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13.07.30 00:45

슬픔이 슬픔을....(펌)

조회 수 943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선주 언론인

미국에서 여든네살 먹은 여자가 복권에 당첨되었다. 사상 몇번째로 큰 몇천억이라 했다. 댓글 가운데 “나는야 스무살 백수! 곧 죽을 사람이 돈 있으면 뭐하나? 하나도 안 부럽다. 돈 한푼 없는 내가 더 행복하다”가 있었다. 좀 착잡했지만 그 젊음의 건강함이 유쾌하게 전해왔다.

그렇다. 아무리 돈이 좋다지만 늙음이나 죽음과 바꿀 수는 없다. 아무리 큰돈도 생로병사를 비켜가게 해줄 수는 없다. 지구상에 살았던 사람의 숫자는 지금 인구의 열다섯 배. 세계인구를 70억명으로 보면 1050억명. 지난해에 과학자들이 계산해냈다. 우리가 어디서 왔는지 모르는 것처럼 어디로 가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인생은 태어나서 죽음까지이며 죽음의 영역은 인간의 영역은 아니다. 1050억명 가운데 똑같은 사람은 하나도 없고 죽었다 살아났다는 이야기도 들은 바 없다. 한 사람 한 사람이 유일무이한 존재다.

올해 들어 두명의 지인이 목숨을 끊었다. 몇번 어울린 적이 있었던 50대의 여성은 항상 주변사람을 즐겁게 해주고 고민상담을 유쾌하게 해주던 친구였다. 젊은 친구는 한번 인사만 나누었던 30대의 미혼남성인데 누구도 그 이유를 모른다고 했다. 단 한번의 기회인 삶인데 이렇게 쓸쓸하고 적막할 수 있을까. 서둘러 매장하고 화장하고 돌아선다. 나도 마찬가지였다. 누군가를 안다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건 무한책임이다. 아는 사람 가운데 하나였을 나는 그가 죽었을 때 어디 있었을까.

!

누구 한 사람 자신의 편이 되어 힘이 돼줄 수 있는 대상이 없고 주변을 둘러보아도 적막강산이고 기댈 곳이 하나도 없다는 느낌으로 최후의 선택을 하는 것이 자살이다. 자신의 힘겨움을 털어놓는 것이 상대에게 부담을 줄까봐, 자신도 누군가가 힘들게 어려움을 토로했을 때 부담을 느꼈으니까라고 조용히 혼자 삼킨다. 그런 세상이다. 그런 인심이다. 불행은 전염된다고 생각하고 빨리 잊고 싶어하고 털어버리고 싶어한다.

양희은의 <그대가 있음에> 노래에 …슬픔이 슬픔을, 눈물이 눈물을, 아픔이 아픔을 안아줄 수 있지요…라는 가사가 있다. 슬픔과 눈물과 아픔을 진정으로 경험하고 같이 울어본 사람만이 쓸 수 있는 절창이다. 지인의 자살 앞에 사람들이 오열하는 것은 그가 죽을 만큼 힘들었다는 것을 왜 몰랐을까, 손을 잡고 통곡하고 같이 울어줄 수 있는 상대가 왜 내가 될 수 없었을까, 과연 그가 찾아왔을 때 손 잡고 울어 주고 더 많은 아픔을 슬픔으로 안아주고 힘을 보태줄 수 있었을까라는 후회와 자책 때문이다.

참 많이 죽는 세상이다. 지금 대한민국 사회는 오이시디 국가 중 청소년 자살률과 노인자살률이 가장 높다고 한다. 경제적 원인과 외로움으로 인한 노인의 자살은 어찌보면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핵가족이 급격히 진행된 우리 사회가 닥친 필연적인 문제다. 그러나 청소년들과 젊은층, 한창 기운이 좋은 중장년까지 자살이 느는 사회적 현상을 어떻게 풀어야 할까.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우리 사회가 그만큼 아픔과 슬픔과 눈물을 받아주고 위로하고 안아줄 영역이 없을 만큼 각박하다는 증거다. 사회안전망을 거론하기에 앞서 개인적·가족적 영역에서도 그럴 만한 여유가 없다는 것이 맞는 말일 것이다.

