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1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배고픈 모제스도 아픈 푼질래도 웃었다, 꼬꼬 킴을 만난 뒤…

등록 : 2013.07.31 15:42 수정 : 2013.07.31 21:19

 

 
스와질랜드 카풍아에 있는 원불교 카풍아교당이 운영하는 유치원 아이들과 함께 김혜심교무가 행복한 미소를 짓고 있다. 카풍아교당 제공

스와질란드 카풍아, 김혜심 교무의 봉사현장을 가다

*꼬꼬 킴: <김 할머니>

아프리카 북쪽 수단에 가톨릭의 이태석(1962~2010) 신부가 있었다면, 남쪽 스와질란드엔 원불교의 김혜심(67) 교무가 있다.
아프리카의 한켠에서 암에 걸린 육신을 던져 희망의 등불을 밝히고 있는 김 교무를 지난 7월 8~19일 찾았다.

아프리카 최남단 남아프리카공화국 동쪽에 자리한 스와질란드의 카풍아로 가는 길은 먼지바람이 거셌다. 남아공 요하네스버그 공항에서 국경까지 차로 5시간30분 걸렸다. 국경을 넘어 차로 2시간 30분, 다시 스와질란드의 수도 음바바네와 또 다른 도시 만지니를 지나쳐 20km 넘는 산길을 달리자 해발 1100m 산 속에 카풍아가 있었다. 19세기 초 영국과 네델란드계 백인들이 이 땅을 빼앗기 위해 혈전을 벌여 ‘피의 계곡’으로 불리는 땅이다.

평균 수명 32.6살
에이즈·기아에 신음하는 마을
무료보건소와 학교를 세웠고
약과 먹을 것을 나눠줬다

꼬꼬 킴은 암 투병중이다
두 차례 수술을 받고
의사는 “쉬어야 한다” 했지만
18년 카풍아에서 뛰고있다

1968년 스와질란드가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했으나 여전한 전제 왕권국가에 일부다처의 폐습이 잔존하고 있다. 하지만 그들을 지배하는 것은 왕이 아니라 가난과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AIDS)다. 강원도만 한 지역에 120여만 명이 사는 스와질란드는 15~49살 인구의 26%가 에이즈 환자(유엔 2011년 통계)로, 세계 최고 비율이다. 이 나라 평균 수명은 32.6살로 세계 최하위 수준이다.

에이즈와 기아, 이 무서운 두 개의 그림자가 1만 5천 명이 사는 카풍아 마을을 둘러싸고 있다. 현지인들은 이 마을 성인의 절반 가량이 에이즈로 고통 받고 있다고 전했다. 카풍아 주민 모제스(17)의 아버지도 지난해 5월 에이즈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모제스네 다섯 식구의 하루 수입은 암탉 다섯 마리가 낳은 계란 다섯 알이 전부다. 거적때기 하나 없는 흙바닥에서 식구들은 끼니를 때울 양식이 없어 빗물을 끓여 춥고 건조한 집안을 데울 뿐이다. 6~8월까지 겨울이라 새벽에는 체감온도가 영하까지 떨어지는 추위에 떨며 고픈 배를 감싸 안고 있다. 모제스의 엄마 아냐(41)는 “달걀을 팔아 겨우 살아가는데, 아무리 배가 고파도 닭을 잡을 수도 달걀을 먹어버릴 수도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마을입구 식품점에서 일하는 푼질래 드라미니(40)도 에이즈 환자다. 그가 에이즈 판정을 받은 것은 2008년. 그해 유치원에 다니던 딸이 에이즈 합병증으로 숨졌다. 딸을 잃고 자포자기하며 생을 접으려던 드라미니에게 희망을 준 이가 김 교무였다. 김 교무가 건네는 자비와 약품으로 생을 보전해가고 있다.

