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194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페미니즘은 정체성의 정치를 벗어나야 하고, 실제로 정체성의 정치 그 이상의 세계관이다. 마르크스주의는 노동자만의 것이 아니라 인류 보편의 철학인데, 왜 여성만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하는가. 패트리샤 힐 콜린스(Patricia Hill Collins)와 니라 유발데이비스(Nira Yuval-Davis)가 제안한 횡단의 정치(trans/versal politics)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논쟁의 한가운데에 있는 유일-보편주의(uni/versalism)와 상대주의(relativism)(혹은 다중 보편주의poly/versalism)의 이분법에 대한 대안으로 제안되었다. 현재 자신의 정체성과 멤버십에 기반을 두면서도(rooting) 그것을 본질화하지 않으며, 타자를 동질화하지 않고 상대방의 상황으로 이동(shifting)할 수 있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대화가 횡단의 정치다.

  대화의 시작에서 동일성을 가정하고 일반화하는 보편주의나("우리는 같다") 대화의 끝에서 지나치게 특수성을 강조하여 배제로 끝나는 상대주의("우리는 다르다")가 아니라, 보편화하지 않는 특수를 지향한다. 차이를 보편으로 환원하는 것이 아니라, 차이로부터 기존의 보편을 끊임없이 해체하고 재구성한다. 정체성의 정치가 문제적인 것은, 사회적 범주와 사회적 그룹들을 동질화, 자연화하여, 겅계의 이동과 내부의 권력 차이와 이해 갈등을 부정한다는 점이다. 횡단의 정치는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과 그 개인이 지향하는 사회적 가치를 구별하며, 대화의 과정을 정치적 목표로 삼는다. 초월적 보편이 아니라 소통 가능한 보편을 지향하며, 기원이나 본질이 아니라 자신을 '오염'에 개방하며서 '오염'된 자신을 드러내면서, 움직이는 현실을 타고 넘나드는 것이다.

  여성주의는 성별 관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타자들과의 소통, 그리고 다른 사회적 모순과 성차별의 관계에 주목한다. 때문에 여성주의는 그 어느 정치학보다도 다른 사회적 차별에 매우 민감하며, 다양한 피억압자들에게 관심을 갖는 연대와 제휴의 정치이다. 여성이라는 범주, 여성 억압은 젠더만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인간의 고통, 사회적 불평등은 계급, 민족 등 어느 한 가지 사회적 요인만으로는 설명 불가능하다. 계급이든, 민족이든, 젠더 모순이든 모두 다른 사회 문제와 관련성 속에서 작동한다.

-정희진, <페미니즘의 도전> 중에서 

  • ?
    글쓴이 2013.08.03 04:32

    "페미니즘은 정체성의 정치 그 이상의 세계관", "인류 보편의 철학", "초월적 보편이 아니라 소통 가능한 보편"....

    인상적인 단어들이 참 많네요.

    끊임없이 '정체성'을 고민하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많은 것 같아서 올려 봅니다.

    우리의 '다름'이

    "기존의 보편을 끊임없이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차이'였으면 하고 꿈꿔 봅니다.

  • ?
    글쓴이 2013.08.03 05:11

    내가 이 책에서 가장 주장하고 싶은 이야기는, 남성의 관점으로부터 여성, '나'를 정의하지 말고, 서구(이성애자, 백인, 비장애인, 부자, 서울 사람……)와의 관계로부터 '우리'를 정의하지 말자는 것이다. 나는 나를 포함하여 사람들이 다르게 그래서 즐겁게 살며, 자신을 다양한 존재로 개방해 나가기를 원한다. '진정한 우리', '진정한 여성'은 없다. 여성주의가 주장하는 것은 서구/남성의 대립항으로서 '우리'를 찾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회로 이행하는 것이다. 여성주의는 서구/'우리', 남성/여성이라는 이분법 자체가 서구/남성의 권력이라고 보는 대표적인 탈식민주의 사상이다. 나의 존재를 누구/무엇과의 관계로부터 설명할 것인가, 그 범주를 어떻게 변화시켜 나가면서 기존의 억압적인 삶의 양식을 재생산하지 않을 수 있을까가, 인생의 가장 근원적인 의제가 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내 인생의 참고 문헌이 다양하고 무수할 때 자신을 확장할 수 있으며, 동일성의 폭력인 이 광포한 '신자유주의' 파도에 덜 휘둘리며 생존할 수 있다. 나는 페미니즘이 우리 자신을 나날이 새롭게 만드는 매력적인 참고 문헌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같은 책, 26쪽. 