모든 살아 있는 것들, 언젠가는 죽어야만 하는 같은 운명, 그리고 그중에 나도 하나라는 것을 생각한다면 다른 사람의 죽음은 나의 죽음이고 다른 사람의 자살도 나의 자살로 바꾸어 놓고 볼 수 있다. 각 개인마다 저마다 짊어지고 있는 고통들을 들여다 보면 그 사정이 내 사정이고 내 사정이 그 사정일 수 있다. 롤러코스터를 탄 것처럼 어지럽게 돌다가 떨어져 나가는 사람이 있으면 힐끗 바라보고 안됐다 하는 순간 다시 롤러코스터의 손잡이를 꼭 붙잡고 돌아가고 있는 것이 지금 우리 사회가 아닌가 싶다.

매일 죽고 싶다고 입에 달고 사는 후배 하나에게 말했다. ‘죽고 싶다고 하지 않아도 죽게 되어 있다, 뭔 안달이냐’ 했더니 ‘맞아요. 어제 죽은 사람이 그렇게도 보고 싶어한 오늘인데…’ 하면서 고개를 끄덕인다. 젊은 사람들의 자살은 나이 든 사람들을 주눅들게 한다. 살아 있다는 것만으로 가해자가 된 느낌이어서…. 그들의 살려달라는 비명과 절규를 외면한 것 같아서….

김선주 언론인
  • ?
    지경야인 2013.07.30 22:44

    하늘나라가 그렇게 좋다면서요

    어느 누구는 향숫병이 났다면서요

    그러면서 80을 넘겨 사시다가 넘어져서 후유증으로 돌아가셧다면서요

    그렇게 좋은 하늘나라 왜들 빨리가고 싶어 안달을 하지않을까?