자신의 몸을 돌보지않은 채 카풍아의 흑인들을 돌보고 있는 김혜심 교무.
이 마을에서 김 교무는 ‘꼬꼬(할머니) 킴’으로 불린다. 그를 모르는 사람은 이 마을에 없다. 김 교무는 이곳으로 오기 전 원광대 약학대 학장을 지냈다. 약사로 또는 약학 박사로 한국에서 몸 편히 살 수 있던 그가 이곳에 건너온 것은 18년 전이다. 1970년 원불교에 출가해 76~83년 한센병 집단촌인 전남 고흥 소록도에서 살며 봉사하기도 했던 그는 1995년 아프리카에 왔다가 스와질란드의 참혹한 실상을 보았다. 에이즈 환자 천지인 어른들 사이에서도 티 없이 맑았던 아이들의 눈망울이 눈에 밟혔다. 그래서 학장직을 그만 두고 아프리카행을 결행했다.
 

김 교무는 원불교 카풍아 교당에 무료 보건소를 열었다. 지난 2005년엔 에이즈 환자를 위한 ‘선샤인(Sun Shine) 쉼터’도 열었다. 이 마을 에이즈 환자의 10분의 1쯤인 750여 명이 쉼터의 관리를 받고 있다. 환자들에게 면역 증강제를 투약하거나 혹은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옥수수 가루와 같은 먹을 것과 비타민을 나눠주는 게 매일 김 교무의 일과다. 이곳은 병이 중한 환자들을 돌볼 뿐 아니라 에이즈 예방 교육을 통해 에이즈의 확산을 막는 전진기지 구실도 한다.
 

카풍아 교당의 교무 4명과 봉사자 1명 등 한국인 5명과 현지인 실무자 12명은 에이즈란 급한 불을 끄는데 그치지 않는다. 유치원과 여성센터와 무료 도서관을 운영하고, 초·중·고교생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직업훈련교육을 한다. 암담한 현실 속에서도 아이들에게 미래를 만들어주기 위해서다.
 

그런데 요즘 마을 사람들의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꼬꼬 킴’이 암에 걸렸기 때문이다. 국가도 정부도 의지할 수 없었던 이들에게 ‘꼬꼬 킴’은 유일한 생명의 끈이다. 김 교무가 암이 재발해 쉬어야 한다는 권고를 받고 있지만, 이들이 김 교무를 놓칠 수 없는 이유다.
 

카풍아를 뒤덮은 병마와 싸우던 중 김 교무는 2006년 다발성 갑상선암 수술을 받았다. 체중도 10kg이나 줄며 체력이 급격히 떨어진 상태에서 봉사를 계속하던 그는 2008년 다시 위암 판정을 받고 한국에서 또 한 번 수술대에 올랐다. 담당의사는 ‘쉬지 않으면 큰일 난다’고 만류했지만 그는 이곳으로 돌아왔다. 남아공의 사막 마을 라마코카와 카풍아 마을을 오가며 구호활동을 하고 있는 조현제 교무(46)는 “김 교무는 뼈마디가 으스러질 정도로 봉사를 한다”고 안타까움을 표했다.

 

 

그런데도 김 교무의 관심은 자신의 몸이 아니다. 무엇보다 그를 아프게 하는 것은 부모로부터 에이즈란 질병을 물려받은 채 태어나는 아이들이다. 그런 아이들이 잘 먹어야 면역력이 높아져 병을 견뎌내는 데 먹을 것이 태부족한 상태다.
 

김 교무는 “에이즈를 물려받은 아이에게 한 달을 꾸준하게 분유를 먹였더니 얼굴이 달덩이처럼 건강해졌다. 잘 먹기만 해도 면역력이 높아지는데 먹을 것이 없다”고 안타까워했다.

