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바다(데이비드 아불라피아)에 나오는 헬레니즘과 유대교의 특징.

by 백근철 posted Jul 27, 2013 Likes 0 Replies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헬레니즘.
'헬레니즘' 문화의 특징은 그리스 문화의 보존에 있다기보다, 헬레니즘 예술 양식이 카르타고와 에트루리아에 도달하고, 헬레니즘 사상이 유대인, 시리아인, 이집트인 들을 사로잡았다는 점에 있었다. 그런데도 헬레니즘 문화는 흔히 아테네의 고전 문화가 흉하게 변조된, 예술과 건축의 화려한 양식을 특징으로 하는 고대 그리스판 바로크 문화로 간주되곤 했다. 하지만 그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그리스 과학과 문화를 빛낸 몇몇 인물들이 헬레니즘 세계, 그것도 (그리스가 아닌) 알렉산드리아 출신인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수학자 에우클레이데스(유클리드), 발명가 아르키메데스, 희극인 메난드로스, 그에 뒤이어 로마 시대에 활동한 알렉산드리아의유대인 철학자 필론, 의사 갈레노스가 그들이다. 알렉산드리아는 이렇듯 새롭고 개방적으로 변한 그리스 문화가 지중해 일대로 퍼져나가는데 꼭 필요한 지중해 문화의 등대였다. 250쪽

*유대교
고대 이스라엘인(유대인)들은 해안가의 필리스틴인 및 여타 종족들에 둘러싸인 채 육지에 붙박여 사는 농촌 사람이 대부분이어서, 그 무렵까지의 지중해 역사에서는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다 알렉산드리아의 건설과 더불어 유대 신앙과 문화도 서서히 지중해 일대로 퍼져나가기 시작했다. 유대인 철학자 필론은 입법자로서의 모세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모세가 전해준 하느님의 율법에 내포된 윤리적 가치를 역설했다. 그리하여 유대교는 구조적 법체계에 강력한 윤리적 메시지가 결합되고, 거기에 다시 유일신교가 갖는 지적 호소력까지 더해져 이후 몇백 년 동안 많은 개종자와 지지자를 얻게 되었다.  251쪽.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