  • ?
    김원일 2013.08.03 08:55

    "현재 자신의 정체성과 멤버십에 기반을 두면서도(rooting) 그것을 본질화하지 않으며, 타자를 동질화하지 않고 상대방의 상황으로 이동(shifting)할 수 있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대화가 횡단의 정치다."


    네, 정말 중요한 철학입니다.

    이런 좋은 글 자주 올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
    백근철 2013.08.03 11:56
    감사합니다. 틈나는데로 올려 보겠습니다^^ 
  • ?
    민초주의 2013.08.03 11:50

     

    좋은 글 올려주어서 감사드립니다. 좀 서민적 글투로 풀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 여성의 권리문제를 다루는,

    대충 무슨 말인지 알아듣겠지만 격조 높은 강의실 언어로 들려서 민초들에게 얼마나 들려질지요!

    풀어서 녹여서 내놓는 연금술, 그것이 진정한 실력이고 원문에 대한 완전소화를 보여주는 것이겠지요. 아니면 외딴 섬이 되기 십상이겠지요.

    계몽적 의지보다는 과시가 부각되는 글로 보입니다. 대중 속으로 파고들려면 궁중음악보다는 서민적 민요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 ?
    올린이 2013.08.03 11:54

    동감합니다. 그리고 죄송합니다. 제가 아직 그 정도의 실력은 없어서요.

    저도 뭐 그냥 이 책 저 책 따라가며 공부하는 중이라...

    계몽적 의지나 과시같은 것 제게는 없습니다.

