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194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페미니즘은 정체성의 정치를 벗어나야 하고, 실제로 정체성의 정치 그 이상의 세계관이다. 마르크스주의는 노동자만의 것이 아니라 인류 보편의 철학인데, 왜 여성만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하는가. 패트리샤 힐 콜린스(Patricia Hill Collins)와 니라 유발데이비스(Nira Yuval-Davis)가 제안한 횡단의 정치(trans/versal politics)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논쟁의 한가운데에 있는 유일-보편주의(uni/versalism)와 상대주의(relativism)(혹은 다중 보편주의poly/versalism)의 이분법에 대한 대안으로 제안되었다. 현재 자신의 정체성과 멤버십에 기반을 두면서도(rooting) 그것을 본질화하지 않으며, 타자를 동질화하지 않고 상대방의 상황으로 이동(shifting)할 수 있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대화가 횡단의 정치다.

  대화의 시작에서 동일성을 가정하고 일반화하는 보편주의나("우리는 같다") 대화의 끝에서 지나치게 특수성을 강조하여 배제로 끝나는 상대주의("우리는 다르다")가 아니라, 보편화하지 않는 특수를 지향한다. 차이를 보편으로 환원하는 것이 아니라, 차이로부터 기존의 보편을 끊임없이 해체하고 재구성한다. 정체성의 정치가 문제적인 것은, 사회적 범주와 사회적 그룹들을 동질화, 자연화하여, 겅계의 이동과 내부의 권력 차이와 이해 갈등을 부정한다는 점이다. 횡단의 정치는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과 그 개인이 지향하는 사회적 가치를 구별하며, 대화의 과정을 정치적 목표로 삼는다. 초월적 보편이 아니라 소통 가능한 보편을 지향하며, 기원이나 본질이 아니라 자신을 '오염'에 개방하며서 '오염'된 자신을 드러내면서, 움직이는 현실을 타고 넘나드는 것이다.

  여성주의는 성별 관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타자들과의 소통, 그리고 다른 사회적 모순과 성차별의 관계에 주목한다. 때문에 여성주의는 그 어느 정치학보다도 다른 사회적 차별에 매우 민감하며, 다양한 피억압자들에게 관심을 갖는 연대와 제휴의 정치이다. 여성이라는 범주, 여성 억압은 젠더만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인간의 고통, 사회적 불평등은 계급, 민족 등 어느 한 가지 사회적 요인만으로는 설명 불가능하다. 계급이든, 민족이든, 젠더 모순이든 모두 다른 사회 문제와 관련성 속에서 작동한다.

-정희진, <페미니즘의 도전> 중에서 

  • ?
    글쓴이 2013.08.03 04:32

    "페미니즘은 정체성의 정치 그 이상의 세계관", "인류 보편의 철학", "초월적 보편이 아니라 소통 가능한 보편"....

    인상적인 단어들이 참 많네요.

    끊임없이 '정체성'을 고민하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많은 것 같아서 올려 봅니다.

    우리의 '다름'이

    "기존의 보편을 끊임없이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차이'였으면 하고 꿈꿔 봅니다.

  • ?
    글쓴이 2013.08.03 05:11

    내가 이 책에서 가장 주장하고 싶은 이야기는, 남성의 관점으로부터 여성, '나'를 정의하지 말고, 서구(이성애자, 백인, 비장애인, 부자, 서울 사람……)와의 관계로부터 '우리'를 정의하지 말자는 것이다. 나는 나를 포함하여 사람들이 다르게 그래서 즐겁게 살며, 자신을 다양한 존재로 개방해 나가기를 원한다. '진정한 우리', '진정한 여성'은 없다. 여성주의가 주장하는 것은 서구/남성의 대립항으로서 '우리'를 찾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회로 이행하는 것이다. 여성주의는 서구/'우리', 남성/여성이라는 이분법 자체가 서구/남성의 권력이라고 보는 대표적인 탈식민주의 사상이다. 나의 존재를 누구/무엇과의 관계로부터 설명할 것인가, 그 범주를 어떻게 변화시켜 나가면서 기존의 억압적인 삶의 양식을 재생산하지 않을 수 있을까가, 인생의 가장 근원적인 의제가 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내 인생의 참고 문헌이 다양하고 무수할 때 자신을 확장할 수 있으며, 동일성의 폭력인 이 광포한 '신자유주의' 파도에 덜 휘둘리며 생존할 수 있다. 나는 페미니즘이 우리 자신을 나날이 새롭게 만드는 매력적인 참고 문헌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같은 책, 26쪽. 