 

 

교당은 하루하루 연명하기도 힘겨운 이들에게 암송아지 30마리를 분양해주었다. 2년 전 교당으로부터 우리 돈으로 40~50만 원 정도 하는 암소를 분양받은 라디아(58)는 “1년만 더 키우면 새끼를 낳을 것 같다. 새끼를 낳으면 나도 어려운 사람에게 송아지를 나눠주겠다”고 해맑게 웃었다. 김 교무는 “송아지가 커서 새끼를 낳고, 라디아처럼 이웃 사람들에게 계속 분양을 한다면 가난한 사람들이 서로 도우면서 살 수 있을 것 같다”고 함께 웃었다.

 

 

이 마을은 전기가 들어오는 집이 거의 없어 밤이면 암흑세상이다. 유일한 불빛은 교당 안에 있는 도서관이다. 25개 좌석을 가득 메운 도서관에서 책을 읽던 모제스가 말했다.

“내겐 두 가지 꿈이 있다. 하나는 ‘꼬꼬 킴’처럼 남을 돕는 일을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아픈 사람들을 치료하는 의사가 되는 것이다.”

김 교무를 비롯한 한국인들의 헌신으로 잿빛 구름만이 가득했던 카풍아의 하늘에 무지개가 떠오르고 있다. 카풍아(아프리카 스와질란드)