    이 땅보다는 이 세상보다는 너무 좋아서

    눈으로도 보지 못했고

    귀로도 들어본 적이 없고

    생각으로도 추측을 못해 본 그렇게 좋은 곳이라면 

    빨리빨리 자살해서 어서 하늘가야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85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25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19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25
6145 목사님 목사님 우리 목사님! 1 우리목사님 2013.08.02 1036
6144 하나님을 믿는 이유나 목적 같은 것은 없다. 김원일 2013.08.02 1142
6143 백록담 님 2 김원일 2013.08.02 1314
6142 교무님 교무님 우리 교무님 우리교무님 2013.08.02 1103
6141 눈물 항아리 / 우는 연습 백록담 2013.08.02 1156
6140 날카로운 십자가, 강제하는 회개, 상처받은 영혼들 file 구닥다리 2013.08.02 983
6139 어느 마을의 농부들 백록담 2013.08.02 1150
6138 신부님 신부님 우리 신부님! 우리신부님 2013.08.01 1075
6137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우리 아들 백록담 2013.08.01 1225
6136 [평화의 연찬 제73회 : 2013년 8월 3일(토)] '상처받은 사람들을 위한 관계 맺기의 심리학’ 김동원 [동문교회 목사, (사)평화교류협의회 상생협력대표]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08.01 1060
6135 무릎을 꿇고 있는 나무 백록담 2013.08.01 1188
6134 너희들도 했잖아? 김균 2013.08.01 1148
6133 식당 개 3년이면 라면도 끓인다는데 6 김균 2013.08.01 1091
6132 먼저 감사하라. 백록담 2013.08.01 1060
6131 세상에 이런 일이 1 세상 2013.08.01 1012
6130 하나님은 부서진 것들을 사용하십니다 1 백록담 2013.08.01 1614
6129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록담 2013.08.01 1056
6128 내 품에 그대 눈물을 백록담 2013.08.01 1126
6127 박성술 이~우라질 놈. 2 비맞은개 2013.07.31 1558
6126 여보시오 얼바리들 6 박성술 2013.07.31 1092
6125 이놈의 인터넷에 아무리 장유유서가 없다지만 6 김균 2013.07.31 1395
6124 박 한이 김 진우에게 백허그 당하다. ( 펌글 ) 백허그 2013.07.31 1349
6123 우리가 몰랐던 2가지 순종에 관하여 구닥다리 2013.07.31 962
6122 Aloha ! 8 1.5세 2013.07.31 1400
6121 기드온의 300명은 용사인가? 오합지졸인가? 지경야인 2013.07.31 1158
6120 18세기 한국 중국 시인들의 동시대성과 우정_ 정민 교수 1 무실 2013.07.31 1791
6119 쥐약 VS 개거품 게임 셑 14 몽롱해 2013.07.31 1762
6118 박일병과 별셋 4 방청객 2013.07.30 1345
6117 영감이 없을 때와 영감이 있을 때의 차이? 1 아기자기 2013.07.30 972
6116 내가 니 시다바리가? 니가 해라! 5 아기자기 2013.07.30 1109
6115 정장 김균 2013.07.30 1125
6114 다니엘의 환상은.... 다니엘 2013.07.30 1173
6113 일구이무(一球二無) ----- 감동으로 읽었습니다. 1 쵸이 2013.07.30 1049
6112 질문 - 성경의 영감성과 예언의 신의 영감성에 관하여 4 행복자 2013.07.30 1290
6111 휴가철 2 김균 2013.07.30 1548
6110 인생의 광맥 에녹 2013.07.30 1202
6109 석유 담긴 기름두병 그렇게 읽었나 ? 9 박성술 2013.07.30 1055
» 슬픔이 슬픔을....(펌) 1 김종식 2013.07.30 943
6107 한 가지 사실을 두 가지로 해석하는 법-시골생활님께 김균 2013.07.30 1505
6106 따돌림. 여명의눈동자 2013.07.29 1030
6105 쥐약 먹고 널 뛰는 박성술 환쟁이의 글 4 김원일 2013.07.29 1146
6104 신변안전 개성상인 2013.07.29 1012
6103 박성술 그의 반어,역설,강조법 운운 하시는 별셋님에 쓰다. 8 박휘소 2013.07.29 1109
6102 입산했던 형제를 교회가 돕자 7 김균 2013.07.29 1086
6101 이 우라질, 얼바리 같은 놈들아 ! 5 박성술 2013.07.29 1097
6100 오늘 본 담배 피우는 여자 3 김원일 2013.07.28 1149
6099 박성술장로님께 답글 우림과 둠밈 2013.07.28 1255
6098 햇까닥한 허당깨 지게 작대기 헛매질 하다 자빠지는 소리 2 아기자기 2013.07.28 1542
6097 박성술장로님 바다 2013.07.28 1273
6096 위대한 바다(데이비드 아불라피아)에 나오는 헬레니즘과 유대교의 특징. 4 백근철 2013.07.27 1213
6095 오직 1%를 위한 말씀방송과 청년만을 위한 교과방송 file 구닥다리 2013.07.27 1144
6094 NLL 남 재준의 이적행위 = 역사는 살아있다 김균 2013.07.27 1113
6093 편치 않은 교리/박성술 장로님 11 김균 2013.07.27 1247
6092 박성술님에게 고함 3 김균 2013.07.27 1260
6091 얼바리. 4 박휘소 2013.07.27 977
6090 분노 도 할줄 모르면서 덩달아 주먹 흉내 내는 얼바리들 13 박성술 2013.07.27 1121
6089 우상은 첨부터 우상이 아니라 사람이 섬기기 때문에 우상이 되는 겁니다. 새 노래를 부르는 방법 김원일 2013.07.26 1087
6088 이것들이 군기가 빠져가지고 ! 6 김주영 2013.07.26 1206
6087 우리 교단의 “부흥과 개혁”은 과연 무엇인가? - 연합회(장) 참조 1 아기자기 2013.07.26 940
6086 재림청년들의 의한 부흥과 개혁 file 구닥다리 2013.07.26 980
6085 해아래 새것이 없나니”(전1:9) 11 김균 2013.07.26 1331
6084 개 같은 군대문화. '믿는 사람들아 군병 같으니'를 찬미가에서 없애기: 다섯 아이의 명복을 빈다. 3 김원일 2013.07.25 1209
6083 [평화의 연찬 제72회 : 2013년 7월 27일(토)] '호세 마리아 아리스멘디아리에타(Jose Maria Arizmendiarrieta) 신부’ 최창규 장로 (사단법인 평화교류협의회 상생협력대표)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07.25 4057
6082 종교중독 자가진단 질문지 6 백근철 2013.07.25 1654
6081 김균과 얼바리 그리고 박성술님. 7 박휘소 2013.07.25 1590
6080 이건 노다지야 노다지 1 노다지 2013.07.24 933
6079 [단독]“노무현 차명계좌는 발견되지 않았다… 조현오씨가 증인신청했지만 안 나가” 1 흥부 2013.07.24 1008
6078 [성한용 칼럼] NLL 승자는 누구일까.....졸렬한 새누리당 흥부 2013.07.24 1270
6077 만남 2 김균 2013.07.24 1139
6076 솥 안에서 노는 물고기는 모른다. 잠시 후 물이 끓어 삶아질 자신의 운명을. 운명 2013.07.24 1419
Board Pagination Prev 1 ...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