    제가 책에서 읽은 것을 나누고 싶은 마음이었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83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18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1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22
9645 얼바리. 4 박휘소 2013.07.27 977
9644 박성술님에게 고함 3 김균 2013.07.27 1260
9643 편치 않은 교리/박성술 장로님 11 김균 2013.07.27 1247
9642 NLL 남 재준의 이적행위 = 역사는 살아있다 김균 2013.07.27 1112
9641 오직 1%를 위한 말씀방송과 청년만을 위한 교과방송 file 구닥다리 2013.07.27 1144
9640 위대한 바다(데이비드 아불라피아)에 나오는 헬레니즘과 유대교의 특징. 4 백근철 2013.07.27 1213
9639 박성술장로님 바다 2013.07.28 1273
9638 햇까닥한 허당깨 지게 작대기 헛매질 하다 자빠지는 소리 2 아기자기 2013.07.28 1542
9637 박성술장로님께 답글 우림과 둠밈 2013.07.28 1255
9636 오늘 본 담배 피우는 여자 3 김원일 2013.07.28 1149
9635 이 우라질, 얼바리 같은 놈들아 ! 5 박성술 2013.07.29 1097
9634 입산했던 형제를 교회가 돕자 7 김균 2013.07.29 1086
9633 박성술 그의 반어,역설,강조법 운운 하시는 별셋님에 쓰다. 8 박휘소 2013.07.29 1109
9632 신변안전 개성상인 2013.07.29 1012
9631 쥐약 먹고 널 뛰는 박성술 환쟁이의 글 4 김원일 2013.07.29 1146
9630 따돌림. 여명의눈동자 2013.07.29 1030
9629 한 가지 사실을 두 가지로 해석하는 법-시골생활님께 김균 2013.07.30 1505
9628 슬픔이 슬픔을....(펌) 1 김종식 2013.07.30 943
9627 석유 담긴 기름두병 그렇게 읽었나 ? 9 박성술 2013.07.30 1055
9626 인생의 광맥 에녹 2013.07.30 1202
9625 휴가철 2 김균 2013.07.30 1548
9624 질문 - 성경의 영감성과 예언의 신의 영감성에 관하여 4 행복자 2013.07.30 1290
9623 일구이무(一球二無) ----- 감동으로 읽었습니다. 1 쵸이 2013.07.30 1049
9622 다니엘의 환상은.... 다니엘 2013.07.30 1173
9621 정장 김균 2013.07.30 1125
9620 내가 니 시다바리가? 니가 해라! 5 아기자기 2013.07.30 1109
9619 영감이 없을 때와 영감이 있을 때의 차이? 1 아기자기 2013.07.30 972
9618 박일병과 별셋 4 방청객 2013.07.30 1345
9617 쥐약 VS 개거품 게임 셑 14 몽롱해 2013.07.31 1762
9616 18세기 한국 중국 시인들의 동시대성과 우정_ 정민 교수 1 무실 2013.07.31 1791
9615 기드온의 300명은 용사인가? 오합지졸인가? 지경야인 2013.07.31 1158
9614 Aloha ! 8 1.5세 2013.07.31 1400
9613 우리가 몰랐던 2가지 순종에 관하여 구닥다리 2013.07.31 962
9612 박 한이 김 진우에게 백허그 당하다. ( 펌글 ) 백허그 2013.07.31 1349
9611 이놈의 인터넷에 아무리 장유유서가 없다지만 6 김균 2013.07.31 1395
9610 여보시오 얼바리들 6 박성술 2013.07.31 1092
9609 박성술 이~우라질 놈. 2 비맞은개 2013.07.31 1558
9608 내 품에 그대 눈물을 백록담 2013.08.01 1126
9607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록담 2013.08.01 1056
9606 하나님은 부서진 것들을 사용하십니다 1 백록담 2013.08.01 1614
9605 세상에 이런 일이 1 세상 2013.08.01 1012
9604 먼저 감사하라. 백록담 2013.08.01 1060
9603 식당 개 3년이면 라면도 끓인다는데 6 김균 2013.08.01 1091
9602 너희들도 했잖아? 김균 2013.08.01 1148
9601 무릎을 꿇고 있는 나무 백록담 2013.08.01 1188
9600 [평화의 연찬 제73회 : 2013년 8월 3일(토)] '상처받은 사람들을 위한 관계 맺기의 심리학’ 김동원 [동문교회 목사, (사)평화교류협의회 상생협력대표]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08.01 1060
9599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우리 아들 백록담 2013.08.01 1225
9598 신부님 신부님 우리 신부님! 우리신부님 2013.08.01 1074
9597 어느 마을의 농부들 백록담 2013.08.02 1150
9596 날카로운 십자가, 강제하는 회개, 상처받은 영혼들 file 구닥다리 2013.08.02 983
9595 눈물 항아리 / 우는 연습 백록담 2013.08.02 1156
9594 교무님 교무님 우리 교무님 우리교무님 2013.08.02 1103
9593 백록담 님 2 김원일 2013.08.02 1314
9592 하나님을 믿는 이유나 목적 같은 것은 없다. 김원일 2013.08.02 1142
9591 목사님 목사님 우리 목사님! 1 우리목사님 2013.08.02 1036
» 정체성의 정치에 대한 어느 여성학자의 고민. 6 백근철 2013.08.03 1194
9589 시내산에서 의 은혜 우림과 둔밈 2013.08.03 893
9588 정규환 신부의 멘트 6 김균 2013.08.03 1164
9587 사돈 남 말하는 목사 7 사돈남말하네 2013.08.03 1083
9586 삼가 명복을 빕니다 김균 2013.08.03 1421
9585 일구이언하는 목사=김균 46 카톡 2013.08.03 2439
9584 중국의 차 문화와 미국의 차 문화는 다릅니다 김균 2013.08.03 1570
9583 IT,S not 1 지성의열망 2013.08.03 1144
9582 꼴불견 달수 2013.08.04 1236
9581 내가 좋아하지 않는 사람 8 김균 2013.08.04 1090
9580 성경이 아니라 생활에 밑줄을 그어야 한다는 목사 2 아기자기 2013.08.04 1231
9579 소비하지 않을 용기를 가질 것! littleking 2013.08.04 839
9578 그래 솔직히 말해서 우리는 “이 우라질, 얼바리같은 놈들”인지도 몰라, 아 그러나... 3 아기자기 2013.08.05 1216
9577 ㅈ같은 자유 1 김균 2013.08.05 1404
9576 한반도, 8월 위기는 오고 말 것인가? 모퉁이돌 2013.08.05 1045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