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614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나님은 부서진 것들을 사용하십니다

 

 

'하나님은 부서진 것들을 사용 하신다'

히브리 격언이 있습니다.

 

단단한 곡식이 부서져야 빵이 됩니다.

 

포도주도,

향수도 잘게 부서짐을 통하여 만들어 집니다.

 

단단하고 질긴 음식도

우리의 입안에서 고르고 잘게 부서져야

소화되어 영양분이 됩니다.

 

사람도 원숙한 인격과 신앙을 갖추려면

반드시 부서지는 과정을 밟아야 합니다.

부서짐의 size가 성숙의 size이기 때문입니다.

 

가을이면 시골에서는

도리개질 하는 장면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거두어들인 곡식을

앞마당에 펼쳐놓고

사정없이 도리개로 후려칩니다.

 

곡식들의 신음소리에도..(, 나만 때려?!)

곡식들의 저항소리에도..(이제, 그만 좀 때려?!)

농부는 아랑곳 하지 않고 한참을 내려칩니다.

 

그러나

사실 알고 보면 아프라고 때림이 아닙니다.

미워서 때림도 아닙니다.

 

껍데기를 벗겨내기 위함입니다.

알곡과 쭉정이를 가려내기 위함입니다.

더 잘게 부수기 위함입니다.

 

우리의 농부이신 하나님도

우리에게 도리개질을 하실 때가 있습니다.

시도 때도 없이 말입니다

 

우리는 너무 아파서 차마 소리도 못 냅니다.

', 나만 때리냐고?'

불평도 합니다.

 

'이렇게 힘들고 어려워서야

누가 예수를 믿겠느냐고' 투덜대기도 합니다.

그래도, 하나님의 도리개질은 멈추지 않습니다.

 

더 많이 부서지라 하심입니다.

더 많이 깨어지라 하심입니다.

더 많이 죽으라 하심입니다.

 

도리개질의 강도가 하나님 사랑의 깊이 입니다.

 

왜냐하면,

부서져야 사용하시고,

부셔진 만큼 쓰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장간의 대장장이는

일상적인 연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달구어진 쇠를 적당히 두들겨 댑니다.

 

그러나

특별하고 귀한 도구를 만들기 위해서는

구슬땀을 흘려 가며

한 나절은 두드리고 또 두들겨 댑니다.

대장장이의 두들김 소리는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마음입니다.

 

주 오실 날에 알곡이기를

하나님의 때에 더 귀하게 쓰시려고..

 

우리의 신음소리도 외면하시고

두드리고, 내려치고, 밟고, 깨뜨리고,

상하게 하고, 거절당하게 하고,

실패케 하고, 수치를 당하게 하시고,

초라하고 비참하게 만들고, 억울하게 하고

결국은 인생의 밑바닥까지 내려가게 하십니다.

 

기독교는 죽음을 통하여 살고,

버림을 통하여 얻고,

부서짐을 통하여 알곡 되고,

깨어짐을 통하여 쓰임 받고,

포기함으로 소유하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는 '나는 날마다 죽노라' - 고백합니다.

 

하루만 죽어서도

한번만 죽어서도

한번만 깨어져는

한번만 부서져도

 

날마다 순간마다

주님 때문에,

주님위하여,

주님과 함께

죽고, 부서지고, 깨어져야 합니다.

 

어쩌면 우리의 삶이 힘들고 고단한 이유는

우리의 고백이

'나는 날마다 사노라'이기 때문입니다.

 

, 불쑥 불쑥 혈기가 나는지

, 참을 수 없는 분노와 미움이 일어나는지

, 주체할 수 없는 원망과 짜증으로 시달리는지

, 견딜 수 없는 답답함과 절망감으로 우울해지는지

 

덜 죽어서 그렇습니다.

덜 깨어져서 그렇습니다.

덜 부서져서 그렇습니다.

 

그러나

소망이 있습니다.

부서지게 하심은 쓰시기 위함이며,

깨어지게 하심은 성숙하게 함이며

죽으라 하심은 살리시기 위함이며

비참하고 초라하게 하심은

그만큼 '내가 너를 사랑한다는 증거이기 때문입니다.

 

고목에서 꽃이 피고,

반석에서 샘물 터짐이 더 귀하고 아름답듯

우리의 부서짐과 깨어짐을 통하여 성숙해지고 쓰임 받을 때

더 없는 감동과 기쁨이 두 배가 됩니다.