  • ?
    김원일 2013.08.03 08:55

    "현재 자신의 정체성과 멤버십에 기반을 두면서도(rooting) 그것을 본질화하지 않으며, 타자를 동질화하지 않고 상대방의 상황으로 이동(shifting)할 수 있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대화가 횡단의 정치다."


    네, 정말 중요한 철학입니다.

    이런 좋은 글 자주 올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
    백근철 2013.08.03 11:56
    감사합니다. 틈나는데로 올려 보겠습니다^^ 
  • ?
    민초주의 2013.08.03 11:50

     

    좋은 글 올려주어서 감사드립니다. 좀 서민적 글투로 풀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 여성의 권리문제를 다루는,

    대충 무슨 말인지 알아듣겠지만 격조 높은 강의실 언어로 들려서 민초들에게 얼마나 들려질지요!

    풀어서 녹여서 내놓는 연금술, 그것이 진정한 실력이고 원문에 대한 완전소화를 보여주는 것이겠지요. 아니면 외딴 섬이 되기 십상이겠지요.

    계몽적 의지보다는 과시가 부각되는 글로 보입니다. 대중 속으로 파고들려면 궁중음악보다는 서민적 민요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 ?
    올린이 2013.08.03 11:54

    동감합니다. 그리고 죄송합니다. 제가 아직 그 정도의 실력은 없어서요.

    저도 뭐 그냥 이 책 저 책 따라가며 공부하는 중이라...

    계몽적 의지나 과시같은 것 제게는 없습니다.

