)'을 '북한에서 침략함'으로 오해할 여지가 충분히 있다.
마지막으로 정리하자.
'북침(北侵)'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침략함'이고, '남침(南侵)'은 '북쪽에서 남쪽을 침범함'이다. '6·25는 북한이 남한을 침범한 전쟁'이라고 아주 잘 알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돌을 던지지 말라. '북풍'의 의미에 익숙해버린 어휘 의미의 혼동에 지나지 않는다.
[여의도 블로그] ‘북침’ 정확한 뜻 몰랐다면 역사교육 잘못된 탓
답을 아는 일이 중요할 수도, 아닐 수도 있다. 시험에 나오면 맞히거나 틀리면 되니까 정도의 문제일 수 있다. 뒷날 동풍이 요즘 축약식 표현으로 ‘동·부·바’ 또는 ‘동·불·바’로 표현돼 출제되기를 기다리는 것도 방법일 수 있다.
그러나 ‘6·25전쟁이 남침이냐 북침이냐’는 이와 다른 차원의 문제다. 완전히!
‘위안부’(慰安婦) 얘기를 먼저 해 보자. 누군가 ‘위로하고 편안하게 해 주는 부인’ 아니냐고 한다면 피가 거꾸로 솟을 일 아닌가. 그 누군가가 한국의 학생들이라면 얼마나 자괴스러운 일인가. 분을 치밀게 하는 것은 ‘역사성의 결여’일 것이다. 위안부라는 단어와, 그 단어가 지닌 역사성은 한국인이라면 초등학생이라도 이해해야 한다. 반드시! 유대인이라면 ‘홀로코스트’를 알아야 하듯.
북침, 남침이 그렇게까지 정색할 일인가라고 반문할 수도 있겠다. 분명, 그럴 일이다. 우리는 특히나 1980년대 이 문제로 홍역을 치렀기에 더욱 그렇다. 어느 외국 학자가 북침설을 주장하고 몇몇 국내 학자들이 이에 동조하기 시작하면서 그 시기 청소년과 젊은이들은 큰 혼동에 빠졌다. 1990년대 초 옛 소련이 붕괴해 관련 문서가 공개되지 않았다면 아마도 우리는 지금까지 남침, 북침으로 싸우고 있을지 모른다. 남침의 명백한 역사적 사실을 드러내는 문서가 나온 뒤에도 일부 학자들은 남침 유도설이니 어쩌니 하는 ‘변종 학설’로 진실을 호도했다. 그 결과는 무엇이었나? 역사적 사실에 대한 ‘신뢰’의 벽에 틈이 생겼다.
남침은 어떤 역사성을 담고 있나? 북이 남을 기습 공격하기 위해 치밀하게 준비했음과 그러기 위해 김일성이 소련과 중국을 오가고 스탈린과 마오쩌둥의 승낙을 얻어내 각종 병참을 지원받은 사실 등이다. 기습의 결과, 개전하고 단 3일 안에 당시 남한 병력의 50%에 가까운 4만 3000명의 군인이 전사했다.
서울신문이 최근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6·25전쟁이 남침이냐, 북침이냐는 설문조사를 해 보니 충격적인 결과가 나와 이를 보도했고, 박근혜 대통령도 이를 인용해 역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랬더니 “‘북한 침공’을 ‘북침’으로 답한 것뿐인데 웬 호들갑이냐”는 식의 비아냥이 나오고 있다.
‘북 의 기습 남침’은 고정 용어, 그 자체로 알고 있어야 한다. ‘위안부’처럼. 이 표현들을 몰랐다면 이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이 통째로 결여됐거나 부족했음을 의미한다. 끝으로 하나 더. 남침과 위안부, 어느 것이 더 어려운 단어인가?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출처: 서울신문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code=seoul&id=20130620004017&keyword=%BA%CF%C4%A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