 

어떤 때는 하나님도

'너무 하신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이제는

'그 만 좀 부수고 때리셔도 되지 않느냐고?'

저항할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만하심'의 때는 하나님이 정하시는 것이 아니라

내가 정하는 것임을 깨닫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특별대우 하시고 특별하게 사랑하신다' 하시면서

종종 발가벗겨 광화문 네거리에 서 있게 하십니다.

 

그렇게 비참하고 초라하게 하심은

똑바로 살게 하심입니다.

똑바로 걷게 하심입니다.

똑바로 보게 하심입니다.

똑바로 믿게 하심입니다.

 

오늘 새벽 그 사랑에 목이 메이고

눈물겨워 그분 가슴에 살포시 얼굴을 묻고

고백합니다.

 

'이전보다 주님을 더욱 사랑 합니다'

 

주께서 그 사랑하시는 자를 징계하시고

그의 받으시는 아들마다 채찍질 하시느니라

무릇 징계가 당시에는 즐거워 보이지 않고

슬퍼 보이나 후에 그로 말미암아

연단한 자에게는 의의 평강한 열매를 맺나니.

 

 

  • ?
    바다 2013.08.01 14:10

    위의 글에 댓글 단 것이 무색해집니다그려

     

    그래도 그래도 초연하기가 쉽지 않습니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87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28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19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25
6145 목사님 목사님 우리 목사님! 1 우리목사님 2013.08.02 1036
6144 하나님을 믿는 이유나 목적 같은 것은 없다. 김원일 2013.08.02 1142
6143 백록담 님 2 김원일 2013.08.02 1314
6142 교무님 교무님 우리 교무님 우리교무님 2013.08.02 1103
6141 눈물 항아리 / 우는 연습 백록담 2013.08.02 1156
6140 날카로운 십자가, 강제하는 회개, 상처받은 영혼들 file 구닥다리 2013.08.02 983
6139 어느 마을의 농부들 백록담 2013.08.02 1150
6138 신부님 신부님 우리 신부님! 우리신부님 2013.08.01 1075
6137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우리 아들 백록담 2013.08.01 1225
6136 [평화의 연찬 제73회 : 2013년 8월 3일(토)] '상처받은 사람들을 위한 관계 맺기의 심리학’ 김동원 [동문교회 목사, (사)평화교류협의회 상생협력대표]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08.01 1060
6135 무릎을 꿇고 있는 나무 백록담 2013.08.01 1188
6134 너희들도 했잖아? 김균 2013.08.01 1148
6133 식당 개 3년이면 라면도 끓인다는데 6 김균 2013.08.01 1091
6132 먼저 감사하라. 백록담 2013.08.01 1060
6131 세상에 이런 일이 1 세상 2013.08.01 1012
» 하나님은 부서진 것들을 사용하십니다 1 백록담 2013.08.01 1614
6129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록담 2013.08.01 1056
6128 내 품에 그대 눈물을 백록담 2013.08.01 1126
6127 박성술 이~우라질 놈. 2 비맞은개 2013.07.31 1558
6126 여보시오 얼바리들 6 박성술 2013.07.31 1092
6125 이놈의 인터넷에 아무리 장유유서가 없다지만 6 김균 2013.07.31 1395
6124 박 한이 김 진우에게 백허그 당하다. ( 펌글 ) 백허그 2013.07.31 1349
6123 우리가 몰랐던 2가지 순종에 관하여 구닥다리 2013.07.31 962
6122 Aloha ! 8 1.5세 2013.07.31 1400
6121 기드온의 300명은 용사인가? 오합지졸인가? 지경야인 2013.07.31 1158
6120 18세기 한국 중국 시인들의 동시대성과 우정_ 정민 교수 1 무실 2013.07.31 1791
6119 쥐약 VS 개거품 게임 셑 14 몽롱해 2013.07.31 1762