    제가 책에서 읽은 것을 나누고 싶은 마음이었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79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05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1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03
6215 달봉이의 염천 엘레지 6 몽롱해 2013.08.10 1552
6214 나의 사랑하는 책 10 file 바다 2013.08.10 1913
6213 KBS다큐 8월11일 오후4:10부터 한나김의 리멤버 727(김성범목사 딸)퍼옴 1 남경진 2013.08.10 1878
6212 Joe Cocker 행복한고문 2013.08.10 1151
6211 금주의 cbn라디오 교과방송 및 성경연구 방송 안내 정수희 2013.08.10 1384
6210 정정과 사과의 말씀 2 김주영 2013.08.10 1480
6209 요즘 아이들 대체 왜 이러는지 누가 제발 말려줘요 2013.08.10 1501
6208 이회창은 민족의 반역자이다. 4 달수 2013.08.09 1294
6207 쓰레기 4 김원일 2013.08.09 1388
6206 오늘 내가 안식교를 떠나 천주교인이 되고 싶은 이유 7 김원일 2013.08.09 1606
6205 개혁과 부흥이란? 교과 공부를 하다가 하도 답답하여서 2 지경야인 2013.08.09 1110
6204 김대중과 이명박과 노무현과 박근혜 5 달수 2013.08.08 1283
6203 김J영님의 가장 맘에 안 드는 글 5 달수 2013.08.08 1177
6202 김대중과 노무현은 민족의 반역자..?? 2 달수 2013.08.08 1159
6201 라 스파뇨랴 3 바다 2013.08.08 1935
6200 온새미로 살고지고 - 채빈님과 여성동지들께 5 file 아기자기 2013.08.08 1436
6199 공유- 소스코드- 복사- 붙여 넣기 2 김균 2013.08.08 1606
6198 달수님 제가 달수님을 노하게 만들었나보군요. 3 박상희 2013.08.08 1108
6197 이렇게 좋은 날 2 김균 2013.08.08 1127
6196 [평화의 연찬 제74회 : 2013년 8월 10일(토)] ‘다른 것은 틀린 것이 아니다’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08.08 1118
6195 좋은 시절을 위하여 19 행복한고문 2013.08.08 1225
6194 첫 방문 인사드립니다. 3 아모스 2013.08.08 1307
6193 우리 만남은 김균 2013.08.08 1340
6192 사람을 찾습니다 18 김주영 2013.08.08 1309
6191 확실한 분리수거 2 김균 2013.08.07 1734
6190 후쿠시마 이후 우리 밥상은 안전한가? 3 탈핵 2013.08.07 1609
6189 김균 장로님의 설교가 어디에 업로드되어 있나요? 10 한길이 2013.08.07 1160
6188 예수도 못 하는 그 한 가지와 내가 싸질러 놓은 똥은 내가 치워야하는 이유 4 아기자기 2013.08.07 1209
6187 성경 통독과 성경 번역본에 대해 질문을 드립니다. 7 무실 2013.08.07 1698
6186 ‘갑’들의 상투적인 담론전략 김원일 2013.08.07 1229
6185 김0일 님, 질문입니다. 13 달수 2013.08.07 1159
6184 나도 밀어내기 몸싸움 좀 해야지: 글 세 번 연속 올리기^^--하나님을 위한 자유(freedom for God) 또는 하나님에게로 가는 자유(freedom to God)--하나님 원수 갚기 2 김원일 2013.08.06 1098
6183 그러니까 시시껄렁한 얘기 집어치우고 우리 이런 설교 좀 듣자 이겁니다--하나님의 침묵은 무신론자와 신자 모두에게 문제였다. 2 김원일 2013.08.06 1166
6182 자, 자, 시시한 닭쌈 그만 하고--우리는 시편 23편을 어떻게 읽는가? 2 김원일 2013.08.06 1213
6181 한국천주교회 작년 대선 전면 무효화선언 논의 급물살| 2 무효화 2013.08.06 1156
6180 박진하 목사였으면 좋겠다. 6 네이버뉴스 2013.08.06 1152
6179 프란치스코1세 교황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 김균 2013.08.06 1100
6178 얼마 전에 낚시터에서 1 김균 2013.08.06 1001
6177 **척하는 게 안 어울리는 사람 4 김균 2013.08.06 1073
6176 나는 착한 사람이라니까? 13 네이버뉴스 2013.08.06 1093
6175 십일조를 내기 싫은 이유 5 구닥다리 2013.08.06 1324
6174 일본산 조심들하세요. 특히 어린아이들에게는 임산 2013.08.06 1143
6173 촌로님의 글을 읽고서 김균 2013.08.06 1341
6172 어제 칼레지데일에서 일어난 일 2 김주영 2013.08.06 1191
6171 아무리 의견을 달리하는 사람일지라도 주께서 피로 사신 영혼이거늘. 6 촌로 2013.08.05 1053
6170 갈아 엎은 감자밭 감자 2013.08.05 1041
6169 최고의 댓 글. 1 발버둥 2013.08.05 1202
6168 박근혜5촌의 화려한 사기행각 시사인 2013.08.05 1117
6167 네, 장로님, 그러니까 살살 올려주세요. ^^ 5 김원일 2013.08.05 975
6166 오래 살려거든... 김균 2013.08.05 1195
6165 내가 요즘 집중적으로 주목하고 있는 목사님 8 file 최종오 2013.08.05 1221
6164 삼종 세트 김균 2013.08.05 994
6163 남북장성급회담 회의록은 보지 않았다 김균 2013.08.05 1253
6162 시골 가라고 ? 6 김균 2013.08.05 1250
6161 우리가 남이가! 3 초원복국 2013.08.05 1670
6160 한반도, 8월 위기는 오고 말 것인가? 모퉁이돌 2013.08.05 1044
6159 ㅈ같은 자유 1 김균 2013.08.05 1403
6158 그래 솔직히 말해서 우리는 “이 우라질, 얼바리같은 놈들”인지도 몰라, 아 그러나... 3 아기자기 2013.08.05 1215
6157 소비하지 않을 용기를 가질 것! littleking 2013.08.04 837
6156 성경이 아니라 생활에 밑줄을 그어야 한다는 목사 2 아기자기 2013.08.04 1231
6155 내가 좋아하지 않는 사람 8 김균 2013.08.04 1089
6154 꼴불견 달수 2013.08.04 1235
6153 IT,S not 1 지성의열망 2013.08.03 1144
6152 중국의 차 문화와 미국의 차 문화는 다릅니다 김균 2013.08.03 1570
6151 일구이언하는 목사=김균 46 카톡 2013.08.03 2434
6150 삼가 명복을 빕니다 김균 2013.08.03 1421
6149 사돈 남 말하는 목사 7 사돈남말하네 2013.08.03 1083
6148 정규환 신부의 멘트 6 김균 2013.08.03 1164
6147 시내산에서 의 은혜 우림과 둔밈 2013.08.03 891
» 정체성의 정치에 대한 어느 여성학자의 고민. 6 백근철 2013.08.03 1194
Board Pagination Prev 1 ...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