글·사진 정주용 <한겨레 티브이> 피디j2yong@hani.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83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18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1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22
9645 얼바리. 4 박휘소 2013.07.27 977
9644 박성술님에게 고함 3 김균 2013.07.27 1260
9643 편치 않은 교리/박성술 장로님 11 김균 2013.07.27 1247
9642 NLL 남 재준의 이적행위 = 역사는 살아있다 김균 2013.07.27 1112
9641 오직 1%를 위한 말씀방송과 청년만을 위한 교과방송 file 구닥다리 2013.07.27 1144
9640 위대한 바다(데이비드 아불라피아)에 나오는 헬레니즘과 유대교의 특징. 4 백근철 2013.07.27 1213
9639 박성술장로님 바다 2013.07.28 1273
9638 햇까닥한 허당깨 지게 작대기 헛매질 하다 자빠지는 소리 2 아기자기 2013.07.28 1542
9637 박성술장로님께 답글 우림과 둠밈 2013.07.28 1255
9636 오늘 본 담배 피우는 여자 3 김원일 2013.07.28 1149
9635 이 우라질, 얼바리 같은 놈들아 ! 5 박성술 2013.07.29 1097
9634 입산했던 형제를 교회가 돕자 7 김균 2013.07.29 1086
9633 박성술 그의 반어,역설,강조법 운운 하시는 별셋님에 쓰다. 8 박휘소 2013.07.29 1109
9632 신변안전 개성상인 2013.07.29 1012
9631 쥐약 먹고 널 뛰는 박성술 환쟁이의 글 4 김원일 2013.07.29 1146
9630 따돌림. 여명의눈동자 2013.07.29 1030
9629 한 가지 사실을 두 가지로 해석하는 법-시골생활님께 김균 2013.07.30 1505
9628 슬픔이 슬픔을....(펌) 1 김종식 2013.07.30 943
9627 석유 담긴 기름두병 그렇게 읽었나 ? 9 박성술 2013.07.30 1055
9626 인생의 광맥 에녹 2013.07.30 1202
9625 휴가철 2 김균 2013.07.30 1548
9624 질문 - 성경의 영감성과 예언의 신의 영감성에 관하여 4 행복자 2013.07.30 1290
9623 일구이무(一球二無) ----- 감동으로 읽었습니다. 1 쵸이 2013.07.30 1049
9622 다니엘의 환상은.... 다니엘 2013.07.30 1173
9621 정장 김균 2013.07.30 1125
9620 내가 니 시다바리가? 니가 해라! 5 아기자기 2013.07.30 1109
9619 영감이 없을 때와 영감이 있을 때의 차이? 1 아기자기 2013.07.30 972
9618 박일병과 별셋 4 방청객 2013.07.30 1345
9617 쥐약 VS 개거품 게임 셑 14 몽롱해 2013.07.31 1762
9616 18세기 한국 중국 시인들의 동시대성과 우정_ 정민 교수 1 무실 2013.07.31 1791
9615 기드온의 300명은 용사인가? 오합지졸인가? 지경야인 2013.07.31 1158
9614 Aloha ! 8 1.5세 2013.07.31 1400
9613 우리가 몰랐던 2가지 순종에 관하여 구닥다리 2013.07.31 962
9612 박 한이 김 진우에게 백허그 당하다. ( 펌글 ) 백허그 2013.07.31 1349
9611 이놈의 인터넷에 아무리 장유유서가 없다지만 6 김균 2013.07.31 1395
9610 여보시오 얼바리들 6 박성술 2013.07.31 1092
9609 박성술 이~우라질 놈. 2 비맞은개 2013.07.31 1558
9608 내 품에 그대 눈물을 백록담 2013.08.01 1126
9607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록담 2013.08.01 1056
9606 하나님은 부서진 것들을 사용하십니다 1 백록담 2013.08.01 1614
9605 세상에 이런 일이 1 세상 2013.08.01 1012
9604 먼저 감사하라. 백록담 2013.08.01 1060
9603 식당 개 3년이면 라면도 끓인다는데 6 김균 2013.08.01 1091
9602 너희들도 했잖아? 김균 2013.08.01 1148
9601 무릎을 꿇고 있는 나무 백록담 2013.08.01 1188
9600 [평화의 연찬 제73회 : 2013년 8월 3일(토)] '상처받은 사람들을 위한 관계 맺기의 심리학’ 김동원 [동문교회 목사, (사)평화교류협의회 상생협력대표]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08.01 1060
9599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우리 아들 백록담 2013.08.01 1225
9598 신부님 신부님 우리 신부님! 우리신부님 2013.08.01 1074
9597 어느 마을의 농부들 백록담 2013.08.02 1150
9596 날카로운 십자가, 강제하는 회개, 상처받은 영혼들 file 구닥다리 2013.08.02 983
9595 눈물 항아리 / 우는 연습 백록담 2013.08.02 1156
» 교무님 교무님 우리 교무님 우리교무님 2013.08.02 1103
9593 백록담 님 2 김원일 2013.08.02 1314
9592 하나님을 믿는 이유나 목적 같은 것은 없다. 김원일 2013.08.02 1142
9591 목사님 목사님 우리 목사님! 1 우리목사님 2013.08.02 1036
9590 정체성의 정치에 대한 어느 여성학자의 고민. 6 백근철 2013.08.03 1194
9589 시내산에서 의 은혜 우림과 둔밈 2013.08.03 893
9588 정규환 신부의 멘트 6 김균 2013.08.03 1164
9587 사돈 남 말하는 목사 7 사돈남말하네 2013.08.03 1083
9586 삼가 명복을 빕니다 김균 2013.08.03 1421
9585 일구이언하는 목사=김균 46 카톡 2013.08.03 2439
9584 중국의 차 문화와 미국의 차 문화는 다릅니다 김균 2013.08.03 1570
9583 IT,S not 1 지성의열망 2013.08.03 1144
9582 꼴불견 달수 2013.08.04 1236
9581 내가 좋아하지 않는 사람 8 김균 2013.08.04 1090
9580 성경이 아니라 생활에 밑줄을 그어야 한다는 목사 2 아기자기 2013.08.04 1231
9579 소비하지 않을 용기를 가질 것! littleking 2013.08.04 839
9578 그래 솔직히 말해서 우리는 “이 우라질, 얼바리같은 놈들”인지도 몰라, 아 그러나... 3 아기자기 2013.08.05 1216
9577 ㅈ같은 자유 1 김균 2013.08.05 1404
9576 한반도, 8월 위기는 오고 말 것인가? 모퉁이돌 2013.08.05 1045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