6118 박일병과 별셋 4 방청객 2013.07.30 1345
6117 영감이 없을 때와 영감이 있을 때의 차이? 1 아기자기 2013.07.30 972
6116 내가 니 시다바리가? 니가 해라! 5 아기자기 2013.07.30 1109
6115 정장 김균 2013.07.30 1125
6114 다니엘의 환상은.... 다니엘 2013.07.30 1173
6113 일구이무(一球二無) ----- 감동으로 읽었습니다. 1 쵸이 2013.07.30 1049
6112 질문 - 성경의 영감성과 예언의 신의 영감성에 관하여 4 행복자 2013.07.30 1290
6111 휴가철 2 김균 2013.07.30 1548
6110 인생의 광맥 에녹 2013.07.30 1202
6109 석유 담긴 기름두병 그렇게 읽었나 ? 9 박성술 2013.07.30 1055
6108 슬픔이 슬픔을....(펌) 1 김종식 2013.07.30 943
6107 한 가지 사실을 두 가지로 해석하는 법-시골생활님께 김균 2013.07.30 1505
6106 따돌림. 여명의눈동자 2013.07.29 1030
6105 쥐약 먹고 널 뛰는 박성술 환쟁이의 글 4 김원일 2013.07.29 1146
6104 신변안전 개성상인 2013.07.29 1012
6103 박성술 그의 반어,역설,강조법 운운 하시는 별셋님에 쓰다. 8 박휘소 2013.07.29 1109
6102 입산했던 형제를 교회가 돕자 7 김균 2013.07.29 1086
6101 이 우라질, 얼바리 같은 놈들아 ! 5 박성술 2013.07.29 1097
6100 오늘 본 담배 피우는 여자 3 김원일 2013.07.28 1149
6099 박성술장로님께 답글 우림과 둠밈 2013.07.28 1255
6098 햇까닥한 허당깨 지게 작대기 헛매질 하다 자빠지는 소리 2 아기자기 2013.07.28 1542
6097 박성술장로님 바다 2013.07.28 1273
6096 위대한 바다(데이비드 아불라피아)에 나오는 헬레니즘과 유대교의 특징. 4 백근철 2013.07.27 1213
6095 오직 1%를 위한 말씀방송과 청년만을 위한 교과방송 file 구닥다리 2013.07.27 1144
6094 NLL 남 재준의 이적행위 = 역사는 살아있다 김균 2013.07.27 1113
6093 편치 않은 교리/박성술 장로님 11 김균 2013.07.27 1247
6092 박성술님에게 고함 3 김균 2013.07.27 1260
6091 얼바리. 4 박휘소 2013.07.27 977
6090 분노 도 할줄 모르면서 덩달아 주먹 흉내 내는 얼바리들 13 박성술 2013.07.27 1121
6089 우상은 첨부터 우상이 아니라 사람이 섬기기 때문에 우상이 되는 겁니다. 새 노래를 부르는 방법 김원일 2013.07.26 1087
6088 이것들이 군기가 빠져가지고 ! 6 김주영 2013.07.26 1206
6087 우리 교단의 “부흥과 개혁”은 과연 무엇인가? - 연합회(장) 참조 1 아기자기 2013.07.26 940
6086 재림청년들의 의한 부흥과 개혁 file 구닥다리 2013.07.26 980
6085 해아래 새것이 없나니”(전1:9) 11 김균 2013.07.26 1331
6084 개 같은 군대문화. '믿는 사람들아 군병 같으니'를 찬미가에서 없애기: 다섯 아이의 명복을 빈다. 3 김원일 2013.07.25 1209
6083 [평화의 연찬 제72회 : 2013년 7월 27일(토)] '호세 마리아 아리스멘디아리에타(Jose Maria Arizmendiarrieta) 신부’ 최창규 장로 (사단법인 평화교류협의회 상생협력대표)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07.25 4057
6082 종교중독 자가진단 질문지 6 백근철 2013.07.25 1654
6081 김균과 얼바리 그리고 박성술님. 7 박휘소 2013.07.25 1590
6080 이건 노다지야 노다지 1 노다지 2013.07.24 933
6079 [단독]“노무현 차명계좌는 발견되지 않았다… 조현오씨가 증인신청했지만 안 나가” 1 흥부 2013.07.24 1008
6078 [성한용 칼럼] NLL 승자는 누구일까.....졸렬한 새누리당 흥부 2013.07.24 1270
6077 만남 2 김균 2013.07.24 1139
6076 솥 안에서 노는 물고기는 모른다. 잠시 후 물이 끓어 삶아질 자신의 운명을. 운명 2013.07.24 1419
Board Pagination Prev 1 ...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